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의 교육환경

검색결과 2,137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에서의 환경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Teacher Educ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 Choi Don-hyung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0권2호
    • /
    • pp.349-368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우리 나라 학교환경교육의 발전 과정을 태동기(1980년 이전), 성립기(1981-1991년), 정착기(1992년 이후)로 구분하여 간략히 개관한 다음, 전국 수준의 초.중등학교 학생, 교사,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에 관한 의식과 요구 사항 등에 대한 조사 연구 결과 및 이를 바탕으로 한 환경과 담당 교사의 현직연수와 양성교육에 관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 1993년 이후 우리 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변화 및 발전 현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중등학교의 교사자격증 표시과목으로 '환경'과가 1994년부터 추가됨으로써 현직교사 연수 및 교사양성대학에 환경교육과의 설치가 제도적으로 가능해졌다. 둘째, 제6차 교육과정(1995년부터 적용)에 신설된 중학교 환경 및 고등학교 환경화학 담당 교사 확보를 위한 자격연수(총 180시간)가 1994년 여름방학부터 시작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1996연말까지 환경과 부전공 자격 소지자를 680명 배출하게 되었다. 셋째, 중등학교에서 환경과를 담당할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환경교육과가 전국 3개 대학(한국교원대학교, 공주대학교, 순천대학교)에 설치되었다. 넷째, 1995년부터 전국의 각급 학교에 환경주임교사를 배치하여 학생의 체험적 환경교육을 유동하고, 일반교사에게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전파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하고 있다. 다섯째, 환경과 부전공 제도가 1996년부터 시작되었다. 대학재학 중에 전공과목에 대하여는 42학점 이상, 환경교육 관련 과목을 21학점 이상 이수한 학생은 환경과 부전공 교사 자격증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여섯째, 교사의 자생단체로 지역별 '환경교사연구회'가 구성되어 환경교육 자체연수, 교재개발과 보급, 환경캠프와 답사 등의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끝으로 환경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서 계속 노력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학교 환경교육 강화를 통한 가정의 에너지 절감 효과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Household Energy-Saving Behaviour)

  • 이진권
    • 환경정책연구
    • /
    • 제13권1호
    • /
    • pp.95-118
    • /
    • 2014
  • 환경교육은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환경부가 지정하고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환경교육시범학교 제도의 운영은 환경교육 강화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연실험(natural experiment) 환경을 제공한다. 2011년 14차 환경교육시범학교로 지정된 학교 학생들의 가구와 인근 지역의 비시범 학교 학생들의 가구에 대한 수도요금, 전기요금, 가스요금의 제 요금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환경교육시범학교 지정을 통한 학교 환경 교육의 강화가 학생들 가정에서의 에너지 절감에 단기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difference-in-difference 추정을 통해 분석한다. 환경교육시범학교 지정을 통한 환경교육의 강화는 대상 가구의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을 비시범학교 대상 가구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절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 환경교육의 강화가 대상 가구에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도 에너지 절감 행위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POLICY & ISSUES 기획특집_2 - 우리나라 학교 환경교육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최돈형
    • 환경정보
    • /
    • 통권402호
    • /
    • pp.15-18
    • /
    • 2012
  • 환경교육이 교육과정 상에서 학교 교육에 자리를 잡고 활성화 되는 과정이나 분산적인 접근, 동아리 활동 등에서는 잘 자리를 잡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독립 과목 선택률 변화나 교사의 전문성 확보 측면에서는 우려를 자아내게 된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학교 환경교육이 현재보다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환경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환경 교사 임용 확대 등이 필요하다.

  • PDF

지속가능성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생태감사 프로그램 개발 방안 (A Study to develop an ecological audit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for sustainability education)

  • 김희진;남영숙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3호
    • /
    • pp.26-3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성 교육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생태감사 프로그램의 개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학교 생태감사는 학생 또는 학교라는 집단이 학교의 환경적 문제점을 스스로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오래갈 의사결정과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문헌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한 생태감사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6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생태감사의 절차적 과정 및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16차시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학교 현장 안착 및 학교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해서는 학교 환경을 주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학교 환경관리 시스템의 도입과 학교 교사의 역량 강화, 학교 외부의 전문적 인증제도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상향식 정책 결정 체제로서, 학생들의 환경교육 활동을 통한 지속 가능한 학교 문화 확산도 기대할 수 있다.

대안학교의 생태중심주의 환경교육 실태 조사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Ecocentric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n Alternative Schools)

  • 김영주;차정호;정철;이정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320-32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대안학교의 생태중심주의적인 환경 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전국 42개 대안학교의 홈페이지와 학교 안내책자를 통해 각 학교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그리고 환경 활동을 조사하였다. 또한 추가적인 정보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안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생태주의를 지향하는 학교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42개 대안학교 중 36개교(85.7%)의 교육 목표에 생태주의를 직 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39개교에서 환경 관련 교과를 편성하고 있었는데, 이 과목들은 평균적으로 주당 3시간씩 운영되었다. 대안학교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환경 활동은 분리수거였고, 다음으로는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와 친환경 및 재활용 용품 사용하기였다. 자체 정화조 사용하기와 대체 에너지 사용하기도 환경 활동으로 실천되고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계층화 의사결정방법을 통한 교육환경 분석 - 고교학점제 고등학교 공간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 Focused on High school credit system space restructuring -)

  • 오정란;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4호
    • /
    • pp.70-7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를 포함하여 학교 공간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고교학점제 교육환경 구성 시 가장 적합한 요소를 도출한 후 중요도 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분석요인으로 도출된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각 단위학교의 고교학점제 교육환경 조성에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하고 고교학점제에 따른 교육환경의 공간적 중요도를 통한 교육정책적 방향 선정시 신축학교와 기존 학교의 차별화된 접근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서 관련 전문가를 통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을 통하여 교육환경의 중요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환경 구축을 위해 전략적 중요도를 중심으로 선택적이고 집중적으로 교육환경의 기능을 수행하고 그 활성화를 극대화하는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의 상호관계 등에 대한 분석적 고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 이해명
    • 영재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37-62
    • /
    • 1999
  • 이 연구는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다. 과학자의 생애를 통하여 그들이 어떤 방법으로 학습을 하였고, 어떤 교육을 받았으며, 어떤 환경의 영향을 받았는가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을 설정해보려는 것이다. 아인슈타인,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 뉴턴, 갈릴레이, 다윈, 빠스뙤르, 파인만 등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중등학교, 대학교에서의 학습내용, 학습-교수 방법, 교육환경 등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습내용은 초등학교에서는 과학적 기반 형성에 필요한 공통교과, 중등학교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축적에 필요한 전공 교과, 대학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생산에 필요한 교과가 중심이 된다. 둘째, 교수-학습 방법은 초등학교에서는 관찰, 중등학교에서는 실험과 토론,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연구가 중심이 된다. 셋째, 환경적 영향은 초등학교에서는 가정의 영향이, 중등학교에서는 학교의 영향이,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사회적 영향이 중심이 된다.

  • PDF

'학교도서관이 교육환경개선의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 한국도서관협회
    • 도서관문화
    • /
    • 제39권4호통권311호
    • /
    • pp.23-30
    • /
    • 1998
  • 교육계를 중심으로 사회전반에서 책읽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감에 따라 학교교육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이 교육환경개선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살펴 보고자 “도서관문화”에서는 7월 28일(화) 우리 협회 회의실에서 ‘교육환경개선과 학교도서관’이라는 주제로 좌담회를 가졌다. 이번 좌담회에는 김경욱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정책기획실장, 박희 사서교사협의회장, 오명숙 어린이도서연구회 문화부장, 이병기 서울중등학교도서관연구회 연구부장이 참석하였으며, 사회와 원고정리는 우리 협회 이용훈 기회부장이 맡았다.

  • PDF

황새와 학교 습지 비오톱을 연계한 환경교육 방안 (Metho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linking Oriental Stork and school wetland biotope)

  • 윤영선;남영숙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1호
    • /
    • pp.55-6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황새와 학교 습지 비오톱이 갖는 관련성을 탐구하고, 이를 활용하여 환경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텃새 황새 멸종과 복원에 이르는 역사 및 학교 습지 비오톱의 활용성을 고찰하고 환경교육에서 갖는 의미와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전체학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환경교육 프로그램 방안을 강구하였다. 프로그램은 환경교육 핵심요소를 반영하여 총 17차시로 구성되었으며, 황새라는 구체적인 학습소재와 학교시설로서 습지 비오톱이라는 구체적인 장소를 연계하여 체험과 실천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과의 공존을 추구하는 환경교육을 도모하고, 내용의 구체성과 체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