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ation of the Dance Career Intervention by AHP Method: Focusing on Vocational Guidance,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AHP분석을 활용한 무용진로개입의 체계적 접근 방안 : 직업지도, 진로교육 및 상담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1.18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 systematic access method of career intervention for dance majors. This study conducted Delphi survey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s a result of study, 16 elements of career intervention were produced in total 4 areas. Results show that vocational guidance puts emphasi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vocations, career education on the career planning and goal, career counseling on the macro-narrative to the life and career intervention network on the dance job fair and workshop. In the complex weight of all factors, ratings of weight show that dance vocation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are demanded significantly. Results show that expansion of career alternatives, application of diversified dance career development road map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est tool and outcome standard, dance educators' systematic career intervention edu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network for career support were suggested as measures for dance career intervention. This study discussed about dynamic reality and systematic access method for dance majors based on theories of Holland(1997), Super(1990), and Savickas(2005).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자들을 위한 진로개입의 체계적인 접근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의사결정의 종합적인 평가와 합의를 도출하기 위하여 델파이와 계층구조분석(AHP)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총 4개 영역의 16개 요소가 도출되었다. 직업지도에서는 '다양한 무용직업 세계의 이해', 진로교육에서는 '구체적인 진로설계와 목표설정', 진로상담에서는 '삶과 연계한 무용진로의 내러티브 지도', 진로개입 네트워크에서는 '무용일자리 박람회 및 워크숍 정례화'를 각각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요인의 복합가중치에서는 진로설계와 목표설정, 다양한 무용직업 세계의 이해 등 전반적으로 진로교육과 직업지도가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무용진로개입의 방안은 다양한 무용직업과 이중경력을 통한 진로대안의 확장, 다각화된 무용진로개발로드맵의 교육과정 적용, 무용진로개입 진단도구 및 성과준거의 개발, 체계적인 진로개입을 위한 무용교육자들의 전문교육과 인식제고, 민·관·학의 네트워크 조직화 등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Holland(1997)의 진로탐색이론, Super(1990)의 진로발달이론, 그리고 Savickas(2005)의 진로구성이론 등 진로개입의 다양한 관점에 기초하여 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입의 역동적인 실제와 체계적인 접근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