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기회역량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y,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Middle-aged Eldery Office Workers (중·장년 직장인의 창업역량과 창업기회인식 및 창업의지의 구조적 관계)

  • Choi, In W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5
    • /
    • pp.169-185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by using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as a mediator for middle and middle-aged office workers. The sub-variable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are classified into management competency, technology competency, business competency and funding competency. 222 copies of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middle-aged and elderly office workers residing across the country centered on the metropolitan are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Based on a simple mediating model with singular mediator using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4.0.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mong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business competency and funding capac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but management and technical competen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higher the business competency and funding competency. Second,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sub-variable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he positive (+) direction on the recognition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It was confirmed that management competency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and technology competence has the smallest effec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discovery of an opportunity recognizing opportunities for start-up is a prerequisite for entrepreneur.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mediates between the management competency, technological competency, business competency, funding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suggests that opportunity discovery by recognizing opportunities for entrepreneurship is a prerequisite for start-up. As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inspire middle-aged and elderly office workers to start their own business, it is necessary to have indirect experience with education and to establish and promote a government support system for financing.. Second, It suggests that education 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is particularly necessary to strengthen the opportunity recognition. Third, it suggests that the discovery of opportunities to recognize opportunities for start-up is a prerequisite for entrepreneu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anual and conduct training on opportunity search, recognition, evaluation, and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stage of opportunity development. Fourth,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ALso, it is necessary to manage both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recognition at the same time. By presenting the practical directions that can be given differentially,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practical directions and policy establishment for the promotion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of office workers who can give vitality to the ecosystem.

제조산업 종사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과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 Sin, Yong-Sik;Kim, Jae-Hong;Lee, Il-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69-80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 중 기술과 연관성이 깊은 제조 분야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기업과정신과 개인적 특성에 대한 핵심요인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보았다. 특히 기업가정신의 핵심요인과 개인적 특성이 기회역량을 매개로 하였을 때 창업의도에 어떠한 유의미한 연관성을 설명해 줄 것인지 그리고 창업의도에 공기업의 기술개발지원사업(R&D)이 어떠한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제조분야 중소기업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장치산업과 관련된 제조분야 중소기업 종사자 292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각종 통계분석과 방정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업가정신의 핵심요인 중 진취성과 개인적 특성 중 하나인 내재적 통제 요인이 반복적으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는데, 이는 실제 창업 이전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혁신성 또한 창업 전, 후로 구분하여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의 핵심변수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중 진취성을 제외한 요인이 기회역량에 영향을 미치며, 개인적 특성의 하위변수인 자기효능감, 내재적 통제, 모호성에 대한 인내 중 내재적 통제 요인만이 기회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기회역량의 하위변수인 기회인식과 평가는 모두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과 개인적 특성에 대한 하위요인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기회역량의 매개 여부를 조사하였는데, 진취성과 내재적 통제 요인이 기각되었으며, 혁신성은 기회역량 중 기회인식만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기업의 기술개발지원사업(R&D)이 창업의도를 조절하는데 유의미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기업가정신과 개인적 특성은 실제로 창업이 일어나는 전, 후로 구분하여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제조분야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데 본 연구가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대학 창업교육과정 만족도가 기업가적 기민성, 기회인식,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과정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an, Won-Hui;HwangBo, 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75-84
    • /
    • 2020
  • 2010년 이후 정부는 일자리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창업활성화를 국정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새로운 기회와 가치창출을 통한 창업활성화를 위해 창업의지는 필수적인 요소지만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법론 적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들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활성화의 첫걸음으로 창업의지를 꼽았으며 창업의지를 가지기위한 선행조건으로 기업가적 기민성·기회인식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중점 추진되고 있는 정부주도의 대학 창업교육과정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창업교육과정별(교과과정 VS 비교과과정) 비교를 통해 향후 나아가야 할 창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실증연구 결과는 대학 창업교육과정이 창업에 필수적인 창업의지를 키우기 위한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 역량을 증대 및 영향을 끼치는 것을 시사하며 교육 만족도에 따라 그 효과는 변화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창업교과과정(학점) 보단 창업비교과과정이(비학점) 창업의지에 더욱 영향을 끼치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창업교육과정이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의 역량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창업교육으로 커리큘럼을 수립해야 할 것이며 이론과정 보단 실습 위주의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방향성을 보여준다.

  • PDF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and Perception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Assessment (중장년 직장인의 창업 개인역량 및 창업기회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기회평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Ju Young J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3
    • /
    • pp.45-60
    • /
    • 2023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entrepreneuri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y mediating entrepreneurial opportunity evaluation. Sub-variable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were classified into prior knowledge, positive attitude, and social network.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using Naver Office was conducted for about 15 days (February 6, 2023 - February 20, 2023) targeting office workers across the country who are interested in starting a business, and a total of 262 copies were collected and missing values. For 250 copies excluding 12 copies, SPSS Ver.24.0 and PROCESS MACRO Model 4.0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prior knowledge of the founder's individual competency, social network,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the higher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evalu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attitude among entrepreneurs' individual competencies did not affect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evalu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evalu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as in the order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prior knowledge, and social network. This is because the positive attitude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towards start-up has a negative image of start-up due to the shrinking start-up environment due to COVID-19, fear of failure due to lack of preparation for start-up, and successive cases of start-up failure due to cognitive bias errors due to overconfidence. implying that there i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valuation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entrepreneur's individu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were controlled. Third, the startup opportunity evaluation was shown to mediate between the prior knowledge of the entrepreneur's individual competency, social network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it did not mediate between positive attitud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urth,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entrepreneurial opportunity evalu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was found to be larger than founder's individual competency,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Fifth, it was found that prior knowledge and network, which are individual capabilities of the founder, affect the evaluation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o that strengthen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prior entrepreneurial knowledge and experience can revitalize middle-aged office workers' entrepreneurship. confirmed.

  • PDF

Effects of Entrepreneurship Motivation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in Preliminary Young Entrepreneur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예비청년창업가의 창업동기가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지향성의 매개변수의 효과 중심으로)

  • Shan, Liang;Heo, Chul M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4 no.1
    • /
    • pp.117-137
    • /
    • 2019
  • In young entrepreneurs, the individual situation of opportunity discovery is very important.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opportunities that are created for a particular individual entrepreneur are also recognized and assessed through the proces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ies, which have a low proportion of opportunistic entrepreneurship, is low in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particular, young entrepreneurs are in desperate need of opportunistic entrepreneu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motivation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us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as mediation variables for preliminary young entrepreneurs (19-39 old). In the case of young entrepreneurs, there is a tendency to study entrepreneurship policies and education through the system of youth entrepreneurship schools, mainly on college students and youths, and on the effects of institutional support on entrepreneurship.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effect of a entrepreneurial motivation on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needed to promote an entrepreneurial venture in a model with multiple medi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art - up motivation on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To do this we analyzed 374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preliminary young entrepreneu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3.0 showed that the motivation of start - u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opportunity recognition and opportunity evaluation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Second, motivation of entrepreneu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efficacy. Third, entrepreneurial effic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Fourt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Fifth, there i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when passing throug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t the same time, But indirect effects was insignificant when only entrepreneurship efficacy is passed. There i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ll mediators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valuation. It is suggested that strengthening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is necessary to cultivate awareness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and strengthening education on both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is necessary to cultivate evaluation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by type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창업 기회 역량에 관한 연구 - 행운 신념과 우연기술을 중심으로

  • Kim, Hong-Tae;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30-30
    • /
    • 2017
  • 성공한 창업가들이나 저명인사들에게 성공의 요인을 물어보면 운이 좋았다고 이야기를 한다. 새해가 되면 신년 운세를 보거나 중요한 사업에 대한 의사결정을 앞두고 운세를 알아보는 사람도 많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토머스 J. 스탠리가 20년간 백만장자 733명을 분석하여 저술한 <부자들의 선택>을 보더라도, 백만장자의 12%가 자신들의 경제적 성공요인으로 '운'을 뽑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지배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행운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많지 않았다. 운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은 운을 외부 요인으로 보고 무작위하고 통제 불가능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미래를 예측 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행운은 운명처럼 정해져있는 것일까? 왜 운이 좋은 사람들은 자신에게 유리한 기회를 잘 인지하고 포착하는 것일까? 현실 속에 운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면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이유에 대해 과학적 탐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행운은 외부 환경에 의해서 무작위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내적 속성으로 운을 통제 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보았다. 행운에 대한 신념이 있는 사람은 우연한 사건에 대해 우연기술을 통하여 기회역량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총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행운의 신념이 우연기술의 매개역할로 창업 기회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행운의 신념은 기회 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운의 신념은 우연기술의 하위요인인 호기심, 인내성, 유연성, 낙관성, 위험감수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연기술의 하위요인 중 인내성, 낙관성, 위험감수만이 기회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넷째, 우연기술의 하위요인인 인내성, 낙관성, 위험감수는 행운신념과 기회역량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행운에 대한 높은 신념을 갖고 우연 기술을 더 개발한다면 창업 기회 역량을 더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청소년 창업 역량이 창업가적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Lee, Jun-Hyeong;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67-73
    • /
    • 2019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을 받은 청소년의 창업역량이 창업가적 프로세스에 미치는 효과를 기업가정신의 매개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은 주식회사 슘페터 청소년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018년 10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슘페터 기업가정신 프로그램 커리큘럼의 학습 목표 및 활동내용을 분석을 통해 다양한 키워드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변수를 채택하여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해 창업역량(창의성, 기회발견, 문제해결력) 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창업가적 프로세스(자기효능감, 목표설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청소년의 창업역량이 생기면 창업의지와 창업행동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Entrepreneurial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중장년층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Yang, Kyeong Ae;Ha, Kyu S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4
    • /
    • pp.45-5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entrepreneurial activation of middle-aged and the elderly people for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opportunity search.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people in the ages of 40~60 years, and among 250 copies of collected questionnaires, 230 copies were finally used. SPSS 24.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Specifically, it has been proved that information competency, experience competency, network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Second, the entrepreneurial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Furthermore, it has been proved that independence maintenance, wealth cre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but cost of living were rejected. Third,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relationship of opportunity search showed that the opportunity search has performed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experience competency, network competency, and independence maintena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적 태도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 Bae, Hye-Gyeong;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95-100
    • /
    • 2020
  • 본 연구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이에 따른 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청소년의 진로를 탐색하고 역량을 높이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기는 미래인재로서 진로탐색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시기이므로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발견하고 활용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해보는 경험이 필요하다할 수 있다.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은 일반적으로 위험감수성, 진취성, 혁신성을 포함한다. 위험감수성은 불확실한 결과가 예상됨에도 과감히 도전하려는 의지이고, 진취성은 새로운 기회를 선제적 및 적극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노력이며, 혁신성이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선호하고 추구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기회와 창의성, 문제해결력이 기업가정신에 중요한 요인에 포함됨을 판단할 수 있다.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 측정항목으로 기업가적 태도와 진로개발역량으로 정하고, 기업가적 태도 하위항목으로 기회발견과 창의성 역량을, 창의성 역량의 세부지표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의사소통능력, 혁신적 업무행동능력 선정하였다. 진로개발역량의 하위항목으로 진로설계, 개척정신을 정하였으며 진로설계의 세부지표로 자기탐색, 직업탐색, 직업가치관, 진로태도를, 개척정신의 세부지표로 차별화태도, 도전정신을 선정하였다. 이의 측정을 위해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을 경기도 소재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기업가정신 함양 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생들이 교육을 통하여 어떠한 역량이 높아졌는지에 대한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효과측정을 통하여 더 나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계기의 마련과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기업가정신 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자기효능감, 창업기회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 특성의 조절효과

  • ;;Marc H. Meyer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93-99
    • /
    • 2023
  • 경기 침체와 더불어 고용 불안, 그에 따른 사회의 혼란 속에서 국가의 성장 동력의 대안 중 하나로 창업 활성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창업 활성화를 중장기 목표로 설정하고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특히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 등의 개인적 역량 요소가 창업의도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자기효능감, 창업기회인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학계의 연구활동 뿐 아니라 정부의 정책적 접근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창업교육 활성화부터 사회적 환경 조성을 위한 창업 롤모델 활용, 미디어를 통한 창업 활동 홍보 등 긍정적인 창업 경험을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 역시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개인적 역량 요소와 사회적 환경 조성 외에 문화적 특성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적 특성이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개인적 역량 요소와 사회적 환경 조성과 함께 의미가 있을 것이라는 물음에서 시작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SPSS 26버전을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하였고 GEM KOREA의 2017년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의 특징은 문화적 특성을 집단주의와 관계주의로 구분하여 자기효능감,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문화적 특성 중 집단주의 특성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관계주의 특성이 유의하여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결과를 얻어냈다. 이는 국가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창업의도가 없거나 낮은 개인들도 관계주의 특성을 활용하여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론으로 이어진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달리 한국은 집단주의 보다 관계주의가 강하기 때문에 관계주의 문화 특성을 고려하여 선배 창업가 또는 로컬 창업가들과의 관계를 만들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미 설계된 GEM 데이터를 활용하였다는 점, 문화적 특성이 각기 다른 국가들과의 비교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등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