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컨설팅 설문 결과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9초

AI교육 선도학교 지원연구단 컨설팅 운영 결과 분석 (Analysis of Consulting Results on AI Education Leading School Support Research Group)

  • 김성주;우석준;구덕회;신승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113-121
    • /
    • 2021
  • 본 연구는 AI교육 선도학교 착수워크숍 컨설팅 연수와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컨설팅 연수의 운영 후, 온라인 설문 조사 실시 및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AI교육 선도학교 컨설팅 연수와 같은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전국단위의 선도학교 운영 측면에서 우수사례 공유 및 효율적이고 유연한 운영체계를 공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 대상자들은 AI교육 관련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본인의 AI교육 관련 역량에 대해 낮게 인식하고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에 대해 체계적이고 맞춤형 AI교육 관련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 PDF

컨설팅 프로젝트 참여자의 역량이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Consulting Participants' Competencies on Performance of Business Consulting)

  • 윤성환;김광용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9-152
    • /
    • 2008
  • 지식 서비스 산업 중에서 경영 컨설팅 산업은 타 산업으로의 파급효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부가가치가 막대하므로 우리나라의 성장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산업이다. 그러나 국외에 비해 국내의 컨설팅 관련 연구는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컨설팅을 결정짓는 요인들로 컨설팅 관련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컨설턴트의 특성, 의뢰기업 측 컨설팅 프로젝트 팀장의 특성을 성공적인 컨설팅 결정 요인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경영기술컨설턴트 협회에 소속하여 활동하는 경영 컨설턴트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컨설턴트의 역량은 물론 의뢰기업 측 팀장의 역량도 컨설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컨설팅 서비스 품질이 컨설팅 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lting Service Quality on Consulting Repurchase Intention)

  • 이양우;김상봉;홍우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09-222
    • /
    • 2018
  • 컨설팅사는 컨설팅 재구매를 목적으로 컨설팅을 수행하고, 컨설팅 수진 중소기업에서는 컨설팅 품질에 따라 재구매 의도가 발생하는데, 본 연구는 컨설팅서비스품질에 따른 대응정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컨설팅 수진 중소기업 대상으로 설문 및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컨설팅 서비스품질이 컨설팅 재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컨설팅 서비스대응성도 높아야 재 구매 의도가 발생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컨설팅 서비스 품질이 높다 하더라도 환경변화에 따라 시의 적절하게 대응하지 않는다면 재 구매 발생이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컨설팅사는 서비스대응성 강화를 위해 서비스 품질과 함께 변화하는 시장정보를 모니터링과 신속 대응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를 일반화 하기 에는 데이터 및 시간의 제약으로 연구의 부족함이 있으며, 컨설팅 재구매의도 증가위한 컨설팅서비스품질과 연계된 컨설팅 서비스 대응성 요인을 보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자활기업의 컨설팅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consulting effect of Jahwal companies)

  • 김재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71-276
    • /
    • 2019
  • 본 연구는 자활컨설팅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이다. 전국의 8개 광역자활센터의 58개 자활기업의 자활참여자 27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컨설팅 전에 설문을 실시하고 컨설팅 후 설문을 실시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 측정 변수는 3개의 변수와 6개의 하위변수로 구성하였다. 상위변수는 대인관계, 조직시스템, 자활사업의지이다. 하위요소는 상호작용, 구성원 간 소통, 수평적 리더십, 조직안정성, 개인적합성, 발전성이다. 설문은 SPSS 21.0을 시용하여 빈도분석,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컨설팅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측정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그 척도를 가지고 컨설팅 전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자활컨설팅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연령별, 지역별, 학력별 분석에서도 모도 유의미한 성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컨설팅 주요활동지수에 따른 컨설팅 성과 및 이해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ulting Performance and Intelligibility according to the Consulting Key Activity Index. - Focusing on Government Supported Convergence Consulting)

  • 이창재;유연우;전주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85-291
    • /
    • 2018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컨설팅성과 및 컨설팅 이해도에 대해 컨설팅 참여도, 전문성 및 컨설팅 능력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번 연구는 AMOS 22.0와 같은 통계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컨설팅 참여 수준, 컨설팅 이해도 및 컨설팅 성과 간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탐구적 분석과 측정 모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번째 컨설팅 참여 수준, 컨설팅 전문성과 컨설턴트 능력은 컨설팅 성과 및 컨설팅 파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세 번째로 컨설팅 이해도는 컨설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이번 설문조사에 따르면 컨설팅 참여 수준, 전문성과 능력을 통해 좋은 컨설팅 성과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 컨설팅 성과에 대한 컨설팅 이해도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이 중소기업의 흡수역량과 혁신의지를 통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The Effect of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 Characteristics on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Absorption Capacity and Innovation Willingness of SMEs)

  • 박준현;서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163-173
    • /
    • 2020
  • 무한 경쟁 시대의 중소기업은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업의 자체역량의 부족으로 외부전문가의 도움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효과적인 컨설팅의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서비스품질의 전문성과 컨설턴트의 지식과 태도를 컨설팅서비스특성이라고 정의하고 흡수역량과 혁신의지를 바탕으로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영컨설팅 수진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131부의 설문답변지를 SPSS 22.0과 SmartPLS(3.3.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 컨설팅서비스특성 중 전문성과 컨설턴트의 지식은 수진기업의 흡수역량과 혁신의지를 활용하여 경영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다만, 컨설턴트의 태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로써 컨설팅서비스특성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 분석하였고, 컨설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컨설팅기업과 수진기업이 갖추어야 할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컨설팅의 다양한 속성과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 심리적 변수를 고려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컨설팅 신청동기가 품질지각과 결과활용도간의 경로에 미치는 영향 - 정부지원 융복합 컨설팅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Application Motive for Consulting upon the Path between Quality Perception and Use of Results - focusing on government supported convergence consulting -)

  • 윤정혜;김정렬;유연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129-137
    • /
    • 2015
  • 본 연구는 정부지원 중소기업 융복합 컨설팅에 있어 컨설팅 신청동기가 품질지각과 결과활용도간의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정부지원 컨설팅을 경험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컨설턴트수행품질과 정부지원품질에 대한 지각은 컨설팅결과품질에 대한 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컨설턴트수행품질에 대한 지각은 컨설팅결과활용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지원품질에 대한 지각은 컨설팅결과활용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컨설팅결과품질에 대한 지각은 컨설팅결과활용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컨설팅에 대한 비자발적 신청집단과 자발적 신청집단간의 경로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컨설턴트역량, 정부지원제도, 컨설팅에 대한 자발적 신청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창업가가 인식한 창업지원사업의 중요도: 만족도 분석

  • 이영주;양영석;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3-116
    • /
    • 2017
  • 본 연구는 창업지원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창업지원사업의 분야 및 창업지원사업의 기대충족도와 경영성과와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창업지원사업의 분야별 인지도, 중요도, 만족도를 살펴보고, 이러한 인식도의 차이인 기대충족도를 비교분석하여 이에 근거한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서 현 시대에 맞는 발전방향을 도출하여 우리나라 창업지원사업의 발전방안들을 제시하며,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정책방향을 탐색하고자한다. 조사대상은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창업보육센터에 위치하며,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의해 사업을 개시하고 7년이 지나지 않은 개인사업자 및 법인 사업자로 한정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창업보육 매니저에게 요청하여 10개의 창업보육센터를 대상으로 총 150개의 입주기업에 이메일 설문지가 발송되었고, 자기보고식 작성방법에 따라 설문회수된 123개의 설문지 중 불성실 하게 응답한 설문지 1부를 제외한 총 122개를 최종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2017년 10월 10일부터 2017년 10월 25일까지 2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창업지원사업 분야별로 창업자들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와 실제 만족하는 정도의 평균값과 그 차이에 대한 검정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업지원사업 중 가장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는 분야는 자금지원(4.44점), 시설 공간(4.25점), 컨설팅(3.80점), 창업교육(3.76점) 순으로 나타났고, 자금지원과 시설 공간은 4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다. 창업지원사업의 만족도는 창업교육(3.39점), 시설 공간(3.48점), 자금지원(3.36점), 컨설팅(3.33점)순으로 나타났다. 창업지원사업의 창업교육, 시설 공간, 컨설팅, 자금지원 각각 분야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모든 분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컨설팅 특성 요인이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부지원 컨설팅을 중심으로 - (Effects of Consulting Characteristics on SMEs Management Performance -focusing on government supported consulting-)

  • 송거영;홍정완;유연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205-215
    • /
    • 2014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지원 컨설팅에 있어 수요자 및 공급자 특성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정부지원 컨설팅을 경험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요자인 중소기업의 컨설팅에 대한 인지도는 컨설팅결과활용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문화는 컨설팅결과활용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급자 특성인 컨설턴트역량은 컨설팅서비스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부지원정책은 컨설팅서비스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요자 특성인 컨설팅결과활용도와 공급자 특성인 컨설팅서비스품질은 모두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정부의 중소기업 컨설팅지원 사업에 있어 컨설팅에 대한 이해도 및 컨설팅 결과물의 활용도 향상과 컨설턴트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에 대한 컨설팅지원 사업에 있어 공급자 측면 뿐 아니라 수요자 측면을 고려한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한국과 미국의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운영현황 비교 분석 (Comparison Analysis on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Design Consultancies between Korea and America)

  • 이진렬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1호
    • /
    • pp.95-103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운영현황을 미국의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운영현황과 비교해 보고 향후 디자인컨설팅 산업이 질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우리나라 109개 디자인컨설팅기업과 미국의 97개 디자인컨설팅기업을 대상으로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운영특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디자인컨설팅기업의 운영특성인 클라이언트기업과의 장기적인 파트너쉽 관계형성, 다학제적 조직구성, 결과중심의 보상체계 운영, 클라이언트기업의 전략적 수준에서의 디자인컨설팅서비스 제공, 능동적인 디자인비즈니스의 실행, 기업간의 융합 네트워킹, 디자인서비스의 전문화 등 7가지 분야에 있어서 한국의 디자인컨설팅기업이 미국의 디자인컨설팅기업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우리나라의 디자인컨설팅산업이 질적 성장을 거두고 안정적인 산업구조를 이루기 위해 7개 분야의 운영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