• Title/Summary/Keyword: 한국수학

Search Result 10,18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교수전략 - 기하학을 중심으로 -

  • Kim, Chang-Il;Jeon, Yeong-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453-469
    • /
    • 2005
  • 기하는 수학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영역이다. 그러나 기하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와 교수전략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현장의 수학교사들에 의한 프로그램개발과 동시에 프로그램과 지도방법을 통합하는 수학교사들의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의 특성들을 고려하고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보다는 토론, 발표, 세미나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구안해 보았다. 프로그램 설계의 내용적 면에서는 기하학의 한 방법인 해석기하학과 현재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Euclid 초등기하의 한계를 넘어 공선(共線), 공점(共點)의 비계량적 개념의 사영기하학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법적인 면에서는 문제제시단계, 문제해결단계, 수학적 개념추출단계, 수학화 단계, 확장단계의 단계별 절차를 두었다. 이와 같은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교수전략의 목적은 수학영재들을 새로운 문제와 지식을 제안하고 생산하는 수학 창조자를 만들고자 하는데 있다.

  • PDF

Mathematics Education Using Popular Culture (대중문화를 활용한 수학교육)

  • Oh, Youngyoul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0 no.1
    • /
    • pp.149-162
    • /
    • 2016
  • The focus of the present study is to seek the ways of using popular culture for teaching mathematics. Thus, this study theoretically investigated concepts of popular culture and the meanings of using popular cultur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current study analyzed both the influence of popular culture of mathematics learning and how mathematics is represented through popular cultur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eaching models using popular culture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about popular culture.

'부정'을 통한 발전적 수학학습에 관한 연구

  • Han, Gil-Jun;Jeong, Seung-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729-750
    • /
    • 2002
  • 고대 이후로 수학은 끊임없이 발전되어 왔고, 지금도 발전 지향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학을 발전적 관점에서 보는 것은 기존의 수학적 지식을 답습하여 그 기능을 익히는 것보다는 수학을 끊임없이 창조, 발전시키는 대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수학에서 발전적 학습은 대상을 고정된 것으로 보지 않고, 하나의 결과가 얻어졌더라도 보다 더 나은 방법을 알아본다거나 또는 이를 바탕으로 보다 일반적인, 보다 새로운 것을 발견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발전적 수학학습은 증명과 반박의 과정, What if not, 관점의 변경, 부정에 의한 방법 등을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적인 수학학습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고찰하고 특히, 부정을 통한 발전적 학습 전개의 방법 및 과정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발전적 수학학습에 대한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 PDF

컴퓨터 대수학 알고리즘의 개념 및 변화를 이용한 응용모듈 설계모형 작성

  • Park, Yong-Beom;Kim, Bu-Yun;Heo, Man-S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249-264
    • /
    • 2001
  • 학교수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은 기술 공학의 활용으로 변화하고 있다. 기술공학의 역할은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에 대한 태도를 변하게 하여, 탐구적이며 창의적인 방법으로 수학을 공부하는데 열의를 갖도록 한다. 반면에 현재의 수학교수는 여전히 보수적이며 환경의 변화에 더디게 적응하고 있으나, 세상이 상당히 빨리 변하고 있으므로 기술공학을 활용하여 현재의 교수를 개선해 나가야 하겠다. 변화에 대한 인식과 갈망은 학습자료, 재정 상태, 그리고 기타 여러 가지 요인보다도 훨씬 중요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교수관점 및 교수견해의 변화에 대한 의지이다. 교사가 기호연산 실행 조작이 가능한 수학 학습용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와 이들을 탑재한 휴대용 수학학습 전용기를 중등학교수학에 적용할 경우, 수학교육에서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은, 첫째 모든 수준의 학생들을 격려하며, 둘째 대상 영역의 수학학습 내용을 이해하도록 기술공학을 활용한 새로운 교수 기법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 PDF

Derive(TI-92)를 이용한 탐구 지향 수학 수업

  • Sin, Eun-Ju;Song, Jeong-Hwa;Gwon, O-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169-188
    • /
    • 2000
  • 급변하고 있는 정보화시대애서 수학교육은 예전의 암기식, 주입식에서 벗어나 새롭게 변화될 필요가 있다. 컴퓨터 매체가 수학교육에 도입된 결과 수학 내용과 수학을 이해하는 방법, 교수 ${\cdot}$ 학습 방법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교수 ${\cdot}$ 학습이 일어나는 사회 ${\cdot}$ 문화적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학생들이 컴퓨터 테크놀러지를 이용해 수학적 이해를 얻고 수학적 힘을 길러 의사소통자, 문제해결자가 되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실생활적인 맥락에서 상황화되는 중요한 아이디어를 동시에 가르침으로써 효율성을 성취하고 내용적 과잉을 극복하고 새 수학의 혁신, 다양성, 연속적 성장을 체계적으로 지지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와 문제해결을 돕기 위해 테크놀러지의 역할을 조명해보고 DERIVE(TI-92)를 이용한 수학 학습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일 논의 - 창의적인 사람, 창의적인 산물, 창의적인 과정이란 관점으로부터 -

  • Kim, Jin-H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45-56
    • /
    • 2004
  • 본고는 수학적 창의성과 관련한 논문으로 이를 창의적인 사람, 창의적인 산출물, 창의적인 과정이란 일반 창의성 연구자들이 연구하고 있는 분야로부터 유추적으로 논의를 시도하였다. 이런 접근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가정들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 번째, 일반 보통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교육에서도 창의성 교육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수학교과에도 적합한 진술이다. 두 번째, 현상학적 입장으로 부터 학교에서 교수${\cdot}$ 학습되고 있는 학교수학이 학생들 입장에서 보면 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는 적절하고 새로운 지식이란 점을 공고히 해 주었다. 또한, 여기서 강조한 것은 새롭고 적절한 지식이 완성된 지식뿐만 아니라 발생상태 그대로의 지식 즉, 과정으로서의 지식도 포함하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세 번째, 수학자가 수학을 탐구하는 과정을 창의성 연구자들이 보듯이 인지과정으로 보는 대신에 한 수학적 아이디어를 이로부터 하나의 완성된 수학적 지식을 완성하기까지의 수학적 사고과정으로 보는 것이 수학교육적 의미에서 교수${\cdot}$ 학습에 의미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 PDF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고교수학의 수열의 지도에 관하여

  • Kim, Tae-Wan;Kim, Hya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109-122
    • /
    • 2003
  • 현재 초, 중, 고등학교의 수학교육 현실은 수학 개념의 정확한 이해에 초점을 맞추지 못하고 공식의 암기와 그것을 이용하여 단순한 문제 풀이에 시간을 많이 할애함으로써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이나 기호의 정확한 사용법을 인지하지 못하고 계산 기능적인 면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나며, 문제 풀이의 창의적인 상황이 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교사 중심의 문제풀이 방법에만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속에서 창의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구상할 수 있는 사고력의 배양에 소홀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 스스로 의미를 파악하여 학습 할 수 있는 교수 방법이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현실적으로 매우 시급한 상황에 처해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수학교육자들은 학생들이 좀 더 쉽게 수학의 개념에 접근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한 노력 중의 하나로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수학교육을 말 할 수 있는데, 이는 실제로 수학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현 고등학교 수학I의 등차수열에 관한 내용을 Mathematica를 이용하여 다각수(도형수)로부터 등차수열의 개념을 유도하였다.

  • PDF

A Study on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UK Focusing on high school math education (영국의 수학교육에 대한 고찰: 고등학교 수학교육을 중심으로)

  • Kang, Hy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5 no.2
    • /
    • pp.175-194
    • /
    • 2022
  •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a between Korea and the UK ahead of the 2022 revision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The UK has revised assessments to emphasize mathematics after age 16 since 2017. Thus,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Key Stage 4, Core Maths and A-level, which correspond to the UK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Korean high school math subjects. In the UK, mathematics education is more emphasized at the high school level. The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d 'numeracy and mathematics', and students' selection for mathematics courses were expanded.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new mathematics subjects and evaluations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the A-level mathematics was improved. In addition, the subject-centered content was developed and continuously handled from Key Stage 3 to the high school stage. It was structured to facilitate mathematics' internal and external connection by linking it with the subjects of other areas.

On the Attractive Teaching Method of mathematics Using Living Mathematics (생활수학을 활용한 효과적인 수학교육 방안)

  • Park, Hyung-Bin;Lee, Heon-Soo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1 no.2
    • /
    • pp.135-152
    • /
    • 2008
  • In this paper, we survey the thought of students for the reason of the study of mathematics, for mathematics, for the textbook of mathematics and the attitude appling mathematical knowledge in the real life and analyze that. We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how to study mathematics and that motivates study of mathematics to students. Student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how to use basic knowledge of mathematical theory in the real life and have for the study of mathematics.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 the reason for studying mathematics in the real life and analyze the way how to use basic knowledge of mathematical theories through actual examples. The reasons for studying math are divided into 3 categories: mathematics for obtaining common sense and wisdom, practical mathematics for application, and mathematics as a liberal art for promoting our characters and recreation. We investigate the reasons for studying mathematics in each category. By theses results, we make the effectual educational method for mathematics and investigate the effect.

  • PDF

Applying the Mathematical Processes to an Elementary School Class for Mathematics (초등 수학 수업을 위한 수학적 과정의 적용)

  • Chang, Hyewon;Kim, Minse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7 no.1
    • /
    • pp.19-37
    • /
    • 2013
  •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mathematics emphasizes the mathematical processes which consist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reasoning,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is study focused on applying these processes to an elementary school class for mathematics. Even though they say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mathematical processes are realized in every mathematics class, any vague intention for their application without specific plans is apt to be apart from meaningful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lesson pla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omparison of bar graphs and line graphs for 4th grade students based on the mathematical processes. And we applied it to 27 subjects.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ir activities and communications, we discussed about the guidelines of applying the mathematical processes to elementary school classes for mathema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