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정책

검색결과 1,512건 처리시간 0.031초

현행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맥락에 관한 탐색 연구 : Cooper 등의 4차원 정책분석 모형 적용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he School Arts & Culture Education Policy : Application of Cooper's Four Dimension Model)

  • 최현락;장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7-67
    • /
    • 2018
  • 본 연구는 Cooper, Fusarelli와 Randall(2004)의 4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둘러싼 핵심 쟁점을 규범적, 구조적, 구성적, 기술적 차원별로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으로서 그동안 축적된 정책문서와 학술논문 등을 근거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규범적 차원에서는 국가성장 이데올로기 및 과도한 관료적 합리성 추구의 극복이, 구조적 차원에서는 교사수권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혁을 통한 실질적 형식과 내용의 확보가, 구성적 차원에서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한 구성원 간의 명확한 역할 구분이, 그리고 기술적 차원에서는 확고한 교육학적 기준에 근거한 자원의 합리적 배분이 요청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의 기초학술연구 진흥, 교육당사자의 의견수용, 교원의 문화경험기회 확대, 통합적 문화예술교육 연수체제 구축, 교원양성체제 정비, 예술강사의 교육전문성 강화 등을 향후 연구 및 실천과제로 제시하였다.

호주의 학교다양화 사례 분석 - 후기중등과정을 중심으로 - (Senior High School Diversification in Australia)

  • 박삼철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179-19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중등과정의 다양성을 추진하고 있는 호주의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다양화를 학교 내 프로그램 다양화와 학교 간 다양화로 유형화하여 호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탐색의 결과, 호주의 전통적인 후기중등학교 체제는 학교 간 다양화의 특성을 보이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학교 내 프로그램 다양화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개혁의 목표는 보다 많은 학생들이 12학년의 학교과정을 이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학교 간 다양화 사례에는 선발학교와 사립학교, 특수목적 학교들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특수목적 학교의 운영 특징은 특수목적의 교육과정과 일반 교육과정을 병행하는 이원화된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첫째, 호주의 고교다양화 정책은 학교 간 다양화의 기초위에 학교 내의 다양화를 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 학교 간 다양화 방안은 학교 간 차이에 따른 교육적 불공평의 문제가 필연적으로 제기될 수 있으므로 공평성의 원리에 따라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섬세한 정책적 대안이 함께 추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평생학습 사회의 심화와 인간의 수명 연장 등과 같은 사회적 변동 현상은 일반 학생들에게도 1차적 기술교육 혹은 직업교육의 확대를 필요로 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

초·중등 학부모의 정보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한 정보교과 공교육 정착 방안 탐색 (Exploring the Public Education Settlement Plans of Informatics Subject through the Perception Analysi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 윤일규;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1-4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핵심 주체인 초 중등 학부모의 '정보'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2018년부터 필수화를 앞두고 있는 '정보' 교과의 공교육 현장 적용으로 인해 발생가능 한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합의점과 안정적인 공교육 정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K대학교의 SW교육 가치 확산을 목적으로 운영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습자 대상 SW 캠프 참여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정보' 교육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 모두 정부의 SW인재양성정책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으나, 정부에서 추진 중인 SW인재양성 정책의 시의성과 교육 정책 수립 및 지원에 대해 불신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들은 '정보'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으며, 고등학교에서도 정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들은 현행 '정보' 교육 시수가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 교육의 공교육 정착을 위한 선행 요인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부모 모두 전문 역량을 갖춘 교원확보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 중등 공교육 현장에 '정보' 교육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한국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의 현황과 과제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Out of School Children Health Check-up)

  • 김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46-558
    • /
    • 2019
  • 건강불평등은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상의 차이를 일컫는다. 여러 학자들은 경제적, 사회적 불평등이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건강 불평등을 축소하려는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여성가족부가 지난 2016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을 한국 사회의 건강불평등 감소 정책의 일환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국가건강검진제도에서 소외됐던 학교 밖 청소년을 검진제도 내로 편입한 것은 국가차원의 건강불평등 완화 정책으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지금까지 학교 밖 청소년은 한국 사회에서 소외집단이었을 뿐 아니라, 건강검진제도 내에서도 사각지대에 있었다. 이중의 상당수는 가족주의가 굳건한 한국사회에서 가족의 보호와 지원을 받지 못한 채 거리로 쫓겨난 어린 노동자임에도 불구하고 '일탈적인 10대', '가출 청소년', '비행 청소년' 등으로 불리며 차별받았다. 현행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은 대안학교에 다니거나 쉼터에 거주하는 등 비교적 주거파악이 쉬운 청소년 위주로 실시되고 있다. 이 제도의 실질적인 성과를 위해서는 주거가 불안정한 가출 청소년까지 검진제도 내로 포섭하는 접근성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검진 사후관리, 예방접종과 정신건강, 검진주기 단축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한 방법과 실행이 더해져야 할 것이다.

환경교육이 에너지 및 쓰레기 절감에 미치는 정량적 효과에 관한 연구 (The Quantitativ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Energy-Saving and Garbage-Reducing Behaviour)

  • 이진권
    • 환경정책연구
    • /
    • 제8권4호
    • /
    • pp.51-73
    • /
    • 2009
  • 오늘날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경교육이 에너지 절감 또는 쓰레기 절감에 미치는 정량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환경교육이 집중적으로 행해지는 집단과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집단의 에너지 및 쓰레기 절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환경교육의 강화는 에너지 절감 및 쓰레기 절감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환경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학생들 가정에서의 제 요금 및 학교에서 남기는 음식의 양이 일반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는 학생들 가정에서의 제 요금 및 학교에서 남기는 음식의 양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에너지 절감 및 쓰레기 절감을 위해 환경시범학교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교육 정책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PDF

계층화 의사결정방법을 통한 교육환경 분석 - 고교학점제 고등학교 공간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 Focused on High school credit system space restructuring -)

  • 오정란;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4호
    • /
    • pp.70-7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를 포함하여 학교 공간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고교학점제 교육환경 구성 시 가장 적합한 요소를 도출한 후 중요도 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분석요인으로 도출된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각 단위학교의 고교학점제 교육환경 조성에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하고 고교학점제에 따른 교육환경의 공간적 중요도를 통한 교육정책적 방향 선정시 신축학교와 기존 학교의 차별화된 접근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서 관련 전문가를 통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을 통하여 교육환경의 중요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환경 구축을 위해 전략적 중요도를 중심으로 선택적이고 집중적으로 교육환경의 기능을 수행하고 그 활성화를 극대화하는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의 상호관계 등에 대한 분석적 고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GIS 데이터를 활용한 대학입학 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anagement System for matriculation Using GIS Data)

  • 이현직;이규만;장한수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1-406
    • /
    • 2007
  • 대학 입학생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각 대학 당국에서는 많은 입학생 유치와 학교 운영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대학의 입시 및 입학현황 자료는 대학당국의 입학 및 홍보정책을 결정하고, 나아가 학교생활복지를 향상하는데 있어서 중요성이 매우 높은 자료이다. 따라서 다양한 입시 및 입학 관련 현황 자료와 대학 결정 요인을 고려한 효율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입학관리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학입시 지원자, 합격자 및 등록자의 자료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는 대학입학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해당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역별 지원자, 지역별 합격자, 지역별 등록자, 지원자 대비 합격률 및 최근 3년간 지원자 변화율을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대학의 입학홍보정책 및 학교운영에 요구되는 합리적이고 적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서관전문가의 관련 위원회 참여와 도서관 정책제언 활동을 통한 도서관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ies by the Library Professionals' Participation on Library Related Committees and Advocacy)

  • 배창섭;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7-309
    • /
    • 2009
  • 21세기 다원화된 사회에서 도서관의 발전을 위해서는 도서관인 스스로가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 발전을 위해 많은 도서관인들이 함께 참여 할 수 있는 영역으로 도서관 관련 위원회 활동을 제안한다. 도서관전문가들이 도서관 관련 위원회에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다른 위원들을 대상으로 도서관과 사서배치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이해시키고 도서관 정책제언을 한다면, 이러한 활동이 개별 도서관과 더 나아가 국가 전체의 도서관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전문가들의 공공 및 대학도서관 운영위원회 그리고 학교도서관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운영위원회 활동을 통한 도서관 발전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PDF

초ㆍ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과와 학교도서관 전망 연구 (A Study o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formation and Library’ Subject and a Prospect for School Libraries)

  • 함명식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집
    • /
    • pp.7-20
    • /
    • 2002
  • 학교도서관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은 관심 속에서 발전하고 있다. 그림에도 불구하고 학교도서관을 운영할 사서교사의 배치는 난관에 부딪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도서관의 고유한 역할인 참고봉사의 기능을 학교 교육과 연계시켜 한가지 해결책을 제시한다. 도서관 업무의 꽃이라고 하는 참고봉사는 기본 2대 기능이 정보와 교육에 있다. 이중에서 교육 기능의 측면에서 어떻게 사서교사를 학교도서관에 배치할 수 있는가하는 점에 초점을 두고 이 논문을 전개한다. 또 본고에서는 국내외 정보이용 교육과정, 초ㆍ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구성과 기반 이론, 향후 현장 학교도서관과 학계에 미칠 교과교육학의 영향,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정책 방향 등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중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n School Adjust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 이시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22-631
    • /
    • 2017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5년 청소년 나눔활동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의 횡단조사 데이터를 토대로 중학생 총 2,12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는 학교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는 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공동체의식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향상 및 진로성숙도와 공동체의식의 함양에 관련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