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임 자기효능감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2초

남자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피임 자기효능감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Influence of Psycho-Social Maturity and Self-efficacy for Contraceptive on Sexual Assertivenes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 박정숙;김보미;권영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461-470
    • /
    • 2016
  •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피임 자기효능감, 성적 자기주장의 관계를 확인하고 남자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A시 소재의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200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피임 자기효능감, 성적 자기주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상자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피임 자기효능감과 심리사회적 성숙도였고, 전체 설명력은 33%이었다. 따라서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요인을 바탕으로 남자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철도 신호분야 현장 근무자들의 자기효능감과 피로에 대한 AMOS를 이용한 융합적 관계 연구 (Convergence Relation Research using AMOS of between Self-efficacy and Fatigue of workers in the field of railroad signaling)

  • 이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75-84
    • /
    • 2017
  • 이 연구는 철도신호분야 현장근무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세부영역과 피로 세부영역 간의 융합적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각각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피로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하였다. 철도 신호분야 현장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341건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피로에 각각 부(-)의 영향을 미친 반면,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피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회사차원의 지원을 강화한다면 연구대상자들의 피로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피로와 자기효능감 (Fatigue and Self efficacy o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 김은희;서순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28-336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피로와 자기효능감 정도 및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간호교육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 3학년 여학생 207명이었고,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3년 6월 1일부터 30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피로정도는 3.52($SD={\pm}.52$)점, 자기효능감 정도는 3.29($SD={\pm}.47$)점으로 임상실습 시 중상정도의 피로와 자기효능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피로가 낮았으며, 자의에 의한 입학동기와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피로가 낮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나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315, p<.001). 이상의 연구결과로 효율적인 임상실습교육을 위해 간호학생의 피로 예방과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행복, 피로 및 자기효능감이 근로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ppiness, Fatigue and Self-efficacy on Workers' Quality of Life)

  • 권명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73-380
    • /
    • 2020
  • 본 연구는 근로자의 행복, 피로 및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9월 15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되었고, 연구대상자는 근로자 10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로자의 삶의 질은 성별, 주관적 건강, 출퇴근 시 교통수단, 출퇴근 시 소요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5). 2) 근로자의 삶의 질은 행복,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피로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 <.05). 3) 근로자 삶의 질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성별, 행복, 피로와 자기효능감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80.4%로 나타났다.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근로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재 시 그 영향요인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피임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피임 지식, 피임 태도와 피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ntraceptive Education Program on Contraceptive Knowledge, Contraceptive Attitude and Contraceptive Self-effica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 김유진;김동희;박정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46-25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피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비동동성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유시실험 연구가 실시되었다. 실험군에게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해 개발된 피임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실험중재가 완료된 후에는 대조군에게 유인물과 비디오 교육이 제공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대상자는 U 시에 있는 두 개의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3학년 학생으로 총 146명이었다. 수집되어진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2$-검정, t-검정, 일변량 분산분석으로 분석되었다. 고등학생을 위한 피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 타당도는 0.93점이었고, 교육지도에 대한 타당도는 4점 이상이었다. 실험군에서 피임교육지식(F=56.71, p<.001), 피임 태도(F=4.31, p=.018)와 피임 자기효능감(F=8.15, p<.001)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을 위해 개발된 피임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피임 지식, 피임 태도와 피임 자기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켰음을 나타낸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발된 피임교육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수행되기를 제언한다.

한국어판 피임 자기효능감(K-CSE)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여대생을 중심으로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traceptive Self-efficacy Scale: Focused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 김계하;조은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1-16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traceptive Self-efficacy (K-CSE) scale. Methods: The K-CSE scale was developed through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ethods.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ere calculated using SPSS/WIN 21.0. Data were collected from 257 women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G city, South Korea. Result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CSE scale showed the cumulative variance as 62.9% in the factor analysis. Factor loading of 13 items on four subscales ranged from .47 to .88. Factors were named as 'initiative of contraceptive use', 'sexual assertiveness', 'refusal of sexual intercourse', and 'autonomic sexual behavior'. Criterion validity compared to the Sexual Autonomy Measurement (SAM)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Cronbach's ${\alpha}$ for the reliability of each subscale were .50~.82 and .76 for the total scal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K-CSE scale is a satisfactory valid and reliable scale. Therefore, the CSE scale can be useful in measuring contraceptive self-efficacy among women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친구와의 성 의사소통, 성 이중기준이 대학생의 피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x Communication with Friends and Sexual Double Standard on Contraceptive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 김정효;박미경;조은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4-23
    • /
    • 2018
  • Purpose: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x communication with friends and sexual double standard on contraceptive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With a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251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G city from September 2016 to October 2016.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ex communication with friends, sexual double standard, and contraceptive self-efficacy scores of participants were $58.82{\pm}8.78$, $21.73{\pm}6.00$, and $44.20{\pm}5.91$, respectively. Sex communication with friends and sexual double standard were related to contraceptive self-efficacy. Sexual double standard, sex communication with friends, female, contraceptive education, and contraceptive experience explained 33% of contraceptive self-efficacy of participants. Conclusion: Sexual double standard and sex communication with friends were influencing factors of contraceptive self-efficacy. To improve contraceptive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a program is needed to eliminate sexual double standard and improve sex communication with friend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교대근로자의 심리적 안녕감, 피로 및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ll-being, Fatigue,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Shift Workers)

  • 박진웅;권명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3-299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shift workers. Methods: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13th and 31st, 2018.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mputed, an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al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BM)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version 22. Resul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r=.491, p<.001), fatigue (r=.170, p=.030), and self-efficacy (r=.520, p<.001). Psychological well-being (${\beta}=.249$, p=.014), fatigue (${\beta}=.179$, p=.007), and self-efficacy (${\beta}=.335$,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ogether explained 31.7% of the variance. Conclusion: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that enhances psychological well-being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nurtur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shift workers. Additionally,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enhance health promotion behaviors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self-efficacy and prevent fatigue among shift workers.

30대와 40대 미혼여성의 피임지식, 성 이중기준과 피임 자기효능감 간의 관련성 (Association of Contraceptive Knowledge, Sexual Double Standard and Contraceptive Self-Efficacy among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 김계하;조은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9-181
    • /
    • 2019
  • Purpose: To determine association of contraceptive knowledge, sexual double standard, and contraceptive self-efficacy among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Methods: With a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119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in G city of Korea from September 2017 to March 2018.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Contraceptive knowledge, sexual double standard, and contraceptive self-efficacy scores of participants were $8.97{\pm}2.22$, $18.54{\pm}5.57$, and $45.84{\pm}6.90$, respectively. Contraceptive self-effica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double standard. Factors influencing contraceptive self-efficacy were sexual double standard (${\beta}=-.26$, p=.003), existence of boyfriend (${\beta}=.25$, p=.004), and contraceptive education need for adults (${\beta}=.17$, p=.044). They explained 19% of contraceptive self-efficacy of participants. Conclusion: To increase contraceptive self-efficacy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lowering sexual double standard and developing customized contraceptive education according to age and knowledge level are needed. Research on factors related to contraceptive self-efficacy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from various regions are also need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