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교육

검색결과 7,446건 처리시간 0.035초

초등학교 비만아동에 대한 교육적 효과 (The Educational Effects to The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 이선미;김영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9-16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after having the obesity education with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made up of 31 obese children out of U elementary school in B town as experimental group, and also were selected 34 children out of S elementary school under the same circumstance as control group. They ranged from the third to sixth grades with over 30% body fat ratio. The proceeding of obesity education consisted of three stage; stage for preparation, stage for practice, and stage for finish. The stages mentioned above were put into practice in turn for eleven weeks beginning on Oct. 8, 2001 through Dec. 22, 2001, while two stages only, stage for preparation and finish, were put into practice on the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eleven weeks obesity regulation contained counseling and taking regular exercises once a week by professional gym teacher.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physical characteristics,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knowledge of obesity, dietry habit and attitude were measured.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e effects of pre and post obesity education in experimintal group were measured by paired-t te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Body fat ratio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obesity education in experimintal group(p=.003). 2. The height with experimental group got taller remarkably(p=.000), but weight showed no signeficance after obesity education(p=.258). 3. Triceps and subscapular skinfold thickness showed remarkable decrese after obesity education(p=.000), percentage body fat and body fat amount got down remarkably after obesity education(p=.000). Percentage lean body mass and lean body mass amount got down remarkably after obesity education(p=.000). 4. Body flexibility, agility and muscle endurance graded up remarkably after obesity education(p=.009, p=.000, p=.000). 5. The grade in obesity knowledge got up remarkably after obesity education(p.000), but dietry habits and its life showed no significance in figures after obesity education(p=.335, p=.112). Through the results shown above, the obesity education caused body fat ratio, physique, body composition to grade up and physical fitness elevated, while dietry habits and its life showed no significance.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 (THE SOCIAL SKILLS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 한은선;이양희;안동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79-93
    • /
    • 2001
  • 목 적: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 아동들은 또래관계를 영위하는데 필요한 것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기술에 결함을 보인다. 이들의 치료에 약물치료를 포함한 부모훈련, 교육적 접근 등이 필요하지만 이와 함께 이들에 대한 사회기술훈련이 시도되고 있다. 이들에게서 사회기술훈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방 법:ADHD로 진단 받은 초등학교 아동 5명과 그들의 부모 5명을 대상으로 Pfiffner와 McBurnett이 제안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사회기술, 문제행동, 또래의 사회적 수용도,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 프로그램 만족도를 비교해 보았다. 결 과:교사와 부모가 평가한 내용이 다소 달랐는데, 교사는 사회기술과 또래의 사회적 수용도에서, 부모는 문제행동의 감소에서 유의미한 호전을 보고하였다. 부모들은 양육태도에서는 별 변화가 없었지만 양육스트레스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고하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는 상당히 높았다. 결 론:ADHD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은 최근에, 주로 보조적이거나 매우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상당히 많은 아동들이 사회기술의 결함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통합적 접근에서 이들의 치료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 PDF

또래관계증진 융합프로그램이 농촌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Peer Relationship Promotion Convergence Program o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Children Using a Rural Community Child Center)

  • 김선희;강문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167-173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증진 융합프로그램이 농촌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G군에 위치한 5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남녀 초등학교 4-6학년 52명이다(실험군=26명, 대조군=26명). 실험군은 주 1회 50분씩 총 12회기 또래관계증진 융합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사전조사와 사후조사 후 1회 30분씩 총 2회 건강교육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chi}^2$-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또래관계증진 융합프로그램에 참여 후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자아존중감(t=2.43, p=.018)과 사회성(t=2.03, p=.04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 되었으며, 사회성의 하위영역 중 준법성(t=3.02, p=.004)과 자주성(t=4.42,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노인의 사회경제적 상태, 건강상태,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health-related,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elderly)

  • 문성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259-27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경제적 상태, 건강상태, 그리고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을 성별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남성노인 688명, 여성노인 898명의 자료를 2차분석 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European Quality of Life 5 Dimensions (EQ-5D) Index를 이용하였다. 일반선형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평균과 표준오차, 계수추정치, 그리고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가장 연관성이 큰 변수는 우울이었고, 주관적 건강인식과 걷기활동 또한 유의한 연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시간이 적정하지 않을 경우 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다. 한편, 주거형태와 교육수준은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고 체질량지수는 남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우울의 관리 및 예방이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유지 증진시키는데 핵심적임을 보여주고 있고 신체활동의 경우 걷기활동과 같은 저강도 신체활동에 초점을 두는 것이 적절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독거 여성노인과 초등학교 졸업 이하의 저학력 여성 노인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 학교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 비교 (Comparison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 of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 이정화;조미숙;이민경;진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95-501
    • /
    • 2014
  • 이 연구는 학교구강보건실 운영과 학생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에 관련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김해, 양산 지역 초등학교 학생을 7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013년 7월 5일부터 2013년 7월 23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에 학생이 직접 응답하도록 한 후 회수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재학생은 494명이었으며, 비운영학교 재학생은 286명으로 구강보건지식을 분석한 결과 운영학교에서 평균 구강보건지식은 3.36점, 비운영학교 평균 구강보건지식은 2.94점으로 운영학교 학생에서 평균 구강보건지식이 높았다(p<0.001). 학교구강보건실을 운영학교 아동에서는 비운영학교 아동에 비해 구강보건지식(OR=1.58, 95% CI=1.35~1.8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잇솔질 횟수(OR=1.06, 95% CI=0.93~1.21)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학교구강보건 사업을 통하여 학생에게 적기에 구강보건교육 및 관리를 시행하여 구강보건 지식과 행동에 대해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사업의 지속적인 운영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경기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생과 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The Condi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5^{th}&6^{th}$ Grades Students in a Part of Gyeonggi Area)

  • 전지혜;이승교;원향례;정은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35-348
    • /
    • 2007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nutrition education, how they are teaching, and what kind of problems have occurred. And this study was made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be used for the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was done on 6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570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5th and 6th grade in Gyeonggi Province by questionnaire and analyzed for the perception of nutrition education, current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knowledge and cooking knowledge. The average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were 2.72 for male and 3.75 for female students out of full score of 5. The fifth grade students learned more nutrition education than the sixth grade one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curricula. Nutrition education was taught as apart of other subjects(87%) and mainly done by lectures. For most of the students, information source of the nutrition education was the meal service(47.4%) and the most common one was the Internet that 38.1 % of the teachers used.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nutrition education was necessary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for proper growth(36.2%), intelligence(25.9%), health(21.5%), and dieting(16.4%). The perception for the suitable teacher was in the order of nutrition specialist and dietician. And the right time of the related class was in the order of spare time everyday, a special activity time, and the meal service time. The important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were in the order of proper eating habits, growth & nutrition, food hygiene and diseases. Nutrition problems of the elementary students were in the order of unbalanced diet, too much ingestion of processed and instant foods, lack of table manners, and child fatness and weakness. 80.0% of the teachers supported the early nutrition education and demanded it should begin when children are in kindergarten. The analysis showed that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taught by parents(29.4%), teachers(29.2%), and nutritionists(25.9%) and that family and school should cooperate closely. Main responses of the teachers to the children's problems were that they had too much instant food, did not eat in a variety, and had no manners in eating. Ironically, they thought malnutrition, fainting and growth stunt were not important nutrition related problems.

  • PDF

군포시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급식 만족도 및 기호도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School Foodservice on Elementary School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Gunpo City)

  • 양선애;정은희;이승교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8-78
    • /
    • 2009
  • 학교급식에 대한 기호를 충족시키고, 식습관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급식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학교급식으로 제공되는 메뉴를 중심으로 음식의 맛을 잘 표현할 수 있는 4, 5, 6학년(남학생 273명, 여학생 209명)을 대상으로 급식 만족도와 기호도를 조사했다. 전반적인 급식만족도는 5점 척도로 3.20점을 보여 대체로 만족하였으며, 그 이유는 좋아하는 메뉴가 나와서(57%)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급식에 바라는 점도 역시 맛있는 음식제공(44%)을 우선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족의 이유는 싫어하는 메뉴가 나와서(50%),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서(23.9%), 청결하지 않아서(13.3%), 배식담당자가 불친절(12.2%)해서의 순이었다. 전반적인 급식만족은 성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식단에 대한 만족도로서 새로운 메뉴 및 양, 환경 만족도로서 위생환경과 서비스 모두 3.0을 넘는 평균값을 보였다. 음식조리별 기호도를 보면, 밥류는 흰쌀밥(3.59)과 보리밥(3.63)이 기호도가 높았고, 일품요리는 스파게티(3.91)와 김치볶음밥(3.70)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오징어덮밥(2.95)이 가장 낮았다. 국류의 기호도는 어묵국(3.37), 수제비국(3.26)을 비교적 선호했으며, 북어국(2.56)을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찌개류는 부대찌개(3.61), 김치찌개(3.56)를 좋아했으며, 탕류는 육개장(3.85), 갈비탕(3.77)을 선호하였다. 볶음류 중에서는 떡볶이(4.05)와 소시지볶음(4.04)을 선호하였고, 잡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좋아하였다. 조림류로 돈육메추리알조림(3.48)은 선호하지만, 생선조림(2.78), 콩조림(2.37)은 기호도가 낮았다. 튀김류는 대부분 높은 점수를 보였고(핫도그 3.80, 돈까스, 3.66), 무침류는 쫄면(3.43), 골뱅이무침(3.05), 찜류는 닭찜(3.61), 고추장갈비찜(3.54), 계란찜(3.51) 순으로 좋아하였으며, 전류는 계란말이(3.93), 김치전(3.57), 쌈류는 무쌈(3.36), 상추쌈(3.25)을 좋아하였다. 샐러드류는 감자샐러드(3.25), 과일떡샐러드(3.39)를 좋아하였고, 후식류는 여학생이 꿀떡(4.06), 메론(4.03)을 선호하였고, 방울토마토(3.44)는 가장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대체로 성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육류 및 육가공품에 대한 기호가 높은 반면, 채소류나 어패류의 기호도는 낮으므로 이들을 이용한 다양한 조리법과 새로운 메뉴 개발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호도가 낮아도 영양적으로 우수한 음식은 식단에 사용하되 영양교육을 통하여 섭취를 권장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학교급식에 대한 불만족요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메뉴 개선 외에 기다리는 시간을 줄이고, 청결한 위생관리와 친절한 태도 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PDF

농촌체험의 정서지능향상 효과 구명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Rural Experience)

  • 조록환;조영숙;임수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1-101
    • /
    • 2009
  • 어린이들이 자라나면서 인지지능발달도 중요하지만 현대를 살아가는 훌륭한 성인으로서 성장하여 사회나 조직 속에서 보다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려면 정서지능의 발달은 매우 중요하다. 어린이의 정서지능발달이 농촌체험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면 농촌측면에서 1석2조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도시의 어린이들이 농촌체험을 하면서 정서지능을 키워갈 때, 우리 농촌에서는 농촌과 농업의 중요성을 알리고, 체험소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농촌체험의 정서지능 향상 효과를 구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시 교육청에 지원학교 가운데 1개 학교를 선정하였으며, 대상학교의 5학년 2개 반 아동 중에 체험지원 아동 30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같은 학교 같은 학년 1개 반 아동 3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청소년용 EQ검사 척도를 활용하였으며(문용린, 1999), 전혀 그렇지않다(0점)부터 매우 그렇다(4점)까지 총 4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방법은 실험집단과 비실험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및 사후 질문지 120부가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평균, 표준편차, 공분산분석, 독립표본t-검증, 대응표본t-검증이 활용되었다. 적용 체험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총 9회차로 포도이야기, 참새와 방앗간, 버섯따기 체험, 고구마 캐기, 허브도감만들기 등과 같은 농촌체험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비실험집단에 대한 사전 정서지능 측정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정서지능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체험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99.76)이 비교집단(97.79)보다 정서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정서지능의 농촌체험프로그램 사전 및 사후 결과 정서지능이 총점이 평균 7.08 정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에 사전 및 사후 결과의 평균을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서인식'이 1.76, '사고촉진'이 3.32, '정서지식'이 2.40정도 향상되었다. 하지만 비교집단의 정서지능은 사전과 사후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정서지능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농촌체험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9회 실시한 후 사전 및 사후 정서지능 검사에서 체험집단이 비체험집단보다 6점이나 더 높게 나타나 농촌체험을 통하여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 있음이 구명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농촌체험은 정서 지능향상에 효과를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결과가 우리 농촌관광마을이나 체험농장에 홍보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 PDF

아동용 성취동기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motivation of achievement Scale)

  • 박성옥;기현주;신귀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1-27
    • /
    • 2004
  • 본 연구는 국가의 경제발전은 물론 대인관계와 사회적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취동기 중 아동의 성취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서울시내 초등학교 2곳에 재학중인 5,6학년 아동 58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연구를 통하여 구성된 81개 문항의 척도를 문항 변별도 측면에서 양호한 수준 $x^2$의 유의도 p<.01과 .25이상 V계수의 68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68개 문항을 요인 분석하여 고유치 1이상, 요인부하량 .30이상인 49개 문항을 추출한 후 회귀분석을 적용한 결과 설명력의 증가분이 3%미만인 13개 문항을 척도 구성에서 제외시켜 총 36개 문항으로 아동의 성취동기 최종 측정 척도가 개발되었다. 척도의 신뢰도는 문항 내적일치도 지수인 Cronbach의 $\alpha$계수로 산출하였는데, .85로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나 개발된 척도가 우리나라 아동의 성취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검증되었다.

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나는 또래 아동간의 상호작용적 학습 양상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Interactive Learning in a Natural History Museum)

  • 김기상;이선경;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7-14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자율선택학습 환경인 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나는 또래 아동간의 상호작용적 학습에 대해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 개념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들 13쌍의 자연사박물관 관람을 녹화하여 영상물과 전사본을 바탕으로 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들의 대화를 근접발달영역 발달수준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아동들이 자신이 이미 도달해 있는 수준 내에서 대화를 나누는 실제적 발달수준 내의 대화가 압도적으로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각 유형별로 대표적인 대화 사례를 세 가지 근접발달영역 체계화 요소를 토대로 해석한 결과 아동들은 언어 기호를 매개로 상호작용을 하여 상호주관성을 형성하고 동일한 상황정의를 이루어 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적으로 유의미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가장 인상적인 연구 참여쌍의 사례를 통해 아동들의 대화 내용을 과학 개념 측면에서 보다 자세히 들여다본 결과 아동들이 자신의 기존 지식과 연결짓거나 확장하고 정교화 하는 등의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나는 아동들의 학습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