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무수행 능력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35초

커피관련 민간자격증에 관련된 직업기초능력이 직무수행 만족도와 활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커피관련 산업체 종사자 대상- (A Study on the Effects of Vocational Competencies Related to Coffee-Related Private Certificates on Job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Intention - Survey For Coffee-Related Industry Workers-)

  • 신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9-21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커피산업의 발전과 성장을 위하여 커피관련 민간자격증 취득의 만족도와 효용가치를 알아보기 위한 자료이다. 국내에서 실시하고 있는 커피바리스타 민간자격증이 NCS에서 지정한 직업기초능력의 어떤 부분을 개발시켜주는 지를 알아보고, 나아가 이것이 직무수행 만족도 및 활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전설문을 통해 커피 바리스타 민간자격증과 NCS의 직업 기초 능력 개발의 연관성을 알아본 결과를 토대로, 본 설문을 실시하여 직무수행의 만족도와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술능력, 자기개발능력, 문제해결능력은 전반적으로 직무수행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활용의도에는 부분적으로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직업기초능력이 주는 직무수행 만족도는 활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커피바리스타 민간자격증은 직업기초능력의 개발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직무수행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채용 및 구직을 위한 능력척도의 자료로써 활용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치과위생사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문제 해결 능력이 직무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Work Performance Assessment of Dental Hygienists)

  • 이지은;이수영;김현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5-282
    • /
    • 2017
  • 본 연구는 치과 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직무 수행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 해결 능력, 직무 수행 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치과위생사 33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 해결 능력, 직무 수행 능력을 빈도와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기술통계하였고 관련성을 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했으며, 인과관계와 매개효과 확인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문제 해결 능력은 연령, 최종학력,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평균 총 점수가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무 수행 능력도 연령, 학력, 경력이 높을수록 평균 총 점수는 높았으나 학력을 제외한 연령과 근무경력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 해결 능력, 직무 수행 능력간의 관련성은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모두 유의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은 비판적 사고 성향에서 문제 해결 능력, 문제 해결 능력에서 직무 수행 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에서 직무 수행 능력 모두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유의하였다. 비판적 사고 성향이 문제 해결 능력에 의해 매개되어 직무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즉, 직접효과,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하여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치과위생사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하는 것이 직무 수행 능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비판적 사고 성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같이 강화할 수 있는 다각적 교육과정 접근법 개발과 지속적인 시행이 필요할 것이며, 더불어 체계적인 지원구축으로 치과위생사의 직무 수행 능력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제언한다.

Effect of the Component of Professionalism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Job Competency

  • Yoo, Je-Bog;Hong, Jae-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285-29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구성요인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간호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전문직업관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의 상호작용효과를 구성요인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전문직업관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 독자성이 직무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판적 사고성향 내 체계성과 객관성이 직무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 내 구성요인 간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구성요인 차원에서 접근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 서비스 종사자들의 직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 관리에 기여가 있을 것이다.

자동차정비직무를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Automotive Maintenance)

  • 지명석;노희규;한영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2권2호
    • /
    • pp.81-87
    • /
    • 2014
  • 자동차정비직무의 "일과 학습의 연계"를 위해 현장에서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기준으로 자동 차정비 분야에 대한 교육훈련과 자격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정비 현장전문가들이 국가직무 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동차정비직무의 국가 직무능력표준 개발영역과 직무체계를 수립하였고 직무능력단위별 수행준거, 지식, 기술, 태도 및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동차정비직무의 능력단위별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별 수준을 제시하였으며 자격기준안을 제시하여 교육과 평가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반도체 산업의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훈련수요 분석 (Training Demand Analysis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 이재원;윤석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178-5187
    • /
    • 2011
  • 반도체 산업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관련한 개발연구는 부분적으로 수행되었으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산업현장의 훈련수요에 대한 조사와 분석은 이뤄지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직업훈련 수요연구는 과부족인원 중심으로 수행되어 직무능력요소에 대한 질적 불일치의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도체 산업을 대상으로 훈련수요 조사를 실시하고 직종별 직무기술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격차를 이용한 시급성 분석을 통해서 해당직종이 갖는 직무능력요소에 대한 정성적 분석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수행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더불어 반도체 산업에 특화된 직무능력요소의 수요조사를 수행하고, 직종과 직무, 그리고 각 직무능력요소의 정성적 수요를 분석하여 6개의 직종과 28개 직무별 직무능력요소에 대해서 인력수준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의 직무기술의 확보 방법과 인력의 충원방법을 분석하고 지역의 대표적 교육과정과 연계를 예시함으로써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적정한 공급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IPA기법을 적용한 사회복지사례관리 직무수행 및 수퍼비전에 관한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 박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8-29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의 사례관리직무를 IP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사례관리직무 수행 능력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울산지역 사례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사례관리직무(능력단위 9개, 능력단위요소 33개)에 대한 중요도-직무역량, 수퍼비전필요도-경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요도-직무역량에 대한 분석결과, IPA격자도 영역별로 강화유지 12개, 중점개선 1개, 개선 9개, 과잉 11개 능력단위요소가 도출되었다. 수퍼비전필요도-경험에 대한 IPA분석결과는 강화유지 15개, 중점개선 5개, 개선 4개, 과잉 9개의 능력단위요소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외부운영체계구축', '자원연계체계 개발'에 대한 직무역량을 중점적으로 강화하고, '외부운영체계구축', '내부운영체계구축'에 집중적인 수퍼비전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례관리직무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NCS기반 수업에서 직무수행능력 평가횟수와 학습만족도 및 학습성과와의 관련성 (Relations of Learner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with an Evaluation of Job Performance Abilities for NCS-based Courses in Collages)

  • 오만덕;박정근;이승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47-356
    • /
    • 2018
  • 본 연구는 NCS기반 수업의 효과성과 매력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수자의 관점에서 직무수행능력 평가횟수와 학습만족도 및 학습성과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들은 NCS기반 수업에서 직무수행능력 평가횟수 3회 이상 적용할 때, 그리고 1회 평가시 평가방법 갯수 3개 이상 적용할 때 학습만족도가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직무수행능력 평가횟수 3회 이상일 때와 평가 1회당 평가방법 갯수 3개 이상 적용할 때 학습성과가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NCS기반 수업에서 직무수행능력 평가횟수와 평가방법 갯수가 학습과 관련있는 잠재적 구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NCS기반 수업에서 직무수행능력평가가 학습성과를 평가하는 것 뿐 아니라 교수학습 활동의 일환이자 과정적 도구의 개념으로 적용된다면, 수업의 효과성과 매력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job performance competency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 함승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9-88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과 하위 요소를 도출하고 이들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 능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인 지역의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10개교를 선정하여 전문교과 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으로 교과 지도 영역, 생활 지도 영역, 학급 경영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등 5개 영역과 총 34개의 하위 요소가 도출되었다. 둘째, 직무수행능력 영역별 중요도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생활 지도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요구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수행능력의 하위 요소 중에서 NCS 학습모듈의 교수 학습 자료 제작 및 교재 재구성, NCS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노동법과 신자격법 등의 법규 지도 및 취업 지도, 생활 기록부 관리, NCS 관련 교사 연구 활동, NCS 관련 현장 실무 능력 향상 연수, NCS 연계 사업 업무 등의 중요도나 교육적 요구가 높았다. 넷째, NCS 관련 활동 경험의 유무에 따라 교과 지도 영역과 생활 지도 영역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NCS 관련 활동 경험이 있는 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하여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가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119 Paramedics on Job Performance Ability)

  • 김형수;이중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4-50
    • /
    • 2021
  •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소방서에 재직 중인 119구급대원이며 자료 수집은 2020년 7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분석, t-test, ANOVA로 하였다. 연구결과 119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은 2.85±.0.29점, 직무만족도 3.35±0.30점, 직무수행능력 3.53±0.89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직무수행능력은 결혼여부, 연령, 구급경력에 따라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119구급대원의 직무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긍정적인 전문직관을 확립하고, 업무의 만족과 관련된 인식을 증진시켜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수행 개선을 통한 직업관 확립 및 직무만족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커피관련 자격검정의 운영체제가 커피직무능력의 학업만족도와 경제적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커피관련 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Study on Academic Satisfaction and Economic Effectiveness Influenced By Operation System for Coffee Related Certification Verification - Survey To Those Whom Worked in Coffee Related Industry -)

  • 신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41-5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시하고 있는 바리스타 민간자격제도의 운영체제와 방법이 커피직무능력의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직무능력 향상, 입직이나 전직에 활용하려는 경제적 효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자격증을 취득하였고 관련 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커피자격검정제도의 운영체제 및 방법이 직무수행능력의 학업만족도와 경제적 효율성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커피자격검정을 통해서 얻어지는 직무수행능력의 학업만족도도 직업의 경제적 효율성에도 부분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커피관련 자격검정제도의 내용 및 전문적이고 신뢰할 만한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은 직무수행능력의 학업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고, 나아가 입직이나 전직 등의 경제적 효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격검정제도의 전문성과 공정성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