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도적 성격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8초

주도적 성격이 상향 영향력에 미치는 영향: 정치적 기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the Upward Influenc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olitical Skill)

  • 강경구;김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27-540
    • /
    • 2015
  • 본 연구는 부서원이 지각하는 부서장의 주도적 성격과 상향 영향력간 관계에 있어서 부서원이 지각하는 부서장의 정치적 기술의 4가지 하위차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동일방법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료 수집의 원천을 달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서원이 지각하는 부서장의 주도적 성격은 부서원이 지각하는 부서장의 정치적 기술의 4가지 차원과 부서장의 상향 영향력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서장의 주도적 성격과 상향 영향력 간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통찰력과 대인관계 영향력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외형적 진실성은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반면, 네트워킹 능력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부서장의 주도적 성격은 네트워킹 능력을 경로로 해서는 상향 영향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등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주도적 성격과 지식 공유행위, 직무 특성, 그리고 조직의 인정 간 관계에 관한 연구: 비싼 신호보내기 이론을 중심으로 (Proactive Personality, Knowledge Sharing Behavior,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Recognition: An Application of Costly Signaling Theory)

  • 박지성;채희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28-137
    • /
    • 2018
  • 본 논문은 비싼 신호보내기 이론과 자기향상동기를 중심으로 주도적 성격과 지식 공유 행위 간 관계, 그리고 더 나아가 조직의 인정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개인의 성격적 특질에 더하여, 상황적 요인으로 직무 특성을 고려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직무 복잡성과 다양성이 주도적 성격과 지식 공유 행위, 조직 인정 간 정(+)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제안하였다. 한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상사-부하 쌍(dyad) 설문을 실시하여 총 166쌍의 응답을 실증 분석한 결과, 예측한대로 주도적 성격을 가진 구성원일수록 지식 공유 행위를 보다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지식 공유 행위는 조직 내 상사가 평가한 조직 인정을 궁극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직무 복잡성과 다양성이 높을 때가 낮을 때보다 지식 공유 행위에 의해 매개된 주도적 성격과 조직 인정 간 정(+)의 관계를 보다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예측한대로 조절변수 관련 가설들도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조직 공유의 동기가 무엇이고, 이를 활성화시키는 경계조건들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지식경영 분야에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주도적 성격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주효과 및 조직동일시와 경쟁적 분위기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Creativity : Direct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Competitive Climate)

  • 박오원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38-859
    • /
    • 2018
  •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하에서 기업이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창의성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개인수준에서 창의성을 높이는 선행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도적 성격이 창의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상황적 요인으로 조직동일시와 경쟁적 분위기를 제시한 후 이들 변수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소속된 R&D 3개 연구소에 근무하는 R&D 인력 127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주도적 성격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동일시와 경쟁적 분위기가 이들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강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일-가정 갈등과 조직시민행동간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 (Mediating effect of burnout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 한진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113-1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가정갈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일-가정갈등의 인한 직무소진과 조직시민행동간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대전시, 세종자치시, 충남북도 소재 병원 및 콜센터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3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초래갈등(WIF)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정초래 갈등(FIW)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초래갈등(WIF)과 조직시민행동간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초래갈등(FIW)과 조직시민행동간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도적 성격은 일-가정갈등으로 인한 직무소진과 조직시민행동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에서 일-가정갈등으로 인한 직무소진과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를 주도적 성격이 완화시킨다는 것을 입증하였는데, 이는 일-가정 갈등에서 구성원의 주도적 성격의 필요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이 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더 다양한 개인특성을 조절변수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내·외향적 성격이 프로그래밍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rospective or Outgoing Personality Type on Programming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 김세민;유강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061-1067
    • /
    • 2018
  •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술이 많은 부가가치를 낳으면서 국가의 성패를 좌우하기도 한다. 이에 세계 각 나라들은 소프트웨어 교육에 많은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들을 활용하여 성격유형검사의 설문 항목을 재구성하고 학습자들에게 적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래밍 수업을 하면서 학습자들의 태도를 관찰하였고, 성격유형에 따라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각 성격유형의 장점을 적용하면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전통적으로 남성 주도적인 전문직 진출을 희망하는 여대생의 성격 및 가족환경의 특성 연구 : -법률가 및 의사직을 준비하는 미국 여대생을 중심으로- (Individual and Family Background Predictors of Nontraditional Career Orientation among U.S. College Women)

  • 김용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3-182
    • /
    • 1989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남성 주도적인 전문직 진출을 희망하는 여대생(이 연구에서는 법률가 및 의사직, 이하 비 전통적인 여성이라 부름)과 전통적으로 여성 주도적인 전문직 진출을 준비중인 여대생 (이 연구에서는 교사 및 간호사직, 이하 전통적으로 여성 이라 부름)을 구분 할수 있는 개인의 성격 및 가족환경의 특성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남성 주도적인 전문직에 진출을 준비하거나 그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발표되었으나 그 특징들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비중이 있는지는 연구되어 있지 않다. 발단론적 환경이론(Developmental-Contextualism)과 직업 발달에 대한 역동적 상호관계 모델(Dynamic Interaction Model)이 본 연구의 이론적 체계를 이루고 있다. 이 연구에 포함성의 위치, 심리적 남성특성, 출신가정의 사회경제수준, 그리고 부모의 뒷받침과 이해였다. ANOVA 결과에 의하면 비전통적인 여성들이 자아존중감, 학교성적 성취도, 내적 통제성, 심리적 남성특성, 그리고 출신가정의 사회경제수준 면에서 전통적인 여성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단계적 분별 분석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결과에 따르면, 심리적 남성 특성, 내적 통제성, 학교성적 성취도, 그리고 출신가정의 사회경제수준이 위 두집단의 여성들을 분별하는 가장 뛰어난 특성들이었으며 전체 표본의 76.99%가 이 요인들에 의해 정확하게 분류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역동적 상호관계모델은 여성의 직업발달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이론정립과 검사에 유효한 도구로 보이며, 이 연구에 포함한 변수들은 비 전통적인 여성들의 특성을 정확하게 묘사하는데 상당한 공헌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전통적인 여성들의 직업발달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능력특성군(Competency-related traits)"의 변수들을 좀 더 정확하게 분류할 필요가 있으며, 이 변수들과 여성의 직업발달의 관계를 자세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요가 있다고 본다.

  • PDF

사용자 MBTI 성격유형과 정보시스템 지속사용의도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MBTI Personality Types and Continuous IS Usage Intention)

  • 남길우;김상훈;김창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53-161
    • /
    • 2011
  •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이 조직에 수용된 후의 이용단계에서 사용자의 성격유형이 지속적인IS 사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요인들 중 하나임을 추론하였고, 개인의 성격유형판별지표인 MBTI에 근거한 IS 사용자 성격유형에 따라 IS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의 수준이 어떻게 다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330명의 IS 실무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정보시스템 수용후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속적인 사용의도는 IS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자기주도성은 사용자 성격유형과 IS에 대한 기대일치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용자 성격유형과 3가지 매개변수들(기대일치,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은 사용자의 지속적인 IS 이용의도의 중요한 에측변인들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정보시스템 수용 후의 단계에서 IS 성공요인을 규명하는데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뿐 아니라, 조직내 정보시스템의 구축 운영과 관련한 인사관리 업무수행에 있어서 실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대학생의 e-러닝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styles in an e-learning and Psychological Types in University Student)

  • 김미영;이자희;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32-349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성격유형 검사 도구와 e-러닝 학습양식 도구를 이용하여 대학생의 계열별, 성별, 인터넷 사용량과 e-러닝 학습양식의 관계를 알아보고, e-러닝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계열별(공과계열, 인문 사회계열, 예 체능계열) 대학생간에 e-러닝 학습양식의 유형은 같다. 대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e-러닝 학습양식은 환경의존적 자기주도 학습형, 적극적 협동 학습형, 독자적 자율 학습형, 소극적 학습형의 순서이다. 둘째, 성별 e-러닝 학습양식은 다르다. 남,녀 모두 환경의존적 자기주도 학습형이 많지만 특히 여학생의 경우 더 높게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적극적 협동학습형이 상대적으로 높다. 셋째, 인터넷 사용량에 따른 e-러닝 학습양식의 차이가 없다. 넷째, 성격유형 즉, 외향/내향, 감각/직관, 사고/감정, 판단/인식형에 따른 e-러닝 학습양식의 차이는 없다. 따라서 성격유형은 e-러닝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초등학생의 외향성-내향성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차이 -방과 후 학교 참여자 중심으로- (Difference in Self-Directed Ability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traversion-Introversion Personality Type -Based on After-School Lecturers-)

  • 조명기;정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67-73
    • /
    • 2021
  • 연구는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에서도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자발적으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전남지역 12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외향성과 내향성 성격 유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외향성과 내향성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초등학생들이 피동적인 학습 참여 상황의 의무감에서 벗어났을 때 내향성의 학생들도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 방법을 개척하고 개발할 수 있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와 주택시스템의 자본주의적 전환: 개혁개방 이후 중국 주택체제의 성격 분석 (Capitalistic Transition of Housing System Under Socialist Market Economy: Characteristics of Chinese Housing Regime After Reform and Opening-up)

  • 이성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43-763
    • /
    • 2016
  • 본 연구는 개혁개방 이후 형성된 사회주의 시장경제 하 중국 주택체제의 성격을 중국의 공공주택 정책인 보장성 주택 정책을 중심으로 주택시스템 비교연구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중국 주택시스템의 전환은 시장기능의 도입과 사회주의 토지공유제의 약화라는 점에서 차별적인 '사회주의 시장경제 주택시스템'의 형성이 아닌, 자본주의 주택시스템의 하위유형으로 전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기존 정부 공급형 계획의 사회주의 방식이 정부의 간접적인 개입과 조정에 따라 시장요소를 통해 주택이 공급되는 정부 주도형 시장화의 방식으로 전환한 것이며, 정부가 가지는 시장주도력은 사회주의적 토지소유의 유산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