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to develop an ecological audit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for sustainability education

지속가능성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생태감사 프로그램 개발 방안

  • 김희진 (한국교원대학교 환경교육과) ;
  • 남영숙 (한국교원대학교 환경교육과)
  • Received : 2020.08.24
  • Accepted : 2020.09.26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audit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sustainability education. School ecological audits enable students or groups of students to identify and solve the school's environmental problems on their own, thereby fostering sustainable decision-making and attitud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 ecological audit project learning program applicable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is aimed at 6th graders and is composed of 16 steps reflecting the procedural and ecological processes of the ecological audit. In order to settle the developed program in the school site and improve the school sustain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chool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that can periodically monitor the school environment, strengthen the capacity of school teachers, and provide a professional certification system outside the school. In addition, with this bottom-up policy-making system, students can expect to spread a sustainable school culture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성 교육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생태감사 프로그램의 개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학교 생태감사는 학생 또는 학교라는 집단이 학교의 환경적 문제점을 스스로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오래갈 의사결정과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문헌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한 생태감사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6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생태감사의 절차적 과정 및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16차시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학교 현장 안착 및 학교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해서는 학교 환경을 주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학교 환경관리 시스템의 도입과 학교 교사의 역량 강화, 학교 외부의 전문적 인증제도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상향식 정책 결정 체제로서, 학생들의 환경교육 활동을 통한 지속 가능한 학교 문화 확산도 기대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8).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초등학교.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141-174.
  2. 김대현, 왕경순, 이경화, 이은화(1999).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학지사. 7-22.
  3. 남상준, 김대성, 김두련, 이상복, 한세일(2000). 환경교육의 원리와 실제, 원미사. 16-17.
  4. 남영숙(2002). 학교생태감사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2001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 신진 교수 연구지원사업 결과보고서, 35-46.
  5. 남영숙(2004). 학교 생태감사의 이론적 고찰과 도입방안연구, 환경영향평가, 13(2), 41-55.
  6. 남영숙(2006). 생태감사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학교에너지 관리방안 연구, 환경교육, 19(3), 102-113.
  7. 류학렬, 남영숙(2018). A Study on Program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tilizing Oriental White Stork. 환경정책, 26(0), 91-122.
  8. 선성민, 남영숙(2007). 학교생태감사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학교 숲 가꾸기 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007년 후반기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112-119.
  9. 신영준(2017). 2015 개정교육과정에 제시된 적정기술, 지속 가능 발전, 기후변화, 에너지 교육 내용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7(1), 15-23.
  10. 우정애, 남영숙(2007). 학교 생태 감사의 학교 환경교육적용 및 효과 분석. 환경교육, 20(4), 97-105.
  11. 유영의, 김은정, 신은수, 박은혜(2013).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한국의 교육정책 및 현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3), 319-341.
  12. 이선경, 학교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론 및 평가. 환경교육심포지움 발표자료, 2001.
  13. 이주영, 남영숙(2014). 지속가능한 학교를 위한 지속가능성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환경학교육연구소, 18, 18-36.
  14. 조성화, 안재정, 이성희, 최돈형(2015). 교육과 지속가능발전의 만남. 북스힐. 51-74.
  15. 최은지, 최돈형(2005). 지속가능성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환경보전시범학교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48-151.
  16. 최은지(2006). 지속가능성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환경보전시범학교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18.
  17. Bormann, I., de Haan, G.(2008). Kompetenzen der Bildung fur nachhaltige Entwicklung - Operationalisierung, Messung, Rahmenbedingungen, Befunde. Springer VS., 23-43.
  18. Fischbach, R., Kolleck, N., de Haan, G.(2015). Auf dem Weg zu nachhaltigen Bildungslandschaften - Lokale Netzwerke erforschen und gestalten. Springer VS., 27-37.
  19. Grundmann, D.(2017). Bildung fur nachhaltige Entwicklung in Schulen verankern. Handlungsfelder, Strategien und Rahmenbedingungen der Schulentwicklung. Springer VS., 73-87.
  20. de Haan, G.(2006). Bildung fuer nachhaltige Entwicklung - ein neues Lern- und Handlungsfeld. In: UNESCO heute 1/2006, 4-8.
  21. de Haan, G., Harenberg, D.(2000). Neue Indikatoren fuer Schulqualitaet - Das Beispiel "Nachhaltigkeitsaudit", 35-57.
  22. Hamborg, S.(2018). Lokale Bildungslandschaften auf Nachhaltigkeitskurs - Bildung fur nachhaltige Entwicklung im kommunal-politischen Diskurs. Springer VS., 145-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