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연구

Search Result 2,83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군 장병 창업 프로그램이 개인의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Seo, Min-Ji;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69-76
    • /
    • 2021
  • 국가 경제의 활력을 위해 창업은 더없이 중요하다. 창업은 일자리를 새로이 창출하고, 기업 활동에 혁신을 도입하며, 경제성장을 유발하여 국가경제의 발전과 성장에도 기여한다고 할 수 있겠다. 위와 같은 창업의 중요성으로 인해, 창업을 촉진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최우선 과제로 진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많은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최근 청년 실업률의 증가와 함께 특히 청년층의 진로 대안 마련이라는 사회적 문제가 큰 논점으로 부상하면서 우리 군에서도 청년층의 실업 문제의 해결과 새로운 고용의 창출을 위한 방안으로써 창업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군 장병 대상 창업 프로그램을 창업교육, 창업 멘토링, 창업 경진대회로 구분하여 각각의 프로그램 중 어떤 창업 프로그램이 군 장병의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한다. 또한, 군 창업 프로그램이 조직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며,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을 매개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를 토대로 군 창업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효과성을 알리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군 장병 창업 프로그램의 개선과 더불어 향후 군 장병에 대한 창업 지원정책 수립과 발전에 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군 장병의 자기효능감과 문제 해결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도입한 군 창업 프로그램의 실효성과 군 창업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을 매개로 하여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Acquisi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via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mily Entrepreneurship Background (창업지식습득이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자 가족배경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Lee, Juy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4
    • /
    • pp.219-232
    • /
    • 2022
  • Empirical stud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have been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 unemployment rate has increased as the global economy stagnates in the aftermath of the COVID-19 pandemic, and entrepreneurship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job creation. Although numerous antecedent variables have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focuses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an individual factor and the entrepreneur's family background as an environmental factor.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results of 300 global respondents through the online survey platform Prolific. The respondents were screened by asking a question about having had entrepreneurial education. Since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have been proved in numerous domestic studies, this study aims to generalize these results by investigating global samples. The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CES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acquisi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via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e family background of entreprene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quisition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knowledge acquisi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the entrepreneurship family background moderated this relationship. Specifically, when the family entrepreneurship background is strong (vs. weak), the positive effect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acquisi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via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a own business, entrepreneurial educa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to improv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acquisition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entrepreneurial intention can be induced. Third, strong family background of entrepreneurship further promotes entrepreneurship intention by increasing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conclusion, in order to revitalize entrepreneurship, it is important to provide various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s. These educational programs will be able to improv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by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cquire entrepreneurial knowledge, and thereby promot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provide advanced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ose who have start-up business experiences in their families.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Domestic Start-up Environment and Start-up Perception: Focusing on the changes in 2016 and 2021 (국내 창업환경 및 창업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2016년과 2021년 변화를 중심으로)

  • Nam, Jung-Min;Lee, Sung-Ho;Lee, So-Jung;You, Hyun-Ky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6 no.6
    • /
    • pp.145-155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ults of start-up policies of the previous government (2013-2017) and the current government (2017-2022). We would like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founders on the domestic start-up environment in 2016 and 2021. Based on the data (GETR) that surveyed the perception of the startup environment in 2016, a trend surve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the start-up environment of founders in 2021.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under's perception of the domestic start-up environment changed positively overal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ax adequacy', 'easy to recover investment', and 'easy to transfer technology'.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he start-up environment of livelihood founders was negative compared to opportunity-type start-ups. As such, different results were found for each type of start-up.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past and present start-up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founders.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omestic start-up environment by seeking support measures for livelihood-type start-ups that have collapsed due to COVID-19.

How Entrepreneurial Mindset of Office Workers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Roles of Social Capital and State-action Orientation (직장인의 기업가형 마인드셋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을 매개, 유지-행동성향을 조절변수로)

  • Song, Chang-Woon;Park, Ju-Yo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3
    • /
    • pp.73-88
    • /
    • 2020
  • The majority of previous research on start-ups consist of research on leading variables that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related to start-ups established by young people, college students or senior citizens, an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regarding start-ups in the sense of their form such as independent start-ups, franchising start-ups, small business start-ups, etc.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argeting office work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estion of how office workers' entrepreneurial mindset affects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ing on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and moderating role of state-action orientation. We use survey data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in question. This study finds the presence of the positive effect of entrepreneurial mindset on social capital that significantly promotes entrepreneurial intention, demonstrating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We understand the existence of moderator, action state, showing that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affected by interaction of entrepreneurial mindset and action state, not entrepreneurial mindset alone. We propose som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lis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and Social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창업역량과 사회적 영향력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

  • Hahn, Mie K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0
    • /
    • pp.261-270
    • /
    • 2022
  • The changing nature of work suggests that people may face the prospect of a career choice including of paid employment, non-work and self-employment, of which the latter implies scope for entrepreneurial activi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iew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social support, entrepreneurial role model as an affect to increas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adult with the purpose of a second career choice.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mentor is verified. As research methodology, a research model and a hypothesis were set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proven through a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SPSS 24.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job competency and funding cap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Second, entrepreneurial role model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y, social support, entrepreneurial role model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s, the mediating effect of mentor had significant job competency→mentor→entrepreneurship intention, funding capability→mentor→entrepreneurship intention, entrepreneurial role→mentor→entrepreneurship intention.

Mentoring Nascent Entrepreneurs: What Leads to Intention? (초기창업자 멘토링: 어떻게 창업의도로 연결되는가?)

  • Lee, Il Ha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8 no.2
    • /
    • pp.47-52
    • /
    • 2013
  • The identification of the entrepreneurs' capacity and the obstacles of university/graduate school students have been assuming a growing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mentoring directed towards the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process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ost contribute for the intention to start up a business. The research also tries to identify the profile of a potential entrepreneur student concerning several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capacity, obstacles and mentoring. We used the modeling testing of the data collected from 139 university/graduate school students. Research findings include the idea that entrepreneurial mentoring is moderating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the other side, personal entrepreneurial capacity has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motivation to start-up a business and entrepreneurial obstacle have a negative impact in the intention to start-up. Contribution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the further research.

  • PDF

창업교육의 전문성과 다양성이 창업동아리 구성원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철효과를 중심으로

  • Han, Ga-Rok;Lee, Jae-E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09-113
    • /
    • 2020
  • 본 연구는 창업동아리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창업교육의 전문성(깊이)과 다양성(폭)이 창업동아리 구성원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12개 대학교에서 수집된 657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의 전문성(깊이)은 진취성과 혁신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교육의 다양성(폭)은 위험감수성, 진취성, 혁신성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창업교육 전문성(깊이)과 진취성 간의 관계와 창업교육 전문성(깊이)과 혁신성 간의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을 전문성(깊이)과 다양성(폭)의 측면으로 구분하고 대학교 창업동아리 구성원들의 기업가정신 간 연관성을 규명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창업교육 연구 분야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한민국 창업생태계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창업가, 예비창업가, 학생을 중심으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Kim, Seong-Hun;Nam, Jeong-M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88-92
    • /
    • 2016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주요 국가들은 이러한 상황의 생존전략으로 창업 및 기업가정신의 부활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경기침체 및 청년실업률 증가와 같은 장기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라는 국정비전하에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실현을 제1의 국정목표로 설정하였다. 2016년 4년차에 접어드는 창조경제는 수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여 창업지원사업을 하고 있지만, 그 효과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창업을 하거나 준비 중인 창업가, (예비)창업가, 학생을 중심으로 현 창업생태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의 창업지원사업에 바람직한 지원방향을 제시하여 건강한 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의 문제점은 보겨 주기식 창업지원사업 및 행사라고 응답한 비율이 41.5%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국내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제 역할을 충분히 하지 않은 당사자는 34.1%가 중앙정부, 28.3% 국내 대기업이라고 응답하였다. 창업경험 유무에 따른 창업과정의 애로사항은 자금조달이 46.1%로 가장 높았고, 창업 초기자금 조달방법은 응답자의 절반인 50.4%가 개인자금으로 창업 초기자금을 조달한다고 응답하였다. 창업이 주저되는 주요 이유로는 창업자금 마련 및 기회비용이 40.4%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창업 시 가장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지원정책으로는 자금 및 투자 지원이 26.6%, 사무실공간지원 13.5%, 마케팅 및 판로 지원이 13.5%의 응답률을 보였다.

  • PDF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goal Achievement (사회적 네트워크와 기업가적 자아 효능감이 창업의도 및 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 Chung, Dae-Yong;Park, Kyung-Im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721-724
    • /
    • 2010
  • 경제 불황으로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가시화되면서 고용 축소와 청년실업이 늘어나면서 창업이나 경영을 통해 경제적 독립과 자아실현을 이루려는 창업가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학계 연구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 따라 창업의도에 결정요인으로서 사회적 네트워크와 자아 효능감을 개인특성요인의 핵심변수로 설정하여 창업활동과 창업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창업가를 대상으로 208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강한 유대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활동에는 약한 유대가 영향을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Podolny와 Baron(1997)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라 네트워크 강도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주장과 일치하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또한 자아효능감은 창업활동보다 창업의도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목표달성을 분석한 결과 창업의도보다 창업활동이 목표달성에 더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모델과 글로벌 성공기술창업플랫폼 구축방안

  • Yang, Yeong-Seok;Yang, Su-Hui;Yu, Byeong-J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53-56
    • /
    • 2016
  • 미래창조과학부는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을 가속화 하기 위해 2016년부터 '연구소기업'의 설립을 촉진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 활성화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글로벌 관점의 성공기술창업플랫폼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의 성과 창출궤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공공기술-제조- -BtoB-글로벌의 라인 중 글로벌 관점에서 공공기술 기술창업기업의 성과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전문가 인터뷰조사와 사례조사등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기술기반 기술창업인 연구소기업등은 질적인 성과 즉 성공적 회수사례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양적인 성과에서 벗어나 창업초기 신규창출형 연구소기업에 대한 민간벤처투자가 활성화되고, 혁신적인 사례창출을 다수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성과창출이 요구됨을 도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이에 대해 공공기술 기술창업의 문제를 배태한 성공창업 솔루션 플랫폼으로"Inbound" 글로벌플랫폼을 제안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