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지원서비스

Search Result 16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가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을 중심으로

  • Hong, Dae-Ung;Lee, Il-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41-41
    • /
    • 2017
  • 연구에서는 기존의 업종구분 없이 창업보육센터의 서비스와 입주기업의 성과와의 상관관계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을 문화콘텐츠 분야의 기업 관점에서도 유의미한지 재 검증해보고, 또한 문화콘텐츠 기업의 특성상 아이템의 사업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그래서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 시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문화콘텐츠 시장의 성장에 따른 아이템의 사업성 평가에 따른 차별화된 창업보육 서비스를 통해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는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 데이터의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SmartPLS 2.0를 이용해 빈도분석(頻度分析), 신뢰도분석(信賴度分析), 그리고 구조모형을 통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서비스, 경영지원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 지원 서비스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경영지원 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경영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분석한 결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재무적,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Impact of Business Incubator's Support Service and Manager's Capabilities on the Start-Up Performance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와 매니저 역량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Bae, Young Im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2
    • /
    • pp.145-155
    • /
    • 2016
  •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mpact of business incubator's support service and manager's capabilities on the start-up economic performance. BI's support services consist of physical infra, management/legal service, networking service, financial service, technical service, and education/training service. The results show that most BI's support services(except education/training servic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tart-up economic performance.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of BI's servi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atisfaction of BI's services is much lower than the importanc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start-ups' expectations are not able to meet. In conclusion, BI's services have a major impact on the start-up economic performance, but actually they didn't meet the expectation of the start-ups. In the future, the quality level of BI's services and manager's capabilities needs to be improved. The improvemen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startups.

  • PDF

Impact of Start-Up Incubator Service On the Start-up Performance (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창업보육 지원 서비스 연구)

  • Hwangbo, Yun;Kim, Jae Hyo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5
    • /
    • pp.57-66
    • /
    • 2016
  •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Start-Up Business Incubator System on Performance of the Start-up Graduated from the Business Incubator. This has analyzed 813 startups which had supported by Seoul Metropolitan City in particular from 2009 to 2010. Empirical analysis has choosed business room for free, startup grant for operation, education & coaching support, consulting support by practitioner, promotion & new market opening support and collaboration support among startups in the business incubato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lso implemented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degree as a depentent variable. The results shows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start-up activity support fund for entrepreneur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collaboration support among firms in the business incubator have statistical significant impact on start-up success satisfaction degree. The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it provides a basic data on policy support strategies by central and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that facilitate entrepreneurs to achieve start-up business goals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entrepreneurs. In addition, the study offers new directions for entrepreneurs in a way that promotes the start-up performance by business room for free, education & coaching support, consulting support by practitioner, promotion & new market opening support which were investigated as statistical insignificant constructs, so that the author expects new studies about more effective business incubator system to enhance the performanc of start-up in business incubator.

  • PDF

입주기업의 성장단계별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가 서비스 만족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Sin, Gyo-Seong;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43-43
    • /
    • 2017
  •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지원서비스가 성장단계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과 입주기업이 느끼는 만족도와 그에 따른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입주기업의 니즈(needs)를 반영한 성장단계별 차별화된 효과적 지원서비스로 입주기업의 만족도와 경영성과를 높임으로써 창업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이론적 기여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가설1 성장단계별 지원서비스는 정(+)의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 성장단계별 만족도는 정(+)의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3 성장단계별 경영성과는 정(+)의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4 지원서비스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5 지원서비스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6 만족도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와 같이 지원서비스는 입주기업의 경영성과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의 성장단계별 지원서비스가 서비스의 만족도와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중소기업청 지정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174개를 표본으로 SPSS 22.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을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단계별 지원서비스의 차이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정(+)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장단계별 만족도의 차이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단계별 경영성과의 차이 중 투자유치는 정(+)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보육센터에서 제공하는 지원서비스가 입주기업의 경영성과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입주기업의 만족도도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가 아직도 행정지원과 자금지원 등에만 국한되어 지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입주기업의 성장단계에 적합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함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또한, 성장단계별 입주기업의 만족도는 매출증가와 고용증가로 이어졌지만 아직 투자유치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입주기업에게 획일적인 지원서비스가 아닌 차별화된 지원서비스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창업보육센터 매니저들이 엑셀러레이터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한 창업보육역량 고도화가 필요하고, 창업보육사업은 기업의 성장단계와 관련이 있으므로 입주기업의 성장단계 및 창업보육센터의 지원하는 역할과 기능에 따른 창업보육모델의 진화를 고려한 3세대, 4세대 보육모델로서의 발전된 운영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 PDF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Failure Experience on the Needs of Start-up Support Services (창업자의 자기효능감 및 실패 경험이 창업지원서비스에 대한 니즈에 미치는 영향)

  • Kwon, Il-Sook;Sul, Won-Sik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8 no.6
    • /
    • pp.1-7
    • /
    • 2020
  •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the needs for start-up support services may vary depending on the found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or his attitude toward uncertainty. To verify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ounders of 86 companies located in Business Incubators at Seoul and Daejeon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of the founder, the more active he expressed his willingness to accept the start-up support service, which aims to provide start-up zones to busy areas outside the university. While the founder, who has experienced failure in the past, responded positively to attracting customers located outside the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hypothesis and suggest that differentiated start-up support services should be designed by including not only characteristics at the level of start-up companies, such as industries and growth stages, but also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art-ups in important consideration.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CEO의 기업가정신 및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BI지원서비스 활용정도를 중심으로

  • Kim, Seong-Il;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51-52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CEO의 기업가정신 및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의 활용정도를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권에 위치한 창업보육 센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의 지원서비스 활용정도가 경영성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입주기업의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Influence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ork Value, and Entrepreneurial Servic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ffee Shop Founders (창업자기능감, 일가치 및 창업지원서비스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전문점 창업을 중심으로 -)

  • Koo, Ji-Eun;Chun, Byung-Gil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1 no.6
    • /
    • pp.1-13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mpirically verify how the degree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the degree of work value which each founder gains from starting a shop, and the degree of usefulness perception of the entrepreneurial service given by the public sector influence founder's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degree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internal work value was found to influence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addition, would-be coffee shop founders' usefulness perception of entrepreneurial service had an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allow a wider understaning of what factors influenc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a coffee shop founder and the importance of governmental support(education, funding, skills, and management).

A Study on the Effects of Support Service of Gyeonggi-do Cultural Contents Area Business Incubating Center on Corporat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Business Validity of Business Start-Up Items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가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을 중심으로)

  • Hong, Dae Ung;Lee, Il han;Son, Jong Se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4
    • /
    • pp.47-60
    • /
    • 2017
  • As the recent cultural contents area start-ups are creating remarkable outcomes such as investment attraction together with the reinforced institution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this study aimed to reverify the significance of researches related to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rvice of Business Incubating Center of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operated with no separation of business type,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aspect of Business Incubating Center in cultural contents area, and also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business incubating system in the systematic and rational cultural contents area through the differentiated business incubating service by verifying the significant effects of the business validity of items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then discovering services suitable for business incubating in cultural contents area, targeting Gyeonggi-do cultural contents area Business Incubating Center recently showing the biggest growth. Especially, contrary to the existing researches, in order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gi-do Cultural Contents Business Incubating Center, the personal support service and marketing support service were included. It also aim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business validity of start-up items on corporate performance.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ary to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saying that spatial & additional support service, management support service, technical support service, personal support service, and marketing support servi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rporate performance, among the support service of Gyeonggi-do cultural contents area Business Incubating Center, the spatial & additional support service, personal support service, and marketing support servi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corporate performance while the management support service and technical support service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it.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the researches on the support service of Business Incubating Center(BI) of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 effects of the management support service and technical support service of Gyeonggi-do cultural contents area Business Incubating Center on corporate financial/non-financial performance were not huge. Also,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business validity of star-up items, the spatial & additional support service, management support service, and technical support servic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business validity of start-up items while the personal support service and marketing support servi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it. In case when selecting companies, Gyeonggi-do Business Incubating Center emphasized the business validity of start-up items. However, the support service provided after the selection did not have huge effects on the business validity of start-up items. Last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business validity of start-up items in Gyeonggi-do cultural contents area on corporate performance, among the success factors of business start-up, the business validity of start-up items was an important element having effects on corporate performance(financial/non-financial) in the cultural contents area.

  • PDF

창업보육센터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김보윤;황보윤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187-192
    • /
    • 2023
  • 1990년대 후반 정부는 경기부양의 일환으로 창업보육센터(Business Incubatir: BI)를 전국에 설치·운영하도록 지원하였다. 창업보육센터를 통해 벤처기업이 스스로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시기까지 시설, 기술, 행정, 경영지원 뿐만 아니라 입주지원까지 다양한 지원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특히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은 입주업체들의 기업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이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근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조직문화는 스타트업을 움직이는 심장이며 그 영향력은 실핏줄을 타고 회사의 가장 사소한 결정에까지 미친다. 조직문화마저 없다면 스타트업은 제품, 브랜드 무엇 하나 제대로 갖추지 못한 그저 꿈을 쫓는 집단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 서비스품질 구성요인 인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과 스타트업에게 중요한 원동력이 되는 실천중심설계가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교육만족이 조직문화에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실무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The Moderating Effect of Business Incubator's Technical Support and Competence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under's Experiences and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Start-ups (제조업 창업에서 창업보육센터의 기술지원과 양산지원의 조절효과가 창업자의 경험과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Lee, Jung Seung;Kim, Soo 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2
    • /
    • pp.197-202
    • /
    • 2020
  • The business incubator is a useful system to help start-up companies, providing various supporting systems from the technical supporting system to human resources supporting system.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ical support and competence support of business incuba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under's experiences and performance of the company. A total 201 sample were used to empirically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of the study partially supported the hypotheses, implying the needs of specific supporting systems for start-ups.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