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등수학 예비교사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3초

중등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모델링 기반 수업 설계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Lesson Design Based on Mathematical Modeling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최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59-72
    • /
    • 2022
  •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과제 개발과 이를 기반한 수업 설계의 중요성을 생각하여,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내재된 인식을 바탕으로 그들이 설계한 수학적 모델링 기반 수업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수학적 모델링 과제는 주로 개념 활용 학습을 목적으로, 실생활 맥락의 소재를 활용한 적정량의 정보를 제시한 다소 구조화된 형태로, 이해, 의미, 개념과 연결이 있는 절차적 과정이 필요한 인지적 요구수준으로 개발된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계한 수업은 대부분이 준비 활동, 모델 도출 활동, 모델 탐험 활동만을 유도한 경향이 있었다. 본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예비 중등 수학교사들의 함수 개념의 도입 방식 탐색 (A Study on the Prospective Mathematics Secondary Teachers' Introduction of Concepts of Function)

  • 마민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25-24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함수 개념을 도입하는 수업을 설계할 때 함수 개념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지도하는지를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중 한 명의 발표자(예비교사 A)가 수행한 가상 수업과 동료 예비교사 10명(예비교사 A1~A10)이 이 수업에 대해 반성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정과 대응의 관점으로 함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우세하였고, 변화와 종속성 관점으로 도입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함수 도입에서 강조하는 측면은 상황·언어적 표현, 표, 그래프, 식, 그림 등과 같이 함수를 표현하는 양식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종속적인 변화 관계에 기반하여 함수 개념을 도입하기 위한 예비교사 교육 및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하나의 경험적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중등 예비교사의 함수 관계 상황 표현 능력에 대한 조사 연구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ituational Understanding of Functional Relationship)

  • 차인숙;한정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199-210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s 55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ituational understanding of functional relationship. Functional thinking is fundamental and useful because it develops students' quantitative thinking about the world and analytical thinking about complex situations through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interdependent factors. Functional thinking is indispensable for understanding natural phenomena, for investigation by science, and for the technological inventions in engineering and navigation.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eachers should be able to represent and communicate about various functional situations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functional relationships to develop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llustrates that many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able to appropriately represent and communicate about various functional situations. Additionally, it shows that most preservice teachers have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eaching function.

  • PDF

중등 교사 양성을 위한 미적분학 강좌 운영방안 (Learning Program of Calculus Related Courses for Training of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 강미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23-540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opose programs of calculus for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of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There is a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s, goal and contents of calculus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 followed by principles for teaching the subject. We suggest the constituents and something being kept in mind for each part in calculus.

  • PDF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적 사고 중심 수업에 관한 노티싱 역량 탐색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competency: Focusing on teaching for robust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 김희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2호
    • /
    • pp.339-357
    • /
    • 2022
  • 노티싱(noticing, 주목하기)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서 핵심 역량으로 주목받아왔다. 교사의 노티싱이란 교수·학습 상황과 같이 교사가 접하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한 현상이나 사물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에 대한 해석과 추론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능력으로 초임 교사의 노티싱과 전문가 교사의 그것은 그 양상이 다름이 많은 연구에서 밝혀져 왔다. 노티싱의 구성요소로는 선택적 주의집중과 그와 관련한 교수학적 추론, 그리고 그에 따른 반응을 결정하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가 교사로 성장하기 위해 노티싱은 교사가 계발해야할 전문 역량 중의 하나로 최근 들어 교사 교육과 교사 전문성 신장 분야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 수학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노티싱 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예비 교사의 전문 역량 신장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학교과교수법 강의에 참여한 17명의 예비교사의 '수학적 사고 중심 수업'에 대한 노티싱 수준을 강의의 초반, 중후반, 말미와 같이 다양한 지점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강의 초반에는 좋은 수학 수업에 관해 논의한 후 작성한 에세이, 수업 중후반부에 실시했던 우수 수업을 분석한 수업 분석록, 동료의 수업을 분석한 수업 분석록, 그리고 학교현장실습이 끝난 후 수업 말미에 본인의 수업을 성찰하고 분석한 수업 분석록을 연구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효과적인 수학 수업을 위한 프레임(Teaching for Robust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Framework; 이하 TRU Math 프레임)을 기반으로 하여 노티싱의 수준을 코딩할 수 있도록 개발한 '수학적 사고 중심 수업을 위한 노티싱 수준 프레임'을 적용하여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의 노티싱 수준은 강의가 진행됨에 따라 향상되었고, 수학적 사고 중심 수업(또는 효과적인 수학 수업)과 관련한 다섯 가지 핵심 측면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수학적 사고 중심 노티싱 수준 프레임'에서 제시된 각각의 측면들은 예비교사들의 노티싱의 구성 요소 중 '무엇에 주목할 것인가'에 대한 역량 함양에 대한 함의점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강의 초반 어떤 수업이 좋은 수학 수업의 모습일지에 대해 논의를 충분히 하고 논의의 결론도 어느 정도 합의가 되었다고 하였지만, 각 개별 에세이에 나타난 '무엇에 주목할 것인가'와 관련한 분석은 다소 다양하거나 핵심적인 측면 한 두가지만 노티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TRU Math 프레임을 이용하여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활동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무엇에 주목할 것인가'와 관련한 선택적 주의 집중의 수준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명시적인 가이드라인이나 좋은 수업 사례, 이론에 기반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깊이 있는 분석과 논의 및 성찰이 예비교사의 노티싱, 특히 '무엇에 주목할 것인가'와 관련한 역량 신장에 도움이 됨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주의 집중한 것에 대한 해석하기 및 분석하기와 관련 있는 교수학적 추론은 그 양상이 수집한 자료들 사이에 다소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보고하고 있듯이 단순히 무엇에 주목해야 하는 지를 언급하는 것만으로는 노티싱 및 수업 역량을 신장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수업 상황을 분석하고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예비교사의 노티싱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교수학적인 추론 역량과 함께 수업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수학 교사와 예비교사의 추론 및 증명구성 역량 및 특성 탐색 (Examining Pr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roficiencies in Reasoning and Proof-Production)

  • 유은수;김구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2호
    • /
    • pp.161-185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 교사와 예비교사들이 추론과 증명을 어떻게 이해하여 구성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부분 대수적인 증명을 시도하는데 이미 알고 있는 공식이나 식을 적용한 대수적 조작으로 답을 구하는 것에 그치며 주어진 문제에 내재된 수학적 구조를 통해 증명을 구성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참여자의 상당수가 대수적 식을 통한 증명만을 완전한 증명으로 판단하였으며 대부분은 기존에 접하지 못했던 새로운 문제유형에서 추론 및 증명구성을 완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 수학과 예비교사의 학업 문제에 관한 탐구 (Exploration of academic problem between self and subject matter among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in mathematics)

  • 전영국;강윤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509-523
    • /
    • 2005
  • 본 연구는 수학 예비교사들이 수학 공부에 대하여 어떤 형태로 동기 유발을 하는지, 학업의 문제와 관련하여 교과목을 이수하는데 대한 견해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연구할 수 있다. 학생들이 느끼기에 수학이란 어떤 것이며 수학에 대한 관심사가 어떻게 펼쳐지는지에 대한 인식과 그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흥미도 및 중요성에 대한 내적 외적인 요인을 탐색하고 개별 학생이 어떤 학업의 문제를 갖고 있는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먼저 사범대학 진학 동기 및 선행 경험, 교육학 및 교과교육학 지식, 전공 공부, 일상생활 및 장래 비전이라는 네 범주에 따라 수학과 예비 교사들이 교직 전문성을 어떻게 발달시키는지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 1,2,3학년생 4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면담을 통하여 교육과정 만족도와 교과교육학 지식의 습득 및 장래 비전을 질적으로 해석하였다. 범주에 따라 성별에 관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육학과 전공 공부 사이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우리는 수학과 예비교사 3명을 대상으로 면담한 내용을 토대로 진학 동기 및 과외 경험 및 수학 전공 공부와 관련된 학업의 문제를 질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학업의 문제가 예비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관한 논의를 다루었다.

  • PDF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관련한 신념 분석연구 (An Analytic Study of Beliefs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 강옥기;한신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381-393
    • /
    • 2007
  • 본 연구는 수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전후 학생을 비교.분석함으로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학생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대한 신념의 변화 또는 차이를 살펴보고, 수학교육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수학교육과 1, 4학년 학생들을 각각 수학이란 학문에 대한 인식, 학습방법, 교과지도방법, 교사의 역할과 자격의 네 가지 신념 영역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1학년 집단보다는 4학년 집단이 수학 및 수학교육에 관한 신념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수학이란 학문에 대한 영역보다 수학교육적 측면에서의 두 집단 간 신념의 차이가 두드러져,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의 '수학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신념의 변화가 얼마나 중대한지를 이해하게 되었다. 두 집단간 차이의 원인은 문제해결학습, 현실에 근거한 교육, 교재연구 및 실습, 수학원리 체득 등의 다양한 교육활동을 4년간 수행한 결과에 기인된 것으로 간주된다.

  • PDF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수학을 다루는 방식과 무한에 관한 언어적 표현 양상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about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Ways of Dealing with Math and Linguistic Expressions on Infinity)

  • 전영국;신향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633-65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수학 교사가 수학을 대하는 방식과 무한과 관련된 수학적 개념을 일상적인 언어로 표현하는 방식을 탐색함으로써 언어적 표현이 수학적 표현으로 연계되는 과정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S 사범대학을 선정하여 수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무한에 관련된 개념, 둘레 길이가 무한인데 넓이가 유한한 도형에 대한 아이디어, 무한합에 관련된 개념과 수학적 지식을 다루는 언어적 표현 양상을 탐구하였다. 2009년 11월부터 2010년 2월 사이에 수학교육과 2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참여자가 고안한 무한에 관련된 문제상황을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후속질문을 구사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을 다루는 연구참여자 개인적 특성과 고유한 방식에 따라 무한과 관련된 개념을 일상적 언어와 수학적 언어로 표현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에 연구참여자에 대한 사례간의 논의를 통하여 교수학적 지식 형성과 관련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강원지역 수학과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Gangwon-do who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 오주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379-39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 in mathematics. Th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data collected from 126 preservice teachers in Gangwon-do who major in mathematics. The data collected include experience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reliability tes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Most of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 in mathematics have had no experience of multiple cultures. But they have shown a high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 their experience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Furthermore, the female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are much more high than the male preservice teachers'. Th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sex has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