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Curriculum Changes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of Colleges

전문대학 치위생과 교육과정 편제의 변화 추이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08.05
  • Accepted : 2010.09.04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iagnose the curriculum framework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Through document analysis process, this study found several empirical data which could give us a clue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changes and factors which have impacts on those changes in curriculum at college level. In this study, we could conclude that even curriculum changes at college level had been influenced by social changes like extention of academic years from 2 years to 3 years and changes in licensure test at national level. And also, essential issues in college curriculum like amount of credits, course titles, and requirements-electives distinction etc. also were changed in accordance to social changes and request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many difference of objectives, credits and course titles among colleges. For that, colleges will form a consultative group under the college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suggest that college curriculum should be flexibly and effectively adapted to changes coping with social and policy changes.

교육과정 편제의 내용은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의 교육내용 성격, 이수학점, 이수구분, 학기 변경, 과목 명칭, 과목의 개설, 폐지 및 통합 등의 정보를 담고 있어서, 대학의 교육과정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가장 집약적으로 나타내 준다. 그러므로 대학의 치위생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구성 운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편성 체제와 편제표를 분석해야 한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을 분석해 보면 당해 연도의 학교별 교육과정 편제를 분석하여 치위생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그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전국의 치위생과 교육과정 편제 추이를 설명하기에는 다소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30년간 치위생과의 교육과정이 어떤 체제와 내용을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는지를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주요 대학의 이수학점, 이수과목, 이수구분 등에서 다양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대별로 어떤 시기에는 대폭 축소되었던 학점이 다시 증가하기도 하고, 다시 줄어들기도 하는 불규칙한 변화 양상들이 대학들 간에 나타났다. 그 이유는 각 대학별로 이수학점 이수구분 이수과목의 결정근거가 다르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특정 대학의 교육과정을 결정함에 있어서 설계 요인의 근거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만약 치위생과의 교육과정을 결정하는데 작용하는 중요 요인들에 대해 합의를 도출할 수 있다면, 각 대학의 교육과정이 지닌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경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