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f Early School-age Children's Experiences on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령 초기 아동의 사회적 행동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 송승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김민정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김수지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신나나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김아연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4.12.15
  • Accepted : 2015.02.03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develop a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early school-age children's social behavior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iveness by observing their experiences on the program with a qualitative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7 children using observer's descriptive notes and reflective notes, compliment notes by assistant leader, program leader's weekly journals, children's weekly journals, and video recordings. Four theme categories and 11 sub-lower categories emerged. Theme categories were (1) relationship building, (2) changes in emotional expressions, (3) changes in prosociality, and (4) changes in social skills. This study observed early school-age children's positive changes in social behaviors and emotional expressions through the social skills program.

본 연구에서는 학령 초기 아동의 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사회적 행동을 관찰하여 변화의 과정을 질적 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김민정(2008)의 사회적 기술훈련을 수정 보완하여 7명의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8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참여관찰 노트, 프로그램 진행자의 일지, 보조진행자의 칭찬 노트, 비디오 녹화 자료, 아동의 그림일기 자료들을 전사, 코딩, 주제의 발견 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계형성의 시작: (1) 수줍음과 정서적 위축, (2) 자기만의 세계에 몰입, (3) 나누기' 및 '함께하기'의 어려움, (4) 타인과의 부정적 상호작용, (5) 사회적 규칙준수의 어려움. 둘째, 정서 및 의사표현의 변화: 분명하고 직접적인 정서 및 의사표현. 셋째, 친사회성의 변화: (1) 주위에 대한 관심 및 상호작용 증진, (2) 협동 놀이, (3) '나누기' 및 '도움주기'등의 베푸는 행동. 넷째, 사회적 기술의 변화: (1) 사회적 규칙의 인식 및 실천, (2) 사회적 문제 해결하기.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통해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이 학령 초기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정서표현에 미치는 긍정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홍숙, 강만철 (2006). 협동학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아동교육, 15(1), 69-82.
  2. 고옥희 (2003). 통합적 미술협동작업에서 집단구성유형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상호작용의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권세은, 이순형 (2002). 시설보호 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정서조망 능력의 비교. 아동학회지, 23(2), 107-120.
  4. 권정윤, 정미라, 홍소영, 박수경 (2010).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341-358.
  5. 김민정 (2008). 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영천 (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7. 김은해 (2009). 모래놀이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지영 (2008). 놀이를 활용한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2), 1-20.
  9. 김현정 (2004). 인지적 행동수정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 감소와 학교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도영숙 (2008). 실내 모래놀이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도현심, 권정임, 박보경, 홍성흔, 홍주영, 황영은 (2003). 또래괴롭힘 피해아의 특성에 기초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4(4), 103-121.
  12. 도현심, 김민정, 박보경, 황영은 (2006).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학급 단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인간생활환경연구소 논집, 5, 41-57.
  13. 박경애 (2006).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독서치료연구, 2(2), 17-46.
  14. 박경희, 이진희 (2011). 연령 간 교류를 위한 친사회성 증진 버디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들의 경험과 변화과정. 유아교육연구, 31(3), 353-380.
  15. 박진재, 이은해 (2002).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적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유아교육학회, 22(2), 83-111.
  16. 박찬옥, 황소영 (2012). 또래관계 형성과정에서의 외톨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회지, 16(1), 325-349.
  17. 박혜란 (2010). 학급단위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희애 (2010). 사회성증진 집단 프로그램과 학령전기 아동의 또래수용도, 대인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변미진, 박지연 (2013).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정서, 행동장애 위험아동이 포함된 일반학급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9(2), 93-119.
  20. 심미경, 허혜선 (2003). 소집단 미술활동이 고립 유아의 또래간 상호작용 증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19(2), 287-305.
  21. 안영임 (2010). 모래상자놀이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유연수, 이양희 (2001). 사회적 고립 아동의 사회기술훈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아동학회지, 22(4), 51-67.
  23. 이경령 (2003). 그림동화책을 통한 역할놀이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경숙 (2009).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학연구, 15(2), 39-56.
  25. 이영애 (2002). 집단미술기법이 유아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재윤 (2004).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정숙, 김소연 (2001). 사회극이 아동의 외로움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2(3), 75-90.
  28. 이태영, 강문희 (2001). 유아를 위한 사회적 유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 검증. 유아교육연구, 21(3), 293-325.
  29. 정계숙, 문성숙 (1998).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의 유아 사회적 기술 향상 효과에 대한 연구. 교사교육연구, 36, 55-81.
  30. 정대현 (2006).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유아-교사관계.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 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정승미 (2000). 역할놀이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최순연 (2008). ADHD 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활동 프로그램.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최영옥 (200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통계청 (2013).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35. 하영례 (2009).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홍승연 (2013). 학령기 ADHD 아동의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Ang, R. P., & Hughes, J. N. (2002). Differential benefits of skills training with antisocial youth based on group composition: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School Psychology Review. 31(2), 164-185.
  38. Antshel, K. M., & Remer, R. (2003). Social skills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randomized-controlled clinical trial.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2(1), 153-165.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3201_14
  39.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40. Beelmann, A., & Lㅐsel, F. (2006). Child social skills training in developmental crime prevention: Effects on antisocial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Psicothema, 18(3), 603-610.
  41. Beelmann, A., Pfingsten, U., & Losel, F. (1994). Effects of training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A meta-analysis of recent evaluation studie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3(3), 260-271.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303_4
  42. Chittenden, G. E. (1942). An experimental study in measuring and modifying assertive behavior in young childre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7(1), 1-87. https://doi.org/10.2307/1165460
  43. Coie, J., Terry, R., Lenox, K., Lochman, J., & Hyman, C. (1995). Childhood peer rejection and aggression as predictors of stable patterns of adolescent disorder.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4), 697-713.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6799
  44. Combs, M. L., & Slaby, D. A. (1977). Social-skills training with children. In Advances in clinical child psychology (pp. 161-201). NY: Springer US.
  45. Creswell, J. W., & Miller, D. L. (2000). Determining validity in qualitative inquiry. Theory into Practice, 39(3), 124-130.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3903_2
  46. Eisenberg, N. (1982).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NY: Academic Press.
  47. Elias, M. J., & Clabby, J. F. (1992). Building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Guidelines from a school-based program. San francisco, CA: Jossey-Bass.
  48. Elliott, S. N., Malecki, C. K., & Demaray, M. K. (2001). New directions in social skill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xceptionality, 9(1-2), 19-32. https://doi.org/10.1080/09362835.2001.9666989
  49. Ellis, A. (1967). Reason and emotion in psychotherapy. Ny: Lyle Stuart.
  50. Gaffney, L. R., & McFall, R. M. (1981). A comparison of social skills in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adolescent girls using a behavioral role-playing invent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9(6), 959-967. https://doi.org/10.1037/0022-006X.49.6.959
  51. Glesne, C. (1999).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2nd ed). NY: Longman.
  52. Goleman, D., Boyatzis, R. E., & McKee, A. (2013).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Cambridge, MA: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53. Johnson, D. W., & Johnson, R. T. (1989).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heory and research. Edina, Minnesota: Interaction Book Company.
  54. Katz, L. G., & McClellan, D. E. (1997). Fostering children${\box}$s social competence: The teacher${\box}$s role. Washington, DC: NAEYC.
  55. Kendall, P. C. (1993).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with youth: guiding theory, current status, and emerging developm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2), 235-247. https://doi.org/10.1037/0022-006X.61.2.235
  56.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57. Lochman, J. E., Coie, J. D., Underwood, M. K., & Terry, R. (1993). Effectiveness of a social relations intervention program for aggressive and nonaggressive, rejected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6), 1053-1058. https://doi.org/10.1037/0022-006X.61.6.1053
  58. McCabe, P. C. (1998). Efficacy of the Enhance Social Competence Program with typical and language-delaye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fstra University.
  59. Parker, J. G., & Asher, S. R. (1987).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3), 357-389. https://doi.org/10.1037/0033-2909.102.3.357
  60. Piaget, J. (1952). The origi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NY: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61. Roff, M. F., Sells, S. B., & Golden, M. M. (1972). Social adjustment and personality development in children.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62. Samanci, O. (2010). Teacher views on social skills development in primary school students. Education, 131(1), 147-157.
  63. Segrin, C. (2000). Social skills deficits associated with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3), 379-403. https://doi.org/10.1016/S0272-7358(98)00104-4
  64. Shure, M. B., & Spivack, G. (1982).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in young children: A cognitive approach to prevent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0(3), 341-356. https://doi.org/10.1007/BF00896500
  65. Spence, S. H. (1981). Differences in social skills performance between institutionalized juvenile male offenders and a comparable group of boys without offence record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3), 163-171. https://doi.org/10.1111/j.2044-8260.1981.tb00514.x
  66. Spence, S. H. (1995). Social skills training: Enhancing social competence and children and adolescents. Windsor, UK: The NFER-NELSON Publishing Company Ltd.
  67. Spence, S. H. (2003). Social skills training with children and young people: Theory, evidence and practice.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8(2), 84-96. https://doi.org/10.1111/1475-3588.00051
  68. Spence, S. H., Donovan, C., & Brechman-Toussaint, M. (1999). Social skills, social outcomes, and cognitive features of childhood social phobia.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8(2), 211-221. https://doi.org/10.1037/0021-843X.108.2.211
  69. Spence, S. H., Donovan, C., & Brechman-Toussaint, M. (2000). The treatment of childhood social phobia: The effectiveness of a social skills training based,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 with and without parental involve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41(6), 713-726. https://doi.org/10.1111/1469-7610.00659
  70. Teglasi, H., & Rothman, L. (2001). STORIES A classroom-based program to reduce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9(1), 71-94. https://doi.org/10.1016/S0022-4405(00)00060-1
  71. Webster-Stratton, C., & Hammond, M. (1997). Treating children with early-onset conduct problems: A comparison of child and parent training interven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5(1), 93-109. https://doi.org/10.1037/0022-006X.65.1.93
  72. Webster-Stratton, C., Rinaldi, J., & Reid, J. M. (2010). Long term outcomes of the Incredible Years parenting program: Predictors of adolescent adjustment.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16(1), 38-46. https://doi.org/10.1111/j.1475-3588.2010.00576.x
  73. Wilson, D. B., Gottfredson, D. C., & Najaka, S. S. (2001). School-based prevention of problem behaviors: A meta-analysis.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17(3), 247-272. https://doi.org/10.1023/A:1011050217296
  74. Wilson, S. J., Lipsey, M. W., & Derzon, J. H. (2003). The effects of school-based intervention programs on aggressive behavior: A meta-analysi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1(1), 136-149. https://doi.org/10.1037/0022-006X.71.1.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