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령 초기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18초

학령 초기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와 영향 요인 (Cell Phone Addiction in School-Age Children and Related Factors)

  • 구현영;김은정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55-63
    • /
    • 2015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4학년생인 학령 초기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를 알아보고, 개인적 특성과 부모 관련 특성이 휴대전화 중독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부모 163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 및 자기 통제력과 부모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 및 휴대전화 사용 통제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9.0 IB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검정하였다. 결과 학령 초기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를 표준점수에 따라 분류하면, 일반 사용군이 86.5%, 위험 사용군이 9.2%, 고위험 사용군이 4.3%였다.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는 아동의 게임 여부와 부모의 월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는 부모의 휴대전화 사용 정도와 순 상관관계가 있었고, 아동의 자기 통제력 및 부모의 휴대전화 사용 통제와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령 초기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동의 자기 통제력, 아동의 게임 여부, 부모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 및 부모의 휴대전화 사용 통제였으며,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24%였다. 결론 학령 초기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는 개인적 특성뿐 아니라 부모 관련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령초기 아동의 올바른 휴대전화 사용을 위한 중재방안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할 때 개인적 특성뿐 아니라 부모 관련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학령기 아동의 게임 사용시간 변화궤적 분석 : 잠재계층성장분석(LCGM)을 활용하여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Computer Game Use among School Age Children: Using Latent Class Growth Model)

  • 김동하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303-32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아동발달의 변화성과 다양성을 고려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학령기 아동의 게임 사용시간의 변화궤적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다차원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의 초1패널의 2차년도에서 6차년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최종 분석대상자는 총 1959명이다. 분석방법으로는 학령기 아동의 게임 사용시간 변화궤적 유형화를 위해서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예측요인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학령기 아동의 게임 사용시간 변화궤적은 '게임 저사용 증가집단', '게임 초기 고사용-변동 집단', '게임 고사용 증가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성별, 공격성, 주의집중, 방과후 보호자 부재, 주양육자의 교육수준, 형제자매, 방임, 가구소득, 연간 가족여행 횟수, 학교성적, 또래관계가 각 유형의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학령기 초기 아동의 게임 과다사용에 대한 예방적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유용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령 초기 아동의 사회적 행동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Early School-age Children's Experiences on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 송승민;도현심;김민정;김수지;신나나;김아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29-35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학령 초기 아동의 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사회적 행동을 관찰하여 변화의 과정을 질적 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김민정(2008)의 사회적 기술훈련을 수정 보완하여 7명의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8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참여관찰 노트, 프로그램 진행자의 일지, 보조진행자의 칭찬 노트, 비디오 녹화 자료, 아동의 그림일기 자료들을 전사, 코딩, 주제의 발견 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계형성의 시작: (1) 수줍음과 정서적 위축, (2) 자기만의 세계에 몰입, (3) 나누기' 및 '함께하기'의 어려움, (4) 타인과의 부정적 상호작용, (5) 사회적 규칙준수의 어려움. 둘째, 정서 및 의사표현의 변화: 분명하고 직접적인 정서 및 의사표현. 셋째, 친사회성의 변화: (1) 주위에 대한 관심 및 상호작용 증진, (2) 협동 놀이, (3) '나누기' 및 '도움주기'등의 베푸는 행동. 넷째, 사회적 기술의 변화: (1) 사회적 규칙의 인식 및 실천, (2) 사회적 문제 해결하기.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통해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이 학령 초기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정서표현에 미치는 긍정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융합시대 학령초기 아동대상 스트레스-대처 모델 기반 Zippy's Friends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Zippy's Friends program Based on Stress-Coping Model on Early -Child in Convergence Era)

  • 김민이;고하늘;김수진;김보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59-367
    • /
    • 2019
  • 본 연구는 스트레스-대처 모델을 기반 한 'Zippy's Friends' 프로그램이 학령초기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에 의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시의 초등학교 1학년 학생 148명(실험군 72명, 대조군 76명)이었다. 실험군은 'Zippy's Friends' 프로그램을 24주 동안(6모듈 총 24 회) 받았다. 대조군은 어떤 처치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자기보고형 구조화된 설문지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hi}^2$-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정서지능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고(t=-.37, p=.715), 스트레스 대처능력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F=22.77, p<.001)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령초기 아동들에게 학교기반 정신건강 중재로서 '지피의 친구들'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초기아동 어머니의 근시 인식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Myopia in Children's Mother)

  • 김진향;양순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4-221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myopia in early school-aged children's mother and develope myopia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1th to 24th, 2003. The sample group(two elementary schools in A city)consisted of 105students mother with normal vision(naked vision 1.0 or more), 105 students mother with subnormal vision(0.7 or les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A.S. For the test of homogeneity and significance of variable, Fisher's Exact test and Student's t-test were used. Result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being changed the children's eyesight between normal and myopia group(t=7.86, p=.0492). 2. High scores of cause of myopia were distance from TV or computer to viewer and time of watching TV or using computer in both groups.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score of cause of myopia in the myopia group was 13.26, and 18.04 in the normal group(t=3.01, p=0.003). Especially in the unbalanced and regulated diet, regulated exercise, distance of eyes reading books and illumination, normal group had more perception score than myopia group. Conclusion: A myopia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parents should be planed and the effect be verified.

  • PDF

학령 초기 자녀의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arenting Behavior Scale for Parents of Early School-Age Children)

  • 이선희;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1-133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 parenting behavior scale for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and to analyze the scale in terms of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mothers of $1^{st}$ to 3rd grade students in four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778 mothers were administered a parenting behavior scale with 123 items, and 779 mothers were ask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in which 45 items remained after a series of analyse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dentified five factors, Warmth, Reasoning, Intrusiveness, Coercion, and Neglect. The Cronbach's ${\alpha}$ of each factor demonstrated results of .82~.86, suggesting that the scale ha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Concurrent validity was established by using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oreover, cross-validation was also verified for the five factors. Conside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cale, it can clearly serve as a useful tool for assessing parenting behavior which is closely related to child development.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능력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Program on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 김은영;박윤이;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7-47
    • /
    • 2009
  • 목적: 본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7~13세의 학령기 아동 5명으로, 실2험기간은 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 회7기 당 0분씩 총 26회기의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실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Bruininks-Osereta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 사회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성 기초기능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을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BOT-2,(Wi사회성 기초기능척도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 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학령기 아동의 실행능력,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학령기 아동에게 그룹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효과를 제시하여 학령기 아동의 그룹치료에 대한 초기연구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감각통합 치료적용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수를 늘리고 표준 데이터를 제시해 줄 수 있는 다양한 평가기준을 사용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소년영재의 창의적 성향.창의적사고력.다중지능.도덕성에 관한 탐색 (An Exploration on the Creative Disposition, Creative Thinking Power, Multiple Intelligences and Morality of Gifted Children)

  • 류봉선;이경은;홍성용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979-992
    • /
    • 2011
  • 영재들은 경험을 통해 많은 재능을 발달시켜나간다. 영재들의 재능 혹은 능력을 최대한 발현시키기 위해서 학령기 초기부터 다양한 환경을 제공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영재들이 가진 그들의 관심과 적성 및 흥미를 학령기 초기부터 알 수 있다면 성장하고 발달하며 진로를 탐색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초기에 해당하는 유소년영재의 창의적 성향 창의적사고력 다중지능 도덕성의 검사를 통해 유소년 영재의 정의적 인지적 특성을 탐색하여 유소년 영재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찰추천을 통해 선발된 유소년 영재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 성향 창의적사고력 다중지능 도덕성의 학년에 따른 결과는 2학년과 3학년의 차이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창의적 성향 다중지능 도덕성의 하위영역에서 여학생이 2학년에서 높았으며 3학년은 차이가 없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소년 영재들은 남녀 구분 보다 발달적 이해와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질 높은 적절한 학습 환경의 초기노출이 유능한 인재로의 성장에 도움을 주며, 학년이 높을수록 앞으로 자기 목표의식을 분명히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