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자 특성

Search Result 30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and Perception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Assessment (중장년 직장인의 창업 개인역량 및 창업기회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기회평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Ju Young J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3
    • /
    • pp.45-60
    • /
    • 2023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entrepreneuri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y mediating entrepreneurial opportunity evaluation. Sub-variable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were classified into prior knowledge, positive attitude, and social network.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using Naver Office was conducted for about 15 days (February 6, 2023 - February 20, 2023) targeting office workers across the country who are interested in starting a business, and a total of 262 copies were collected and missing values. For 250 copies excluding 12 copies, SPSS Ver.24.0 and PROCESS MACRO Model 4.0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prior knowledge of the founder's individual competency, social network,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the higher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evalu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attitude among entrepreneurs' individual competencies did not affect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evalu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evalu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as in the order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prior knowledge, and social network. This is because the positive attitude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towards start-up has a negative image of start-up due to the shrinking start-up environment due to COVID-19, fear of failure due to lack of preparation for start-up, and successive cases of start-up failure due to cognitive bias errors due to overconfidence. implying that there i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valuation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entrepreneur's individu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were controlled. Third, the startup opportunity evaluation was shown to mediate between the prior knowledge of the entrepreneur's individual competency, social network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it did not mediate between positive attitud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urth,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entrepreneurial opportunity evalu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was found to be larger than founder's individual competency,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Fifth, it was found that prior knowledge and network, which are individual capabilities of the founder, affect the evaluation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o that strengthen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prior entrepreneurial knowledge and experience can revitalize middle-aged office workers' entrepreneurship. confirmed.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Religious Commitment, Individual Trait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대학생의 종교몰입과 개인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Joo-He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4
    • /
    • pp.71-78
    • /
    • 2016
  • Religion can affect on every day lives of individuals in society. Also, religion can affect on personal networks and the formation of a social culture that may lead to influence individual decision makers. Religion can influence values and ethics of people in society. However, according to the secularization hypothesis, as an economy becomes more efficient and the members of a society becomes more educated, the influence and control of religion over people tend to become diminished more. How is religion related with entrepreneurship? There are not so many empirical studies that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entrepreneurship.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hat we empirically examine how religious commitment, in addition to individual traits such as need for achievement, perceived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ntrepreneurial parents or friends. Our study is based on survey sample of 229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results we found are as follows. First, religious commitment does not ha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lso, religion commitment has no relationship with need for achievement, perceived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ntrepreneurial parents or friends. Second,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need for achievement and entrepreneurial parents or friends have meaningful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perceived creativity is a full mediation variable between need for achievemen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PDF

Determinants of the Utilization of Micro-enterprise Support Services (소액창업 지원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Chung, Youngsoon;Shim, Haisun;Kim, Kyoye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1 no.4
    • /
    • pp.135-160
    • /
    • 201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by using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 how difficulties in business start-up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ly determine the utilization of micro-enterprise support services. The service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areas: capital, technical service, psychological service, item feasibility and business plan, site selection and interior service, marketing, finance and accounting, employment service. This study found that difficulties in business start-ups were a significant factor in six areas.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a significant factor in four areas, when difficulties in start-ups were controlled.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higher possibility of service utilization was anticipated in people with start-ups experience than people without experience, and in women than men. This results point out that service strategies should be targeted for people with difficulties in order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micro-enterprises support service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strategies should be considered for people with no start-ups experience, low academic ability, and female entrepreneurs who are vulnerable.

Established business start - up support Impact on The youth of business performance (창업지원이 청년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Jeon, In-Oh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1
    • /
    • pp.103-114
    • /
    • 2012
  • The study is analyzed that policy support impact on youth entrepreneurship and to purpose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upport, would like to empirical study on support performance by start-up support program through education level of the founder, performance of the establishment enterprises and an empirical study of start-up support. This study reported that start-up support should be different from impact of performance of support by young founder to participate in the success of entrepreneurship incubator package or preliminary young founders and is focused on study of policy support. Examines the literature of associated young founder's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at domestic and foreign, and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research as the basis of the model was set. This study surveyed to university student which were trained nationwide entrepreneurship program in order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The survey targeted engineering students who is practical technology foundation possible during from June 1, 2012 to June. 15, 2012, the way of data collection was directly surveryed to engineer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ntrepreneurship program. and an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each 157 call.

다문화 이주여성의 기업가정신과 창업기회인식, 긍정심리자본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

  • Jo, Seung-Mi;Kim, Jong-S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119-123
    • /
    • 2021
  •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2019년 11월 1일)를 기준으로 발표한 '2019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을 보면, 국내 체류 외국인은 2,216,612명으로 지난해인 2018년 2,054,621명에 비해 161,991명(7.9%)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51,850,705명) 중 4.3%에 해당하며, 외국인 주민 최초 조사 연도인 2006년 536,627명과 비교했을 때 4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내 이민자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가 생각해야 할 점은 그동안 다문화 관련 정책적 환경이 급변하였을 뿐 아니라, 환경적 변화에 맞게 정책의 변화도 지속해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또한, 다문화가족의 양적 증가뿐 아니라, 거주 기간도 장기화되면서 초기 적응이라는 정책보다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새로운 정책 요구를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창업 의지에 미치는 요인들을 연구하는 것은 향후 다양한 다문화 정책 수립 및 창업, 경제활동 활성화에 있어 큰 의미가 있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창업 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학문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선행연구는 주로 북한이탈주민 및 다문화 이민자의 문화지능 또는 사회체제 등이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초점을 두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이주민의 창업 의지에 관한 기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해 보는 데 있는데, 해당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은 개인적 특성(기업가정신)인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기회 인식'과 긍정심리자본 특성인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력', '낙관주의' 등을 선정하였다. 해당 요인들을 바탕으로 수도권에 거주 중인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로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 다중회귀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가설들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Youth Enterprises (청년창업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창업전문가를 대상으로)

  • Shim, Hyeon Min;Seol, Byung Mo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2
    • /
    • pp.1-13
    • /
    • 2022
  • This study derived the success factors of youth enterprises by applying the Delphi Method to start-up experts. Through this, it aim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youth enterprises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tart-up support projec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suitable for youth enterprises.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youth entrepreneurs solve their curiosity about the success factors of youth enterprises, identify the factors that youth entrepreneurs should first secure or perform among the factors they need to consider during start-ups, and use limited resourc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o succeed. In this study,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in total. The first Delphi Survey utilized the Modified Delphi Method using structured closed-ended questions, and a pilot test was conducted on youth entrepreneurs and start-up experts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the Modified Delphi Method. In the first Delphi Survey, IBM SPSS Statistics 22 and Microsoft Office Excel 2016 were used to calculat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median, interquartile range, and content validity ratio. In the Delphi 2nd survey, the same statistical values in the 1st survey and additionally cronbach's alpha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four factors, such as the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preparation, entrepreneurial strategy,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nd 22 sub-factors were derived as success factors for youth enterprises.

Suggestions for Enhanc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Software Start-up Companies through the Analysis of Success Factor (소프트웨어 창업기업의 성공요인분석을 통한 국제경쟁력 제고 방안)

  • 이영덕;강대석;채명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24-24
    • /
    • 1998
  • 국내 소프트웨어산업은 산업특성상 우리 나라에 적합한 산업이며 국내시장 규모도 급증하고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 낙후되어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소프트웨어 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사 및 설문지 조사를 통해 소프트웨어산업에 있어서의 성공요인들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소프트웨어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사대상 기업체를 기존 연구들처럼 소프트웨어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기업들을 임의적으로 추출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대신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선정된 유‘망 중소정보통신 소프트웨어 기업’들과 현재까지 선정되지 못한 기업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두 그룹간의 창업배경 및 성장과정별로 비교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창업이후 성공적 운영에 필수적인 우위요인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비교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국내 소프트웨어산업의 성공요인 및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정기업과 비선정기업간의 비교를 통한 성공요인 분석결과를 요약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의 일반적 특성과 창업배경 및 창업동기를 볼 때, 창업배경 또한 연구개발직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주된 창업동기는 기술력에 바탕을 둔 사업화/동업화였다. 둘째, 창업자의 경영의지를 보면 창업 이전 준비 및 계획에 철저했으며, 각종 지원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뿐만 아니라 비혜택 제도도 적극적 활용(예; 공고생 현장실습제도 활용정도, 기술지도 및 연수사업 활용정도 등)하였으며, 특히 창업자가 미래에 대한 확신과 긍정적 사고, 및 성공에 대한 의지가 높았다. 셋째, 기술력을 보면 자체연구소 보유비율이 월등히 높으면, 보유기술도 국내에서 가장 먼저 개발하는 단계였거나 독자적인 기술보유가 많았고, 기술력 유지를 위한 신기술 연구개발투자의 강화, 신제품개발 및 품질향상을 지속화, 및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전문기술인력의 확보에 주력하였다. 끝으로 마케팅 능력면에서도 개발된 신제품에 대해 자체상표를 부착하는 비율(84.6% 대 64.5%)이 높고 다양한 판매경로를 통해 제품을 판매하였으며, 기업 및 제품이미지 제고를 위한 고객에 대한 서비스도 강화하고 있었다.

  • PDF

Moderating Effects of 3 years over Startup QFD Training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on Transfer Intension (창업기업 QFD 교육 훈련 학습자 특성이 학습 전이의도에 미치는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 Hwang, Bo-Yun;Yang, Young-Seok;Kim, Myung-Seu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4
    • /
    • pp.35-48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training effect of QFD(Quality Functional Deployment) program for 3 years over startups, adopted from the conventional QFD widely used in the large companies to break up to a sluggish sales and growth, for employees working in startup whether the participants in startup and venture company taking this lessons into their real tasks or not. In particular, the focus of this study falls on figuring out wheth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play a role in moderating effect over transfer intension factors and its link path structure. The research results drive out two significant findings. First,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transfer intension by self-efficacy and the validity of training content with the learner's readiness, the moderating effect of demographic features of the participants is effective partially by the sex and fully by their working position,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education, and the prior startup career. This research deliver the following significant implication that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EO level, decision-maker guarantee the higher performance of the training program like QFD program, more stresses falling on practical implementation in real business rather than just ending up with career training. This study gives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 to quasi-government organization running all public startup training projects.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만족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기완;김종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97-100
    • /
    • 2023
  • 스타트업은 우리 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스타트업이 탄생해 일부는 스케일업(scale-up)하여 유니콘 기업으로 발전하는 반면 일부는 데스밸리(Death Valley)를 넘지 못하고 실패한다. 스타트업이 창업 이후 성공적인 사업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공공과 민간부문에서 다양한 노력을 펼쳐 나가고 있으며, 창업자 보육에 필요한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액셀러레이터가 스타트업 육성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에 비례하여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도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액셀러레이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운용 주체와 내용이 다양하여 프로그램 효과 분석도 다각적인 시각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참여자의 특성에 기인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스타트업 CEO의 특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기업성과인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인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CEO의 긍정심리자본 정도에 따라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중소기업 지원 정책금융기관인 신용보증기금과 중소기업은행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인 스타트업 네스트(Start-up NEST)와 IBK창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스타트업 CEO를 대상으로 하였다.

  • PDF

개인적특성과 창업환경이 10대, 20대, 30대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 O, Hui-Seo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63-166
    • /
    • 2020
  • 저출산으로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했는데도 청년실업자가 늘어난 나라는 한국, 이탈리아, 그리스인데 이는 OECD국가 중 유일하다. OECD 청년고용률은 2009년 40.5%에서 2019년 43.5%로 증가했지만 순위는 30위에서 32위로 하락했다. 코로나19사태로 매출이 감소한 국내 301개사는 채용을 미루거나 포기한 비율이 전체 50.5%애 이르면서 앞으로 청년 취업 상황을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양질의 일자리가 증가하면 이를 통해 개인은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고 산업은 고급 인력을 바탕으로 성장구조를 만든다. 따라서 민간과 정부는 창업을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 청년창업대상자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청소년 비즈쿨 사업과 창업에듀, K-스타트업, 청년창업사관학교, 학생창업유망팀 300등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원 사업이 초기창업단계에 지원역량이 강화되어 있고 공급자 위주로 창업지원 사업을 운영하다보니 창업 성과는 미미하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대는 생계유지에 대한 문제와 창업자금으로 인해 창업을 망설이고 30대는 가족을 돌보는 것에 대한 부담감과 기업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창업을 기피 하는데 이는 40대이상 다른 연령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이 연령에 따라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분석하여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청년창업지원대책 기초자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청년창업대상자의 금전에 대한 태도, 창업역량, 성공한 롤모델, SNS 활용능력, 창업지원정책, 사회적지지, 인적네트워크, 해외시장 관심도가 창업의지에 어떤 상관 관계를 갖는지 비교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0대의 경우 취업과 창업을 고민하는 특성화고등학생 150명, 20대 150명, 30대 150명으로 총 450명의 데이터를 가지고 SPSS 23을 통해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고 원인을 비교해 앞으로의 정책이 창업을 독려하고 지속력을 갖기 위한 방향으로 시사점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