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합병동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3초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 (Job Satisfaction, Job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 김봉희;강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59-469
    • /
    • 2018
  •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는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를 조사하고 비교하여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비교조사 연구이다.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6개 병원에서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181명으로,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5월 16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였고,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에서 집단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가 직무만족 점수는 더 높았고,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 점수는 더 낮았다. 또한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직무스트레스(r=.39, p=<.001)와 직무소진(r=.43, p=<.001)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고, 직무만족(r=-.66, p=<.001)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해 직무 관련해서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and the nurses in general units)

  • 이은주;이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51-360
    • /
    • 2020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확인하여 효과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300병상 미만의 4개 병원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62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62명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직무만족이 높았고, 특히 보수, 전문성, 행정요구, 자율성, 업무요구, 상호작용 영역에서 높았다. 일반병동 간호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보다 직무스트레스 중 간호업무, 의사와 갈등, 환자와 보호자 영역에서 높았고, 간호사 대우 영역에서 낮았다.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는 일반병동 간호사에서만 유의한 역상관관계로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 만족은 높았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명확한 업무규정에 의한 업무수행, 과도한 업무부담의 감소, 적절한 보상, 상위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 김명숙;김갑중;김연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77-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을 조사하고 비교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비교조사 연구이다. 대상자는 D광역시 일개 종합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136명으로,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SPSS WIN 23.0 program 으로 분석하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방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간호업무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20.6%, 일반병동 간호사는 47.5%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직무만족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적정 유지시킬 수 있는 간호업무수행 능력증진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Nurses in General Wards)

  • 심옥수;이현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25-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을 비교분석하여 기초융합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는 2016년 5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서울 경기지역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3.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병동 간호사 100명과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92명을 비교하였을 때, 일반병동에서 간호근무환경 점수(t=3.027, p=.003)와 직무만족 점수(t=2.451, p=.015)가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병동간호사는 간호전문직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r=.605, p<.001)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또한 간호전문직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r=.642, p<.001)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간호 간병통합서비스의 질적 보장을 위해서는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근무환경과 간호전문직관의 확립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기본간호술 수행 빈도 및 중요성 인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erceived Importance and Frequency of Basic Nursing Performance ability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versus General Wards)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541-553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기본간호술의 수행 빈도 및 중요성 인식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여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비교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99명, 일반병동 90명 총 189명이며, 자료수집은 2018년 2.1-2.28일까지 였다. 자료분석은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기본간호술 수행 빈도는 일반병동이 2.43회로 더 높았고, 개인위생, 영양 및 배설, 활동과 운동, 입 퇴원 및 이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본간호술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두 집단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이 4.24점으로 조금 더 높았고, 개인위생, 활동과 운동, 입 퇴원 및 이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기본간호술의 중요성 인식에 비해 수행 빈도는 낮게 나타나고 있어 수행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간호사들이 전인간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정한 간호인력 배치와 간호업무 수가개발에 대한 연구를 반복적으로 수행해 볼 필요가 있겠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s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Medical Service Nurses)

  • 정진영;박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281-290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18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SPSS WIN Version 22.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 이직의도의 정도는 각각 평균 3.66점, 3.52점, 2.62점 및 3.82점으로 나타났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는 감정노동과는 양의 상관관계, 회복탄력성 및 간호근무환경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은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 성별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 성별을 고려하여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환자의 병원재이용의사 영향요인 비교 (A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Hospital Revisit Intention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and General Care Unit)

  • 이지수;이지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3-81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 병동 환자의 간호만족도와 병원재이용의사를 비교하고 병원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2019년 6월 01일부터 6월 30일까지 B광역시에 소재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200병상 이상 4개의 병원 정형외과 외래 진료를 통해 입원한 환자 201명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을 이용하여 x2-test,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만족도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가 일반 병동에 입원한 환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간호만족도와 병원재이용의사의 상관관계에서 간호만족도가 높을수록 병원재이용의사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 병동 입원환자의 병원재이용의사의 영향요인에는 간호만족도 하위영역 중 공감성과 유형성으로 나타났다. 공감성과 유형성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56%의 설명력이 있었고 일반 병동에서는 40%의 설명력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병원재이용의사를 높이기 위해 간호만족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간호체계를 마련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의 확대 시행과 정착을 위해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 경로분석 (Path Analysis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Working at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 양현주;방설영;박미라;제남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41-351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병동운영지원체계, 간호수행도, 직무만족,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B시, C시 소재 500병상 미만 규모의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137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과 AMOS 18.0으로 분석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병동운영지원체계와 소진이었으며,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간호수행도와 직무만족이었다.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효과가 가장 큰 것은 소진이었으며, 소진은 간호수행도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직무만족은 병동지원체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병동운영지원체계를 강화하여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간호수행에 대한 부담과 소진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 Practical Performance Comparison of Nurse betwee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Service Ward

  • Cho, Yun-Hee;Cho, Eui-young;Kang, Yea-ji;Oh, Min-kyung;Lee, Ju-young;Kim, Sun-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95-102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병동과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광역시의 S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8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간호전문직관으로, 업무수행능력 정도는 이원희 등(1990)이 개발한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간병통합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타났고, 간호간병통합병동과 일반병동의 간호사 모두 간호전문직관이 업무수행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을 정립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간호업무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Relations among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at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and General Wards

  • Young-ok Yoon;Sun-Yeun H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181-190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93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92명이다. 연구결과 집단 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감정노동, 이직의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감정노동,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을 줄일 수 있는 적정인력 배치, 간호의 명확한 업무경계, 적절한 보상 등을 통해 직무만족을 향상시킴으로써 숙련된 간호인력의 이직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