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호공사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창호철물공사 하자발생 원인과 시공품질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 문(Door)에 사용되는 창호철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Causes of Defects in Fenestration Construction and Their Impacts on Construction Quality - Focused on Door Hardware -)

  • 문상덕;정재민;옥종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41-35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창호철물 공사의 하자발생 원인을 제도(System), 설계, 시공 3가지 측면에서 제도 미비(공사시방서 작성능력 부족등), 창호철물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부족, 설계도면 작성 기술력 부족, 설계비 저가등 7가지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7가지 원인 중 창호철물 공사의 하자 발생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원인은 제도 미비(공사시방서 작성능력 부족), 설계도면 작성 기술력 부족이 각각 1순위, 2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하자발생 원인이 실제 프로젝트에서 건축사사무소와 시공사의 규모에 따라 어떻게 분포하는지와 시공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제시함으로써 향후 창호철물공사 하자방지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지관리단계의 하자 재발생을 고려한 창호공사 시공단계의 중점관리요소 분석 (Analysis of Major Factors of Window Work in Construction Phase Considering Recurrence of Defects in the Maintenance Phase)

  • 정우진;김대영;임지영;박현정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53-664
    • /
    • 2021
  • 최근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 강화에 따라 고효율 주택의 수요가 증가하며, 창호공사의 비중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창호는 사용빈도가 높고, 시공 시 특성에 따라 많은 하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정부 기관이 공공임대주택에서 발생한 하자 민원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접수된 민원 중 창호공사의 하자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해보았고, 국내의 기존연구들은 창호공사의 시공 특성과 유지관리의 중요성을 반영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기존의 국외 연구들은 비용적 측면을 함께 고려해 시공자와 거주자의 입장을 모두 고려하였으며, 하자와 원인의 관계를 구조화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호공사의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해 시공 특성을 반영하고, 하자 보수 후 재발생 가능성에 기초한 유지관리의 중요성을 함께 고려해 중점관리요소를 도출할 것이다. 또한, 궁극적으로 하자 유형과 원인의 인과관계를 분석해 직관적 판단이 가능한 하자 유형별 중점관리요소를 선정함으로써 실효성 높은 하자관리 방안을 제시해 시공단계 하자를 예방하고 유지관리 비용을 저감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암센터 의료시설의 설계변경과 하자보수의 감소를 위한 중점 관리공사 분석 (A Priority and Impact Factor Analysis of Construction Management Tasks for Decreasing Change Orders and Defect Repairs in Cancer Treatment Center Projects)

  • 이치주;이강;심재광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55-64
    • /
    • 2013
  • 의료시설은 일반건축물 보다 공사의 복잡성이 높고, 정부규제가 엄격하여 공사 단계에서의 설계변경과 하자보수들이 많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시설의 중점 관리공사와 요인들을 도출하고 분석하여, 설계단계와 공사단계에서 관리가 잘 되지 않는 공사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2013년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의료시설 공사 관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개선 가능성이 큰 공사를 도출하였다. 먼저, 중점 관리요인들을 건축과 설비, 그리고 전기의 세 분야로 분류하여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1) 공사 진행단계에서 설계변경이 많이 발생하고, 2) 하자보수들이 많이 발생하고 소요비용이 큰 중점 관리공사와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진행 중인 의료시설 공사 관리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공사를 조사하였다. 설계변경과 하자보수가 많지만,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다면 개선 가능성이 클 것이기 때문이다. 설계단계에서는 마감공사, 벽체공사, 창호공사, 사무 자동화 및 통신기능 공사, 조명공사, 그리고 공사 관리단계에서는 폐기물 공사, 사무자동화 통신기능, 창호공사, 오염관리, 배관공사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인 설계변경과 하자보수가 많은 공사, 그리고 개선 가능성이 큰 공사의 관리를 실시 설계단계와 공사 관리단계에서부터 집중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공동주택 마감공사에서의 택트공정관리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ACT Planning & Scheduling in Finish Work of Apartment Houses)

  • 윤유상;서상욱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422-425
    • /
    • 2003
  • 건축공사의 고층화 추세에 따라 반복공정의 수가 증가하고, 마감공사에서의 관련 공종 수가 증가하여 작업 연속성에 대한 계획 및 공사관리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마감공사의 효율적 은용을 위해 각 작업을 일정한 리듬으로 반복되도록 함에 따라 공정의 개선을 이루고자 하는 기법이 택트공정관리이다. 그러나 택트공정관리는 세부공정 및 작업구역에 따른 상이한 시공속도와 이로 인한 선행공정의 작업지연 등 비효율적 요소 때문에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별 소요시간의 동기화(同期化)를 통한 개선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공동주택 창호공사를 대상으로 작업방식의 세부작업단위 및 작업인원 수를 작업시간의 동기적(同期的)연결 및 최소 요구인원 수를 기준으로 조정한 후, 공기단축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소규모 민간건축에 있어서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를 고려한 창호공사 현황분석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Window Constructions in Small-scale Private Archite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Rating System)

  • 강석표;진은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51
    • /
    • 2015
  •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창호업계는 글레이징과 창프레임 제조가 별도의 산업체로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창호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와 건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르면, 창호의 열관류율 기준은 글레이징과 창프레임을 일체화시킨 창세트에 의해 정의된다. 대부분의 창호제조 중소업체는 글레이징과 프레임부분을 통합하는 생산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서 창호는 별도로 납품된 유리와 프레임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이러한 현실과 제도를 연결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창호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의 현장상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호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에 대한 이해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만족도는 낮았으며, 공사현장에서는 공장제조된 일체화된 시스템의 창호가 아니라 현장조립에 의한 창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현재의 등급제가 현장에서 잘 적용된다고 확신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창호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는 산업현장의 현실성을 돌이켜보고, 이론적으로 치우칠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초고층 창호공사 조기착공을 위한 ACS-Lift Car 연계 시스템 기초연구 (The Study on Integrated ACS and Lift Car System for Early Beginning of Windows Work in Tall Building Construction)

  • 이동윤;임현수;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2-73
    • /
    • 2014
  • Recently the concurrent construction method of framework and windows work has been applied for early beginning of exterior finishing works in tall building construction.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makes difficulties in auto-climbing of gang-form and climbing work of lift car since the removal of ACS(auto climbing system) should be preceded for operation of lift car up to the top floor. This study propose a concept model of integrated ACS and lift car system to resolve these problems and begin windows works early in tall building construction.

  • PDF

BIM 기반 견적을 위한 창호공사 내역 작성체계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Bill of Quantities of Door and Window Work for BIM-based Cost Estimation)

  • 김미현;조찬원;윤석헌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2-20
    • /
    • 2020
  • Recently, interest in BIM technology has been growing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as the number of construction projects requiring the application of BIM technology has increased. The use of BIM allows the use of various visualization functions through 3D models as well as drawing interference review, quantity calculat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information. In particular, estimates of construction costs based on BIM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by reducing the burden of calculating construction costs and managing them.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BIM-based cost estimat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oQ(Bill of Quantity) information and the BIM model. For this purpose, the ratio of the amount and item to the detailed construction of the current BoQ was analyzed, especially the problem of the calculation of construction cost in the window work in this study.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suggest a method for systematically linking the BoQ information with the BIM model by improving the BoQ information structure of the window work.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quantity calculation and analysis work of construction cost of window work.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method will help to analyze and predict changes in construction cost of windows and doors by facility characteristics and type.

창호공사 작업단계의 하자유형별 핵심관리요소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Key Management Elements by Defect Type in the Work Stage of Window Construction)

  • 정대교;이한영;김형우;이동엽;박현정;김대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37-338
    • /
    • 2023
  • As the number of defects in apartments has increased recently, lawsuits and disputes related to defects have also increased. As a result, the loss of time and money is enormous. Therefore, fundamental measures are neede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def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reduce defects, focusing on window construction. To this end, existing studies were reviewed, and data from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to organize the types of defects. Based on the classified data, eight types with a high incidence of window glas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ime of occurrence, and the cause and causal relationship of the defect were schematized. It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possibility of recurrence of defects for each of the eight defect types for experts and derive key management elements using the RII method. Therefore, the goal is to select key management elements of window construction that activ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stage.

  • PDF

지급자재 조달관리부담 평가에 기초한 중소기업 공사용자재 직접구매제도 대응방안: 공공아파트를 공급하는 발주자를 중심으로 (Developing Response Plan for the Direct Buying System for SME's Construction Materials based on the Analysis of Material Procurement Management Load: Focused on the Owner Providing Public Apartment Housing)

  • 송상훈;방종대;손정락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425-434
    • /
    • 2013
  • 중소기업청은 일정규모 이상의 공공건설사업에 대해 일반공사와 의무적으로 분리하여 직접 구매해야 하는 123개 공사용자재 제품군을 지정하고, 법에서 정한 바에 따라 발주기관이 자재를 직접 구매하여 수급인에게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사용자재 직접구매제도 하에서 공공아파트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지급자재가 지니는 다양한 특성과 관리요인을 발주자 입장에서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요관리대상 자재를 파악하고, 자재 조달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이들에 대한 적정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조달경로, 현장특화정도, 입주자 요구수준, 업체 책임범위, 납품분할정도, 현장작업 요구도, 부속자재 필요도, 검수조건 등 지급자재가 가지는 주요 관리요인을 적용하여 공공아파트 건설사업에 적용되는 43개 직접 구매 대상품목의 조달관리부담을 평가한 결과, 상대적으로 높은 조달관리노력이 요구되는 주요관리대상그룹에는 목재창호, 알루미늄창호, 승강기, 목재마루재, 레미콘, 타일, 합성수지창호가 포함되었고, 그 중 알루미늄창호와 타일은 집중관리대상으로 분류되었다. 나아가 직접구매제도의 영향에 따른 집중관리대상 자재에 대한 대응방안은 발주자 입장에서 실태, 문제점, 관리측면의 주요 고려사항을 반영하여 작성하였으며, 실질적 수량 산출, 명확한 발주세부조건 정비, 생산 전후 활동 활성화, 하자보수 물량 확보, 공종별 간섭 사전 협의 및 해소 등이 필수적인 관리활동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