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판 모델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32초

$C^{\circ}$-계층적 평판요소에 의한 경사평판의 비선형 해석 (Nonlinear Analysis of Skew Plates by $C^{\circ}$-Hierarchical Plate Element)

  • 우광성;허철구;박진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65-76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평판의 모서리 둔각이 135도까지를 갖는 재료적 비선형 경사평판을 해석하기 위해 C°-계층적 평판요소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하학적 변환을 통해 경사진 경계조건은 직각좌표계의 좌표변환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경계는 경사진 변 전체 또는 경사교량의 교좌위치와 관련된 몇 개의 선택지점만을 고려할 수 있게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경사교량의 교좌장치의 이동방향을 설명할 수 있도록 1차 전단변형을 갖는 Reissner/Mindlin 평판이론에 기초를 둔 5-자유도 경사평판요소가 정식화되었다. 한편, 평판의 극한내하력을 추정하기 위해 von-Mises 항복기준에 기초를 둔 소성유동법칙을 갖는 증분소성이론이 채택되었다. 또한, ADINA 소프트웨어에 의한 h-version 모델과 제안된 p-version 모델을 사용하여 경사각, 경계조건과 하중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해석결과는 이론값과 문헌에 보고된 수치해석값과 비교되었다. 자유도 수에 따른 정확도를 비교기준으로 한다면,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해석모델은 지금까지 개발된 가장 효율적 도구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PDF

균질화기법을 이용한 다공평판의 단순화된 응력해석 (Simplified stress analysis of perforated plates using homogenization technique)

  • 이진희
    • 전산구조공학
    • /
    • 제8권3호
    • /
    • pp.51-57
    • /
    • 1995
  • 다공평판에서의 응력해석에 균질화기법이 사용되었다. 표준적인 유한요소법에 미소좌표계확장을 도입한 균질화 기법은 다공평판을 microscale 모델과 macroscale 모델로 나누어 해석한다. 같은 패턴이 반복되는 최소의 기하학적단위를 microscale에서의 단위구조로 취하여 등가물성치를 산출한다. Macroscale 모델에서는 다공평판을 구멍이 없는 일반평판으로 가정하여 앞에서 산출한 등가물성치와 주어진 경계조건을 이용하여 변위를 산출하고, microscale 모델에서 다공평판의 응력을 계산한다. 균질화기법은 다공평판외에도 기본단위의 반복도가 심한 복합구조의 응력해석에서 유용한 전처리 및 후처리 개념을 제공하며, 계산에 필요한 자유도를 현저히 줄이면서 적절한 등가물성치와 응력분포의 계산을 가능케 하여준다.

  • PDF

한국의 국가평판 인식에 관한 연구: 상호지향성 모델의 주관적 일치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Country Reputation: Focused on the Co-orientation Model)

  • 문효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93-100
    • /
    • 2019
  • 본 연구는 평판 개념을 국가 단위로 확대해 적용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이를 위해 탐색적으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평판을 측정하고자 하며, 상호지향성 모델 중 주관성 일치도를 적용해 외국인들이 한국의 국가평판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추정함으로써 향후 국가평판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은 한국에 대한 국가평판 구성요인 중 '문화오락성'요인과 '타문화개방성'요인, '글로벌시민정신'요인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국가평판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연령대별로 일부 국가평판 구성요인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다. 특히 '문화오락성'요인의 경우, 20대 응답자들이 40대 이상 응답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더불어 응답자들이 평가하는 한국에 대한 국가평판과 이들이 추정하는 외국인들의 한국에 대한 국가평판 간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사다리꼴 주름평판의 음향방사효율 해석 (Prediction of acoustic radiation efficiency for trapezoidal corrugated plates)

  • 유정수;장승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3-93
    • /
    • 2023
  • 사다리꼴 주름평판은 복잡한 주름 모델링으로 인해 흔히 직교이방성평판으로 단순화하여 해석한다. 그러나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주름의 국부 진동으로 인해 직교이방성평판 모델이 유효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파수영역수치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사다리꼴 주름평판의 고주파수 대역 진동 및 소음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주름평판의 주파수 대역별 진동 및 소음 특성을 반영한 근사계산 방법을 제안한다. 근사계산에서는 전역 및 국부 진동을 반영할 수 있도록 주름평판을 네 개의 평판모델로 구성하였으며, 근사계산을 통해 구한 방사효율을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방법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반복재하 평판재하시험의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변형계수의 추정기법 (An Evaluation Method of Deformation Moduli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of Cyclic Plate Load Tests)

  • 오세붕;서원석;권오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61-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비등방경화 구성모델을 이용하여 반복재하 평판재하시험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때 구성모델은 ABAQUS 코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서브루틴에 적용하였다. 평판재하시험의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영계수와 변형률을 역계산 하였으며 입력된 변형계수와 비교한 결과 적절하게 계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기법을 토대로 평판재하시험 사례에 대한 적용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변형률에 따른 변형계수의 변화를 반복재하 평판재하시험 결과로부터 실용적으로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 PDF

편심 보강평판의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 (Geometrically Nonlinear Analysis of Eccentrically Stiffened Plate)

  • 이재욱;정기태;양영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307-317
    • /
    • 1991
  • 선체구조 및 해양구조물의 기본 구조요소로 사용되는 편심으로 보강된 평판이나 쉘 수조물의 기하하적 비선형 해석에 관한 논문으로서 사용된 유한요소는 격하 쉘요소와 편심된 격하보요소이며 total Lagrange(T.L.)수식과 updated Lagrange(U.L.)수식으로 정식화 하였다. 편심된 보강평판의 비선형 해석에서 사용된 모델은 보강재의 이상화 방법에 따라 평판과 보강재를 격하 쉘요소로 이상화한 모델과 평판은 격하 쉘요소로하고 보강재는 편심된 격하 보요소로 이상화한 모델로 각각 구분하여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과정에서 편심 보강평판의 임계하중을 구하고 좌굴 후 비선형 거동을 조사하였다. 해석된 임계 좌굴하중은 선급에서 규정하고 있는 방식의 오일러의 좌굴하중값 보다는 낮게 조사되었다.

  • PDF

평판 표시기용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인 특성과 수학적인 모델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Mathematical Model of 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for Flat Panel Display)

  • 최창주;이우선;김병인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8권5호
    • /
    • pp.49-55
    • /
    • 1994
  • 평판 디스플레이용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인 특성과 수학적인 모델에 대하여 연구되었고 이론적인 모델은 실험을 통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게이트전압이 고정된 상태에서 드레인 전압 증가에 따른 드레인 포화전류는 증가되었고 디바이스의 포화는 드레인 전압이 증가될수록 더 증가되었으며 문턱전압은 감소되었다. 세 개의 변수로 구성된 디바이스의 전달특성과 출력특성에 대한 실험 결과값에 대한 모델식이 제시되었는데 이 모델은 디비이스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간단화 하기위한 모델식이다.

  • PDF

애드혹 환경에서 평판기반 신뢰 모델의 분류 및 성능평가 (Classif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Reputation-Based Trust Model in Ad-hoc Networks)

  • 박성수;이종혁;정태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2호
    • /
    • pp.143-150
    • /
    • 2009
  • 신뢰 기반 네트워크에서 상호 통신 연결을 위해 상대 노드가 얼마나 믿을만한 노드 인지를 결정하는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현재의 신뢰 기반 네트워크에서는 노드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신뢰 값을 생성하고, 통신 노드를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상호 통신 연결을 수립한다. 본 논문에서는 애드혹 환경에서 새로운 노드가 클러스터 내로 진입하여 통신을 설정하고자 하는 대상 노드를 찾을 때, 사용될 수 있는 4가지의 신뢰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들은 평판 서버의 유무와 신뢰의 평가 방법들에 따라 분류 되었다. 제안된 모델을 통해서, 평판 서버가 클러스터내에 존재하고 신뢰 평가 시 자신의 경험 정보뿐만 아니라 이웃 노드의 평판을 고려하는 경우 더 신속하게 대상 노드를 찾을 수 있음을 보인다. 제안된 모델의 성능 분석은 각 모델에서 노드의 최종 신뢰 값을 생성하기 위해 소요 되는 통신지연시간의 측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축대칭형계 열성형공정의 수치모사연구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rmoforming Process for Axisymmetric System)

  • 이재욱
    • 유변학
    • /
    • 제8권3_4호
    • /
    • pp.215-225
    • /
    • 1996
  • 평판형의 열가소성 수지를 유리전이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다음 압력을 가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성형하는 열성형공정은 대상 수지가 큰 변형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비선형적 거동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수지의 변형거동 예측과 최적성형조건의 설정에 많은 어려움과 시행착오를 거치게 되는 바, 열성형 공정의 최적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원형 평판위 수지를 대상으로 수지의 부풀림 거동과 이에 따른 두께 분포를 예측할수 있는유한요 소법의 수치모사 알고리듬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Piola-Kirchhoff 응력 텐서와 Green 변형 텐서 및 lagrangian 변형 텐서를 사용하여 평판상의 응력-변형에 대한 비선형의 에너지 수 지식을 수립하고 Newton-Raphson 반복수렴법을 이용하여 근사적으로 해석하였으며 수지의 유변학적 구성방정식으로는 neo-Hookean 모델, Mooney-Rivlin 모델 및 Ogden 모델등의 초탄성 모델을 사용하여 그결과를 비교하였다. 수치모사에는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두께 방향의 응력변화를 무시할수 있는 membrane 가정을 도입한 2차원적 해석과 두께 방향의 응력 변화를 고려하는 3차원적 해석을 모두 수행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3차원적 해석 의 경우에는 penalty법을 이용하여 비 압축성을 만족하였다. 일차적으로 내압을 받는 두꺼 운 원통계에 대한 수치모사 해석을 수행하고 완전해와 비교함으로써 개발된 수치모사 알고 리듬의 열성형 공정에의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원형 평판의 자유부풀 림거동을 예측한 결과 Treloar 등의 실험결과와 잘 부합함을 확인하였다. 또 간단한 형상의 금형이 있는 경우와 반지름 방향으로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지의 변형거동을 해석함으로써 실제 열성형 공정에서 요구되고 있는 성형품의 두께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방안을 제 시하였다.

  • PDF

부가물-평판 접합부 주위의 난류유동 계산 (Computation of Turbulent Appendage-Flat Plate Juncture Flow)

  • 김선영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43-55
    • /
    • 1995
  • 평판 위에 놓여진 스트럿(strut) 주위의 난류유동을 MAC 방법에 의하여 수치계산하였다. 난류 모델은 Baldwin-Lomax 모델이며 평판과 스트럿의 접합부 부근에서의 처리를 위하여 Buleev의 m2ixing length를 도입하였다. 계산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DTRC의 풍동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에서 나타난 horseshoe vortex가 계산에서도 재현되는 등 전반적으로 계산결과와 실험결과 간에 좋은 일치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접합부에서 극히 가까운 부근과 스트럿의 후류에서는 불일치를 보여 이 곳에서의 난류모델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졌다. 결론적으로 평판과 스트럿의 접합부 부근의 유동을 계산함에 있어서 Baldwin-Lomax 모델은 도입된 많은 단순화를 위한 가정에도 불구하고 실용적으로 유용한 결과를 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