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수교육

검색결과 712건 처리시간 0.023초

배움·성장 평가를 위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 (The real state of the learning achievement assessment of the basic curriculum of the special education for referring learning and growing of children)

  • 신서영;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69-78
    • /
    • 2017
  • 본 연구는 개개인의 배움과 성장을 지향하는 개별화교육의 관점에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정책 지원 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는 B광역시 특수학교 교사 129명이었으며, 측정은 특수교육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와 관련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FGI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태분석 결과, 평가의 계획, 준거, 방법, 시기에 있어서 개개인의 배움과 성장을 평가하기 위해 특수교사들은 상세하고 면밀한 질적 접근을 하고 있었고, 교육과정의 연장선상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결과를 안내하고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측정도구 각 영역의 하위요소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성별, 연령별, 경력별, 학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실태분석 결과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성취기준 작성 및 평가 체제의 자율성 확대,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 및 체제의 개선, 교사의 배경변인별 특성에 부합하는 평가역량강화 지원체제 수립 등을 정책적 지원 방안으로 제언하였다.

특수교육 대상 아동 가족지원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분석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amily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Children)

  • 김기룡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67-374
    • /
    • 2020
  • 이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 아동 부모의 가족지원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살펴봄으로써 가족지원 서비스의 우선순위 설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전국의 특수교육 대상 아동 부모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9개의 가족지원 서비스 항목 모두 중요도는 높게 평정되었으나 실행도는 낮게 평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중요도 및 실행도 분석 결과 신체적·물질적 안녕 지원 및 장애 관련 지원 관련 가족지원 서비스는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는 낮은 서비스로 평가되었고, 가족 지원 서비스에 있어 우선순위로 제시되어야 할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족 상호작용 지원 또는 정서적 안녕 지원 영역에 해당되는 가족지원 서비스는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는 높은 서비스로 평가되어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하는 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 대상 아동의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을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특수교육 및 장애인복지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Journal Articles in Special Education and Disabled Welfare in Korea-)

  • 주재승;윤지현;김두영
    • 재활복지
    • /
    • 제20권1호
    • /
    • pp.23-42
    • /
    • 2016
  • 이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 및 장애인복지 관련 학술지에 등재된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대상 논문은 국내 특수교육 및 장애인복지 관련 학술지 16종에 등재된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 94편이며, 연도별 학술지별 동향, 연구주제별 동향, 연구방법의 특성을 분석준거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학술지별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장애인평생교육 관련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2014년부터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 평생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관련 연구와 평생학습자 및 학습자 집단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주저자의 지역은 영남권과 수도권의 대학에 소속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유형은 주로 질문지를 활용한 조사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문헌연구, 질적연구, 실험연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을 살펴본 결과, 장애인평생교육기관과 발달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장애인평생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공통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연계를 통한 초등학교 음악과 통합수업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for Inclusive Music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by Linking the Common Curriculum and the Basic Curriculum)

  • 원초롱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1호
    • /
    • pp.69-92
    • /
    • 2022
  • 본 연구는 통합학급의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공통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연계를 통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맞춤형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특성 및 교육적 요구 분석, 음악과 공통 교육과정 및 기본 교육과정 분석,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세분화된 평가준거 성취기준 설정, 공통 교육과정 및 기본 교육과정의 음악과 교과서 분석, 음악과 단원의 교육활동 재구성, 맞춤형 음악과 수업 실시의 6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적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장애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n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Virtual Reality based Interven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이태수;주교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13-120
    • /
    • 2019
  • 이 연구는 장애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직하고 있는 364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중 무응답과 부적절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2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상현실 기반 중재에 대한 수용 의도는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하여 높았고, 10년 이하의 특수교사가 16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특수교사보다 높은 수용의도를 나타냈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가 유치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보다 수용의도가 높았다. 적용 가능성, 적용 효과성, 활용의지에 대해서는 10년 이하의 교사가 16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보다 가상현실기반 중재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가 유치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보다 가상현실 기반 중재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특수학교 학생들의 컴퓨터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법 적용과 평가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omputer Education of Students in Special School)

  • 홍성미;김귀정;김봉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469-477
    • /
    • 2010
  •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컴퓨터 교육 과정 내용과 수업 방식을 조사 분석하고, 일반학교 비장애 학생들의 교수-학습법을 참고하여 특수학교 지체장애 학생들에게 새로운 교수-학습법을 제시하고 수행하였다. 제안된 교수-학습법에 대한 지체학생들의 수업 방식, 학생들의 태도를 평가하고 기존 교수-학습법과 제안된 교수-학습법의 차이점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안된 특수학교 컴퓨터 교육에 대한 교수-학습법의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초임 특수교사들의 행동중재 경험과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f Intervention and Awarenes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 석숭;전혜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1-20
    • /
    • 2019
  • 초임 특수교사들이 교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장애학생의 행동중재는 교직 적응 면에서 중요한 이슈가 된다. 본 연구는 초임 특수교사들의 행동중재 경험과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통해 초임특수교사들에 대한 지원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력이 2년 이하인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면담은 일대일 심층면담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을 전사본으로 작성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계기', '선택의 연속,' '중재에 대한 아쉬움',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의 대주 제 4가지가 도출되었다. 또한, 9가지 하위주제로는 '교육적 필요', '생활적 필요', '중재의 시작', '중재의 과정', '중재의 결과', '자원의 부족', '소통의 부족', '새로운 분야', '새로운 시도'가 도출되었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초임 특수교사의 행동중재에 대한 요구와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며 제언하였다.

On-line 안전교육의 현황 (On-line Safety Eudcation Status)

  • 이승룡;천승민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159-16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on-line 안전교육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본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사고를 계기로 '안전' 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면서 안전교육에 대한 민간자격과정이 우후죽순처럼 번지고 있다. 또한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과 행동요령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수재난은 유형의 다양화, 규모의 대형화로 여타 재난에 비해 사회적 파장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므로 재난관리기관(주관 책임)간 협업대응이 반드시 필요한 데 반해, 특수재난분야 종사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특수재난은 on-line 안전교육인 e-러닝 콘텐츠의 개발과 여러 가지 안전교육 프로그램으로 특수재난 분야 종사자가 언제든지 온라인상에서 학습, 활용할 수 있도록 보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 PDF

스마트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s of Preliminary Special Teachers toward Smart Education)

  • 강민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8-2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특수교사들의 스마트 교육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졸업 후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2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예비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태도 총 38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예비 특수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와 사후검증 방법인 Tukey 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특수교사들의 스마트교육 태도 수준은 전체 '보통이다'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는 '행동적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의적 태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학년이 1학년보다 태도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실습 이수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유형별로 '인지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