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 Focused on High school credit system space restructuring -

계층화 의사결정방법을 통한 교육환경 분석 - 고교학점제 고등학교 공간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

  • 오정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 이용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0.12.07
  • Accepted : 2020.12.28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many preceding studies on school space, includ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ttempts to present the importance after deriving the most appropriate factors when construc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ased on the derived importance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is helpfu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each school and to establish and present a model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by deriving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 research metho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selectively and intensively performs functions and maximizes the effect according to the strategic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를 포함하여 학교 공간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고교학점제 교육환경 구성 시 가장 적합한 요소를 도출한 후 중요도 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분석요인으로 도출된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각 단위학교의 고교학점제 교육환경 조성에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하고 고교학점제에 따른 교육환경의 공간적 중요도를 통한 교육정책적 방향 선정시 신축학교와 기존 학교의 차별화된 접근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서 관련 전문가를 통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을 통하여 교육환경의 중요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환경 구축을 위해 전략적 중요도를 중심으로 선택적이고 집중적으로 교육환경의 기능을 수행하고 그 활성화를 극대화하는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의 상호관계 등에 대한 분석적 고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교육부.
  2. 교육부 (2017).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계획 발표.
  3. 김정빈, 김수영, 함영기(2017).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및 학생평가 재구조화 방안. 서교연2017-91.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교육정책연구소.
  4. 김진숙, 이광우, 조보경, 이민형, 임유나(2018). 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서 RRC-2018-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박성철, 이윤서, 조진일, 장재원, 손찬희, 황은희(2018).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시설 환경개선 방안 및 시설규모 산정 연구. 수탁연구 CR2018-34. 한국교육개발원.
  6. 손찬희, 정광희, 박경호, 최수진, 양희준, 전제상, 류호섭(2017). 학생 맞춤형 선택학습 실현을 위한 고등학교 학점제 도입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연구보고서 CR-2017-20. 한국교육개발원.
  7. 송경오 (2010). 학생의 행복감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비교분석. 제4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논문집
  8. 이윤서, 박성철, 이상민, 황은희, 이주연, 장재원(2020).고교학점제 시설 운영 특성에 따른 학교 공간 재구조화 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20-01.
  9. 임기택(2020).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태와 학교환경에 따른 영향요인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주주자, 김위정, 이현미, 이동배, 박수진(2017). 고교 무학년 학점제 구현 방안 연구.경기도교육연구원연구보고서정책연구-2017-16.경기도교육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