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상담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9초

미용교육이 재취업여성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Cosmetology Education for Reemployment Wome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김수정;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32-444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교육이 재취업을 위해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경력단절여성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재취업을 위해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30-50대 기혼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재취업 특성 및 미용교육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을 분석하였다. 재취업여성들은 연령, 학력, 전공, 교육기간, 교육기관에 따라 재취업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미용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들은 진로준비행동은 향상시키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교육내용과 취업 및 진로상담요인이 진로준비행동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준비행동을 통한 재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내용과 취업 및 진로상담 서비스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미용교육기관에서 수강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발전하는 산업현장에 맞는 효율적인 미용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고 교육기관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취업 및 진로상담 서비스의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미용교육의 발전과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과학 영재의 진로의식 변화 연구(1996년 - 2003년) (Research on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 심재영;박은영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95-11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ulcorner$과학 영재의 진로의식 조사$\lrcorner$ 를 통해 대학에 입학한 과학 영재들의 올바른 진로 선택을 위해 제공해야 할 교육적 지원 사항들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연구 대상은 1996년부터 2003학년도까지 8년간 KAIST에 입학한 신입생들이며, 전체 응답자의 수는 3,613명으로 입학생의 90%이상이 응답하였다. 조사 내용은 크게 3가지로 대학 입학에 관련된 사항이 5문항, 대학 생활 계획과 관련된 사항이 2문항, 대학 졸업 후의 계획과 관련된 사항이 2문항으로 총 9문항이다. 연구 결과, 과학 영재들은 자신의 흥미와 적성 및 관심 분야를 일찍 파악하고 개척하며, 일반 학생들에 비해 상당히 일찍 진로를 선택함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 영재들 또한 장래의 진로에 관해 가장 많이 고민하고 있다. 그러나 평소의 의논 상대로는 교사나 전문 상담가 보다는 친구나 선배, 혹은 부모님에게 의존함으로써 과학 영재들을 위한 체계적인 진로 지도 및 진로 상담의 부재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대학교 교육과정 속에 반드시 진로 선택 및 계획을 도와주는 과목이 포함되어야 하며, 학업뿐만 아니라 학생 생활 전반의 문제점에 관한 지속적인 상담과 생활 지도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부모의 성취압력 및 진로지도가 아동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 최보윤;공윤정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67-78
    • /
    • 2009
  • 본 연구는 진로인식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 5학년 59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성취 압력 및 진로지도가 아동의 진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 과정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가 진로발달에 어떠한 설명력을 갖는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 진로지도와 아동의 진로발달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발달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발달의 하위 영역인 직업의 이해, 자기이해, 자율성과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진로지도와 아동의 진로발달역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모의 진로지도 하위 영역 중 정서적 지지를 제외한 영역들은 진로발 달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직업선택의 합리성, 직업적 성 편견, 자긍심에는 의미 있는 설명력을 보이지 못했지만, 진로발달 총점, 진로지향성, 직업의 이해, 자기이해, 자율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부모의 진로지도는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에 부모의 성취압력과 더불어 추가적인 설명력을 보였다. 하지만 진로지도의 하위 영역인 정서적 지지는 진로발달에 부적 상관을 보였다.

  • PDF

해사대학 여학생들이 인식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Women at Maritime University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 박유진;김승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64-772
    • /
    • 2022
  • 해운·항만 산업분야는 전통적으로 남성 중심으로 운영되어 온 산업으로, 여성 해기사의 진출 범위가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여성 종사자의 비율은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본 산업분야의 여성들이 겪는 진로발달 상의 어려움을 설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개인이 속한 사회문화적 맥락이나 환경적 요인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진로장벽 및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연구가 아직 수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M대학교 해사대학에 재학 중인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요인을 도출하고,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였다. 해사대학 여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장벽 요인으로 성차별(GD), 진로 미결정 및 준비 부족(IOU), 직장-가정 갈등(WFC), 개인특성 부족(LPQ), 기대보다 낮은 직업 전망(LOE)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진로장벽 요인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진로 미결정 및 준비 부족(IOU)이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차별(GD), 직장-가정 갈등(WFC), 개인특성 부족(LPQ), 기대보다 낮은 직업 전망(LOE)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진로장벽을 극복하고 진로결정수준을 향상시키기를 원하는 해사대학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지도 및 상담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속적인 영재 학생 관리를 위한 시스템 운영 방안 (The Operational Strategy for Ongoing Gifted Students Management System)

  • 최정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183-18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적인 영재학생 관리를 위해 학생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영재교육 수혜 경험에 대한 정보들의 누적이 학생들의 진로 진학이나 자아실현을 하기까지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생 관리시스템 구축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중심으로 학생의 인적 사항을 관리하거나 그 기관 내에서 학생을 재 선발하고, 학부모와 상담, 영재교육에 대한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방향으로 전국 영재교육기관에 공통적으로 적용 관리할 수 있는 중앙 센터의 마련, 영재교육기관 간의 시스템 연계, 학생 중심의 시스템 구축을 통한 자아실현 및 진로 진학에 도움 제공, 인성 측면을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구체적인 진로 상담 작성이 가능한 항목 마련, 교육과정 반영, 영재교육 보조교사나 전담교사 파견을 통한 철저한 학생 관리를 제시하였다.

  • PDF

AHP분석을 활용한 무용진로개입의 체계적 접근 방안 : 직업지도, 진로교육 및 상담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f the Dance Career Intervention by AHP Method: Focusing on Vocational Guidance,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 김지영;임수진;김형남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6호
    • /
    • pp.661-676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자들을 위한 진로개입의 체계적인 접근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의사결정의 종합적인 평가와 합의를 도출하기 위하여 델파이와 계층구조분석(AHP)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총 4개 영역의 16개 요소가 도출되었다. 직업지도에서는 '다양한 무용직업 세계의 이해', 진로교육에서는 '구체적인 진로설계와 목표설정', 진로상담에서는 '삶과 연계한 무용진로의 내러티브 지도', 진로개입 네트워크에서는 '무용일자리 박람회 및 워크숍 정례화'를 각각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요인의 복합가중치에서는 진로설계와 목표설정, 다양한 무용직업 세계의 이해 등 전반적으로 진로교육과 직업지도가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무용진로개입의 방안은 다양한 무용직업과 이중경력을 통한 진로대안의 확장, 다각화된 무용진로개발로드맵의 교육과정 적용, 무용진로개입 진단도구 및 성과준거의 개발, 체계적인 진로개입을 위한 무용교육자들의 전문교육과 인식제고, 민·관·학의 네트워크 조직화 등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Holland(1997)의 진로탐색이론, Super(1990)의 진로발달이론, 그리고 Savickas(2005)의 진로구성이론 등 진로개입의 다양한 관점에 기초하여 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입의 역동적인 실제와 체계적인 접근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Maturity, Career-Identity, and Career-Decision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 김사라형선
    • 아동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5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ncrease the career maturity, career-identity and career-decision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uch a program.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us developed, an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xposed to the program and a control group without exposure to the program were compared.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over eight weekly sessions, each session lasting ninety minut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twenty four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twelve students in each. For the purpose of data processing, SPSS 16.0 was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results. The Career Maturity Scale, the Identity Scal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were used in a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treatment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statistically increasing degree of career maturity, career-identity and career-decision self-efficacy level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e effectiveness of this newly develop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increasing career maturity, career-identity and career-decision self-efficacy levels.

성격 5 요인 조절효과를 통한 창업가정신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길명숙;류덕위;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1-220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성격 5 요인(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 지적 개방성) 조절효과를 통한 창업가정신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창업가정신 교육과 진로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전에 있는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창업가정신(혁신 진취성,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중학생의 진로태도 및 진로탐색능력은 높아지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는 창업가정신의 하위요소 중 혁신 진취성만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 둘째, 성격 5 요인은 창업가정신과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소인 진로태도에만 유의한 조절영향을 준다. 따라서 성격 5 요인에 따라 창업가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개인의 성격특성 차이를 고려하여 지도한다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현재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키우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자유학기제가 전면 실시되어 획일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가 많은데 성격 5 요인에 따라 창업가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진로상담 뿐만 아니라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수준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웹기반 학생상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Student-Counseling System)

  • 홍순창;한재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97-1000
    • /
    • 2005
  •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교사의 주 업무인 교과 업무 외에 다른 업무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학생 상담은 과거의 가정방문 기간까지 사라져 교사들이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 중 하나이며, 학생의 학교 상담에 대한 신뢰도와 참여율이 낮아서 신뢰도와 참여율을 높이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에 연구 되던 상담시스템의 개발은 거의 모든 부분이 진학이나 진로 상담 위주로 개발되어 왔으며, 정작 중요한 학생의 생활 상담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시간과 여건의 부족으로 학생에 대하여 문제아 학생이나 특수 학생의 상담위주로만 행해지던 생활 상담의 혜택을 일반 학생들에게도 줄 수 있고, 교사의 시간적인 효율성을 높이며 학생의 상담에 대한 부담감등의 해소와 학생에 다양한 정보 활용 등 상담 도우미 시스템의 요구사항,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논한다.

  • PDF

경호학전공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barrier and major satisfaction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group of security major college students)

  • 백경화;유경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29호
    • /
    • pp.115-137
    • /
    • 2011
  • 본 연구는 경호학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전공만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조사대상은 충남소재대학과 전북소재대학의 경호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0명이었으며 이중응답이 부실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 30부를 제외한 유효표본 170부를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을 위해 사용한 도구는 진로탐색장애 척도, 전공만족도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 등이다. 자료처리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측정도구에 대한 탐색적요인분석, 상관 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진로장벽은 진로준비 행동에 부적인 상관을 미치며 특히 자기명확성부족이 뚜렷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은 정적인 상관을 미치며 특히 적성만족이 뚜렷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진로장벽은 3, 4학년이 1, 2학년에 비해 진로장벽을 덜 느끼고, 전공만족은 3, 4학년이 1, 2학년보다 더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경호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전공만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은 큰 의미가 있으며 경호학 전공학생들과 취업담당자들에게 진로를 준비하고 상담을 하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