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점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3초

전공체육 강의에서 e-러닝 활용의 제약 분석 (Analysis of constraints about using for e-learning in Sports Class)

  • 최성훈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0-41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울산대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전공체육 강의에서 e-러닝 활용의 제약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e-러닝이 활용된 강의는 이론 과목으로써 여가학(3학점)과 실기 과목으로써 수영(1학점), 축구(1학점), 테니스(1학점) 등이었고, 사용된 홈페이지의 주소는 http://sunghun.ulsan.ac.kr 이었다. 연구방법은 심층면접과 관찰, 그리고 교수자의 서술이었다. 연구결과 e-러닝 활용의 제약은 다음과 같다. 먼저, e-러닝에서 학습자의 제약은 낮은 컴퓨터 활용능력, 정보 공유의 문제, 상호작용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의 제약은 용어사용의 혼란, 학습자들의 e-러닝에 대한 인식의 부족, e-러닝 강의의 진행에 따른 교수자의 시간 부족과 기술적 제약, 동료 교수자와의 형평성의 문제, 교수자들의 e-러닝에 대한 부담감 등이었다. 셋째, 구조적 제약은 대학의 행정적 기술적 제약 등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여가제약 이론은 전공체육 강의에서 e-러닝 활용상의 제약을 이론적으로 접근하는데 도움을 주었지만, e-러닝 활용의 제약이 어디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어떻게 학습자의 참여수준이 결정되는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둘째, 전공체육 강의에서 e-러닝이 활용되어 강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강의의 계획단계에서 철저하게 준비되어야 한다. 셋째, 전공체육 강의에서 e-러닝 활용은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기존의 강의보다 2-3배 이상의 노력이 요구된다.

  • PDF

고교학점제 수강 고등학생을 위한 데이터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Data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Tak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김세민;우성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71-47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에서 데이터과학 과목을 신청한 학생들을 위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에 데이터과학교육에 대하여 기존 연구와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학습 계획을 설계하였으며, 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고교학점제를 위한 데이터과학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으므로 기존의 학교 현장에서 연구되었던 데이터 과학 교육에 대한 연구를 참고하여 문제 정의,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모의 분석의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교학점제에서 데이터과학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선취 학점 인정을 위한 예비대학 프로그램 개발 (Articulated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for the credit transfer)

  • 박성종;한명석;김갑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3권1호
    • /
    • pp.53-6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2+2 연계 교육 활성화를 위한 예비대학 프로그램 적용에 있으며 이를 위해 실업계 고교 교사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의견 조사를 하여 선취 학점 인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술을 습득하고 미래에의 대처 능력을 갖추어 한번 속한 직업분야에서 다른 분야로 전이 할 수 있는 기본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대학의 선취 학점 인정을 위한 실습 주제 및 실습 내용을 결정하였고 이를 통해 예비대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한국 대학 교양교육에 만족을 주는 서비스 품질요인과 교육요인 및 단과대학별 만족도 분석 연구 (Identification of Critical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al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Korea)

  • 장대성;이정현;조영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01-110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서비스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분석 결과 학생들은 교수들의 공감성 및 신뢰성 그리고 모든 서비스 품질요인들에 만족을 하고 공부하고 싶은 과목과 학점취득이 쉬운 과목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부의 양과 수강생수의 규모 등 수업의 내용과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육 요인들은 만족도에 전혀 영향을 주고 있지 않다. 학생들은 좋아하는 과목을 교수들이 쉽고 편하게 자상하게 해주면서 학점을 잘 주면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과 학업성취: 대학생을 중심으로 (Happiness improves academic achievement)

  • 김경미;류승아;최인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4호
    • /
    • pp.329-346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행복과 학업성취에서 선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서울 지역 대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그리고 지난 학기의 학점을 측정하였고, 1년이 지난 후 동일한 내용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삶의 만족도와 긍정정서는 1년 후의 객관적인 학업성취, 즉 학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정정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학점이 1년 후의 행복, 즉 삶의 만족도,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학업성취가 행복의 선행요인은 될 수 없으나, 행복은 학업성취의 긍정적인 선행요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부정정서보다는 긍정정서와 삶의 만족도가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하는 데 더 효과적인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 PDF

고교학점제에서의 데이터과학 수업 방안 (Plan for data science class in high school credit system based curriculum)

  • 김세민;홍기천;유강수;서성원;우성희;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04-40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를 위하여 데이터과학 수업 방안을 설계하였다. 초·중학교나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는 시수 확보가 쉽지 않아서, 데이터과학과 같은 새로운 과목을 학습자가 마음껏 수강할 수 없지만, 고교학점제를 통하여 원하는 과목을 신청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A시의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데이터과학을 신청한 15명의 학생을 위하여 ADDIE 모형에 기반하여 수업 방안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습 방안에 따른 데이터과학 수업 과정을 설계할 수 있었다.

  • PDF

'동료 튜터링'에 참가한 목표달성 집단과 미달성 집단의 차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를 중심으로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between Low-Achievers Participating in Peer Tutoring)

  • 황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81-59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동료 튜터링(학습 튜터링)'의 참가 영향을 분석하여, 유관 프로그램 개선 및 운영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참가자 중 목표달성 집단(학점 상승)과 미달성 집단(학점 하락)의 차이를 학점 변화 및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의 차이로 비교, 분석해보고, 둘째, 세 변인의 관련성이 어떠한지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세종시 소재 H 대학교, 학습 튜터링 참가자 1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검정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략한 연구 결과는, 첫째, 튜터링 참여 후 목표달성 집단(124명, 80.52%)은 학점이 상승하였고, 참가자 전체의 학점 평균도 상승하였다. 둘째, 성별, 학년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목표달성 집단은 미달성 집단보다 세 가지 변인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넷째, 세 가지 성과 변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이 학습전이의 71%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료(학습) 튜터링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실재감 향상을 위한 활동 전략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전문대학 치위생과 교육과정 편제의 변화 추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urriculum Changes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of Colleges)

  • 최규일;최병옥;최호성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85-106
    • /
    • 2010
  • 교육과정 편제의 내용은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의 교육내용 성격, 이수학점, 이수구분, 학기 변경, 과목 명칭, 과목의 개설, 폐지 및 통합 등의 정보를 담고 있어서, 대학의 교육과정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가장 집약적으로 나타내 준다. 그러므로 대학의 치위생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구성 운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편성 체제와 편제표를 분석해야 한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을 분석해 보면 당해 연도의 학교별 교육과정 편제를 분석하여 치위생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그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전국의 치위생과 교육과정 편제 추이를 설명하기에는 다소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30년간 치위생과의 교육과정이 어떤 체제와 내용을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는지를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주요 대학의 이수학점, 이수과목, 이수구분 등에서 다양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대별로 어떤 시기에는 대폭 축소되었던 학점이 다시 증가하기도 하고, 다시 줄어들기도 하는 불규칙한 변화 양상들이 대학들 간에 나타났다. 그 이유는 각 대학별로 이수학점 이수구분 이수과목의 결정근거가 다르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특정 대학의 교육과정을 결정함에 있어서 설계 요인의 근거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만약 치위생과의 교육과정을 결정하는데 작용하는 중요 요인들에 대해 합의를 도출할 수 있다면, 각 대학의 교육과정이 지닌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호주와 핀란드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점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Credit System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Australia and Finland)

  • 최수정;전영욱;류지은;이은표;고귀영;서예린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6호
    • /
    • pp.191-210
    • /
    • 2017
  • 이 연구는 호주와 핀란드를 중심으로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학점제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호주와 핀란드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체제와 교육과정 편성, 운영, 평가 및 연계를 검토하고 비교하였다. 호주와 핀란드는 중등단계 직업교육 체제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는데, 호주는 지방분권적 체제 하에서 종합고등학교 내에서 운영되는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반면, 핀란드는 중앙집권적 체제로 일반교육과 구분되는 별도의 직업교육 기관에서 직업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측면에서는 두 국가 모두 학점제에 기반하고 있으며, 무학년제를 채택하고, 학생의 교과 선택권을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점제 도입과 관련하여, 정책적·학문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