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motivation of achievement Scale  

박성옥 (대전대학교 아동벤처산업학과)
기현주 (대전대학교 아동벤처산업학과)
신귀순 (대전대학교 아동벤처산업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v.14, no.1, 2004 , pp. 1-2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ur purpose is to make up criteria for children's motivation of achievement and develop them into reliable that effectively fit the domestic situations, through test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ith a view to developing those criteria, questionnaire items were drawn out from our basic investigation and preliminary study,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tested. For this, we carried out a survey from October 25, 2003 to November 7, 2003 on 586 children who were attending two primary schools in Seoul, in 5th and 6th grade, and analyzed the results. Out of 81 questionnaire items constructed through the preliminary study, we extracted 68 items which show satisfactory level of discrimination with $x^2$ confidence level p<.0l and V coefficient greater than .25. Th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68 items and 49 items were extracted which have eigen value greater than 1 and factor load greater than .30. Then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so that 13 items were taken out of consideration for the criteria, whose incremental contribution to the explained proportion due to regression turned out to be less than 3%. As a result, a total of 36 items were selected as the final measurement criteria was assessed by Cronbach' $\alpha$ coefficient for the items, and we obtained its value of .85 which is at a satisfactory level. The developed criteria has proven to be a useful tool for measuring domestic children's motivation of achievement.
Keywords
children; factor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고문태(2000). 교사의 성취동기 수행과 조직헌신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2 이성진(1975). 현대교육심리학. 서울 : 교육출판사
3 McClelland, D.C. et al.(1953). The achievement motive. New York: Apple-ton-Century-Grofts
4 이은영(2000). 아동이 지각한 교사와 부모의 성취기대와 아동의 성취동기 및 학업성적과의 상관연구. 석사학위논문. 강원대 교육대학원
5 조은미(1984). 시설아동의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6 황경숙(2002).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7 Murray, H.A.(1938).Exploration in personality. No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8 김조년(1994).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9 이경화(1992). 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딸의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농어촌의 여고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0 정인(2000). 부모의 양육태도와 중학생의 성취동기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Mehrabian, A.(1969). Measures of achieving tendenc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45-451
12 남점이(199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성취동기와의 관계, 경상대학교 교육
13 민숙정(1990).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성취동기.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4 홍두승(1987). 사회조사분석. 서울 : 다산출판사
15 김신영(1982). 성취동기의 객관적 검사도구의 제작과 그 타탕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6 김진선(1986). 가정환경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용헌(1988). 성취인의 심리. 교육신서 20. 서울 : 배영사
18 한보란(1989). 상담자의 자기관여 반응과 내담자의 성취동기가 상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 Atkinson, J. W.(1964). An introduction to motivation. NJ : Van Nostrand
20 McClelland, D.C.(1961). The Achieving Society. NJ: Van Nostrand
21 성태동(2003). 성취동기, 성적/학습압력 유형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2 Mehrabian, A.(1968). Male and Female Scales of the Tendency to Achievemen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93-502
23 이미숙(1993). 내.외통제 통제성과 성취동기가 학업성휘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4 Hermans, Hubert J.M.(1970). A question are measure of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4. 353-363   DOI
25 신혜경(1990). 교육환경.성취동기 및 귀인성향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6 박용헌(1982). 성취동기 육성의 교수방안. 서울:교육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