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준화환자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49초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 개발 및 적용 : 신경계 환자 간호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mulation Learning Scenario using Standardized Patients: Caring for Neurological Patients in Particular)

  • 김예은;강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236-24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신경계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학습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과 그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이며 연구 참여자는 4학년 간호대학생이다. 본 연구는 자발성 뇌출혈 환자 사례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고,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는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학생이 의식사정 등을 포함한 간호사정을 학습함으로써 보다 전문적인 간호사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가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표준화환자를 이용한 호흡기감염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for Nursing Student's of the Knowledge, Clinical Nursing Competency)

  • 허정;윤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435-44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호흡기 감염질환 지식과 임상수행에 대해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간호학과 4학년생 112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2일부터 6월 15일까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여 전염성 호흡기계 환자 간호를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이다. 호흡기 감염병 교육 프로그램 '폐 감염병 지식', '손 씻기', '마스크 착용', '환자 및 간병인에게 마스크 착용 유도', '정맥주사' '3way 주사', '외과적 무균술', '소독 의료기기', '오염된 린넨 관리', '감염자 관리 매뉴얼' 등 10개 교육 과제 수행이며 강의, 기술 훈련, 표준화된 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으로 구성되었다. 표준화된 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후 호흡기 감염질환에 대한 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다양한 감염관리 실습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진료수행 시험에서 채점자 및 시험 일자에 따른 결과 차이 (Difference in Results according to Scorer and Test Date in Clinical Practice Test)

  • 권소희;김영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345-352
    • /
    • 2018
  • 본 연구는 진료수행 시험 상황을 재연하여 실제 의사가 채점한 결과와 표준화 환자가 채점한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첫째 날 응시한 학생과 정보가 노출된 둘째 날 응시한 학생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의과대학 4학년 101명이 4가지 세트(본태성고혈압, 수면장애, 기분저하, 무월경)로 구성된 진료수행 시험에 응시하였다. 학생들은 첫째 날과 둘째 날 중 표준화환자 채점 세트와 의사 채점 세트로 구성된 평가 일정하나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각 진료수행의 평가지침은 병력청취, 신체진찰, 환자교육, 환자의사관계, 진찰태도로 영역을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각 상황별, 영역별 성취점수를 표준점수로 변환하여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모든 영역에서 여학생의 성취점수가 남학생의 성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표준화 환자가 채점한 집단과 의사가 채점한 집단의 평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425). 연속되는 시험일자 중 둘째 날 응시한 군이 병력청취와 신체진찰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채점자의 신분에 따른 평가 결과에 차이가 없음을 다시 한 번 밝히면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평가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아동간호 시뮬레이션이 간호학생의 불안, 자기효능감 및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Child Nursing Simul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on Nursing Student's Anxiety,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심가가;손미선;지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99-308
    • /
    • 2017
  • 본 연구는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아동간호 시뮬레이션이 간호학생의 불안, 자기효능감 및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연구이다. 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 62명이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아동간호 시뮬레이션은 사전학습 및 오리엔테이션 60분, 시나리오 구현 60-80분과 성찰일지 작성 및 디브리핑 30분 등을 포함하여 실습조별로 약 3.5시간동안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16년 3월에 시작되어 2016년 12월까지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의 기술 통계 및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아동간호 시뮬레이션 후 간호학생의 불안(p<.001)은 역할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자기효능감(p<.001)과 비판적사고 성향(p<.001)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간호학생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과 비판적사고 성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간호학 교육에서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은 간호학생의 핵심역량을 강화시키므로 다양한 시나리오를 개발해야 함을 제안한다.

우리나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원환자의 지역별 의료이용 변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gional Variation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of Hospital Inpatients in Korea)

  • 서영숙;이경수;박종호;강성홍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505-508
    • /
    • 2009
  • 우리나라의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을 이용한 입원환자의 지역별 의료이용의 변이와 의료자원의 공급, 도시규모, 소득수준이 지역별 의료 이용의 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2005년 환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지역별 의료이용의 변이에 성, 연령과 같은 지역별 인구구조의 차이에 의한 효과는 직접표준화 방법을 이용하여 보정한 다음 지역별 의료이용의 변이 정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을 이용한 입원환자의 표준화 퇴원율과 표준화 재원일수는 차이가 있었다. 표준화 퇴원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도시규모, 인구10만명당 병상수가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안과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구축을 통한 간호사 및 환자의 만족도 증진 (Improvement of Nurse/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Standard Manual on Telephone Inquiry Response)

  • 이현정;박승혜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5-76
    • /
    • 2010
  • 문제: 퇴원 환자의 문의 전화가 많아지면서 병동 간호사는 이 문의에 응하는 일로 업무량 과다, 전화 상담에 대한 자신감 저하 및 부담 등을 느끼고 있었다. 부적절한 전화문의 관리는 환자와 간호사 모두에게 시간 소모 및 만족도 저하 등의 부정적인 경험을 남길 수 있다. 목적: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구축 및 활용으로 병동 간호사 및 퇴원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의료기관: 서울시 종로구에 소재한 대학병원. 질 향상 활동: 표준화된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또한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 및 지식 향상을 위해 간호사 대상 매뉴얼을 교육하여 실무에서 활용하기 쉽도록 하였다. 개선효과: 표준화된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을 안과 병동 간호사와 전보자 및 신규 간호사 교육에 활용할 수 있었다. 간호사의 전화문의 응대 관련 직무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환자 역시 표준화된 매뉴얼에 따라 일치되고 일관성 있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게 되어 환자의 만족도와 이해도가 증가할 것이다.

  • PDF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for Contact Precaution Infection Control for Nursing Students)

  • 지은주;서형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87-97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 67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다. 혼합 연구방법으로 시뮬레이션 전과 후에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자신감을 조사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성찰일지는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중재 후 대상자의 다제내성균관련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자신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성찰일지 내용분석에서는 39개의 의미있는 진술과 1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자신감을 증진시키며, 간호 전문직으로서 실제적인 접촉주의 간호수행능력, 환자중심간호, 협력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전략임을 확인하였다.

호흡기계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시나리오 학습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learning scenario using standardized repiratory pati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clinical skil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in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

  • 조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00-2108
    • /
    • 2015
  •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호흡기계 환자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보건계열 학생에게 적용한 후 학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기존의 시뮬레이션 교육과 비교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유사 실험연구로서 J시에 소재한 D대학 보건계열 3학년 학생 50명이 참여하였다. 실험군 25명에게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호흡기계 환자 시뮬레이션 교육과 평가를 진행하였고 대조군 25명에게는 전통적인 시뮬레이션 교육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2013년 11월부터 180분간 주 1회씩 총 2회의 교육과 1회의 평가로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호흡기계 환자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한 실험군에서 학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호흡기계 환자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기존의 시뮬레이션 교육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보건계열 학생들의 전문직 역량 강화를 위해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흉통 및 뇌졸중 증상 환자에 대한 전화 중증도분류 지침의 유용성 (Utility of the Dispatch Protocol to Triage the Emergency Patients who presented with Symptoms of Stroke or Chest Pain)

  • 조석주;안병기;박재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45-355
    • /
    • 2012
  • 심뇌혈관 질환의 초기 처치가 지연되면 예후가 불량하고, 치료 후 심각한 후유증이 남으므로.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를 위해 병원 전 단계 응급의료전화상담원에 의한 적절한 환자 분류와 병원 선정이 중요하다. 여러 선진국에서는 현장에 출동시킬 구급대 자원의 결정이나 각 병원에의 환자분산을 위해 응급의료전화상 담원이 표준화된 환자분류 지침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의료전화상담원의 심뇌혈관 환자 중증도 분류를 위한 표준화된 지침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영국의 NHS direct와 캐나다의 CTAS 체계에 기반하여, 뇌졸중 증상과 흉통 환자 분류를 위한 표준화 지침을 개발하였다. 환자가 내원한 응급실에서 시행된 중증도 분류를 기준으로 표준화된 지침을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을 비교하였다. 흉통환자에서 표준화된 지침을 사용한 군의 정확도가 높았다.(70.0% VS 94.0% p<0.01). 뇌졸중 환자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64.2% VS 84.6% p<0.01). 결론적으로 응급의료정보센터의 응급의료전화상담원에 의한 뇌졸중 증상과 흉통 항목의 중증도 판단에 있어, 응급의료전화상담원의 주관적인 판단보다는 표준화된 지침을 이용한 판단이 병원에서 시행한 중증도 분류와 보다 일치하였다.

객관 구조화 절차 기술 평가에서 채점자로서의 표준화환자의 신뢰도 (Reliability of Standardized Patients as Raters i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 손희정;문중범;이향아;노혜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18-326
    • /
    • 2011
  • 본 연구는 절차기술의 객관구조화 진료시험(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에서 표준화환자가 평가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시험의 주제는 남성 도뇨관삽관과 창상드레싱 2가지로 정하고, 2년 이상의 객관구조화 진료시험 채점 경력이 있는 표준화환자와 교수 각 4명을 2명씩 짝을 지워 한 주제 당 표준화환자 그룹과 교수 그룹이 동시에 채점하게 하였다. 표준화환자들에게는 술기의 정의, 방법, 주의점, 후유증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동영상이 포함된 강의, 교수의 시연 후 표준화환자가 직접 실습해보고 교수로부터 되먹임을 받는 순서로 총 8시간( 주제당 4시간)의 교육이 시행되었다. 8명의 평가자 모두 객관구조화 진료시험 전날 모여 기존의 동영상자료를 이용한 가상 채점으로 1시간동안 채점 표준화를 이루었다. 채점표는 체크리스트 14문항과 총괄평가 1문항으로 이루어졌다. 한 학생당, 주제당 5분간의 시험 후 2분간의 평가가 이루어졌다. 표준화환자와 교수간의 분석은 GENOVA program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주제 전체에서 G상수는 0.839, 평가자의 신뢰도는 0.946으로 매우 높았다. 표준화환자그룹과 교수그룹 사이의 평가자간 일치도는 체크리스트에서 0.949, 총괄평가에서 0.908이었다. 따라서 적절한 교육이 선행되어진다면 표준화환자도 절차기술의 객관화진료시험에 신뢰할 만한 평가자로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