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AL SKILLS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

  • Han, Eun-Sun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Sungkeunkw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Lee, Yang-Hee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Sungkeunkw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Ahn, Dong-Hyun (Department of Psychiatr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한은선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
  • 이양희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
  • 안동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Objectives:The children with ADHD have some deficits in social skills including the peer relationship. There are several approaches to teaching social skills to children with ADHD, and many are combined in comprehensive programs to maximize treatment effects. We conducted this study to explore the direct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pplied to children with ADHD. Method:Five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were diagnosed to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in Y elementary school survey participated to the study. We performed the 8-session program with the modified the Pfiffner and McBurnett's program(1997), and assessed the social skills, problem behaviors, peer acceptance,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stress. Results:Parent's reports were some different from teacher's reports;teacher reported improvement in social skills and peer acceptance, but parent notified decrement in problem behaviors. And also, there were no changes in maternal behaviors, but significant reducing effects in parenting stress. Conclusion:The stimulants are mainstream in treatment of children with ADHD.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s are combined in comprehensive treatment programs in children with ADHD to maximize treatment effects.

목 적: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 아동들은 또래관계를 영위하는데 필요한 것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기술에 결함을 보인다. 이들의 치료에 약물치료를 포함한 부모훈련, 교육적 접근 등이 필요하지만 이와 함께 이들에 대한 사회기술훈련이 시도되고 있다. 이들에게서 사회기술훈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방 법:ADHD로 진단 받은 초등학교 아동 5명과 그들의 부모 5명을 대상으로 Pfiffner와 McBurnett이 제안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사회기술, 문제행동, 또래의 사회적 수용도,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 프로그램 만족도를 비교해 보았다. 결 과:교사와 부모가 평가한 내용이 다소 달랐는데, 교사는 사회기술과 또래의 사회적 수용도에서, 부모는 문제행동의 감소에서 유의미한 호전을 보고하였다. 부모들은 양육태도에서는 별 변화가 없었지만 양육스트레스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고하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는 상당히 높았다. 결 론:ADHD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은 최근에, 주로 보조적이거나 매우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상당히 많은 아동들이 사회기술의 결함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통합적 접근에서 이들의 치료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