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수준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28초

장애인 가구 주택수요 특성에 관한 실증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Demand for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 고하희;홍재승;심교언;김성희
    • 부동산연구
    • /
    • 제27권4호
    • /
    • pp.35-50
    • /
    • 2017
  • 현재 한국사회는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라 대부분의 개인 또는 가구가 생활환경과 주거복지에 있어 인간다운 삶을 사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의 요소로서 생활환경과 주거복지를 논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한국의 전체적인 주거복지는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특수계층에 속하는 장애인 가구의 경우, 비장애인 가구와 비교하였을 때, 그들이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을 정도의 주거복지 수준을 누리고 있는가에 대한 확답은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적 약자 중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장애인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에 대한 현황 및 수요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주거복지정책 제시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5년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장애인 가구 8,004가구 중 4,277가구를 대상으로 하였고, 공간적 범위로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 가구의 주택 수요에 있어 경제적 특성, 즉 소득을 나타내는 항상소득과 지출을 나타내는 사용자비용이 중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장애인 가구를 위해 보다 더 효율적인 정부의 정책수립과 정책적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토지이용유형별 서울시 역세권 대중교통 이용수요 영향인자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oward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Considering Land Use Type Seoul Subway Station Area in Seoul)

  • 오영택;김태호;박제진;노정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4D호
    • /
    • pp.467-472
    • /
    • 2009
  • 현재 서울시의 대중교통 이용수요는 최근의 버스개편 등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에도 불구하고 그 분담률은 크게 증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지하철의 경우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하철 분담률 증진을 위해서는 그 해법을 대중교통 지향형 역세권 개발(TOD : Transit Oriented Development)에서 찾을 수 있어 이에 대한 정책전환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중교통지향형 역세권 개발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토지 및 교통 측면의 공급과 수요관련 변수들을 이용하여 유형별(주거, 비주거지역) 영향 모형을 개발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역세권의 이용자 및 대중교통 공급수준의 영향인자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첫째, 토지이용특성(주거, 비주거)에 따라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행패턴이 상이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대전제는 군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증명되었다. 둘째, 주거지역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환승거리, 정류장수, 단거리노선수, 자전거면수와 같은 버스측면의 대중교통 서비스범위와 관련된 시설 공급수준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비주거 지역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노선수, 배차간격, 운영시간, 역간거리와 같이 도시철도와 관련된 운영특성의 공급수준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향후 역세권 중심의 대중교통 정책 수립시 교통측면의 영향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농업용저수지 유역의 토지이용과 수질항목 간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in Agricultural Irrigation Reservoirs and Land Uses of Associated Watersheds)

  • 윤춘경;이새봄;정광욱;한정윤
    • 생태와환경
    • /
    • 제40권1호
    • /
    • pp.31-39
    • /
    • 2007
  • 본 연구에서의 대상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역 내의 토지이용은 산림과 농경지가 대부분인 전형적인 농촌유역 특징을 갖고 있다. 토지이용과 수질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밭에서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모두 유의 수준 1%이내의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주거지역은 수질과 양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서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주거지역의 정화조 유출이나 처리되지 않고 유입되는 불 명수에 의한 수질오염이 원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대상의 48개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은 크게 오염되지 않은 상태이며, 주거지역의 점유율이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으나, 주거지역과 수질과는 양의 상관성이었고, 생활하수에 의한 수질오염이 심각한 상태이었다. 밭의 경우는 상관분석 결과, 건기, 우기에서 모두 유의수준 1%이내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수질에 좋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밭에서 많은 양의 토사가 유출되는데, 그 자체가 오염물질이고, 토사에 흡착된 오염물질들이 토사로 인해 이동하게 된다. 또한 밭이 여러 가지 작물을 연중 재배하기 때문에 많은 시비로 공급된 질소성분이 강우와 함께 유출, 침투되어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산지의 경우는 건기와 우기에서 모두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모두 유의 수준 1%에서 음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역에서 산림의 비중이 높은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서 저수지 수질을 관리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오염원이기보다는 수질개선에 도움을 주는 토지 이용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논의 경우도 저수지의 수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대상 농업용 저수지가 위치 특성상 대부분 관개를 목적으로 유역의 상류에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깨끗한 수질에 적은 발생부하량에도 민감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물관리를 통해 시비하는 기간의 유출을 최소화하고, 논둑을 이용하여 오염부하량이 큰 초기 강우를 저류하는 특징을 적극 활용하는 등 논의 오염부하를 적절한 관리방법을 도입하면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에 유익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건설안전리포트 - 주거문화의 미래, 안전으로 선보일 것 - 우미건설 인천청라 린 스트라우스 주상복합 신축공사 현장

  • 연슬기
    • 안전기술
    • /
    • 제167호
    • /
    • pp.12-14
    • /
    • 2011
  • 인천 청라지구는 송도, 영종과 더불어 미래 인천을 이끌 핵심 지역으로 꼽힌다. 이는 인접한 인천국제공항, 김포공항, 인천항 등을 통해 세계와 연결되는 교통과 물류의 요지인데다 녹지도 풍부해 최적의 업무 및 주거지역으로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 '동북아시아 경제중심도시'를 꿈꾸는 인천의 포부에 큰 몫을 담당할 이곳은 현재 곳곳에서 공사가 한창이다. 내로라하는 건설사들이 실력을 발휘하는 가운데 그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현장이 있다. 바로 우미건설이 최고급 주거단지를 목표로 시공하고 있는 '인천청라 린 스트라우스 주상복합 신축공사 현장'이 그것이다. '린 스타라우스 현장'은 총 4개동(41~42층) 590세대 아파트 및 450세대 오피스텔을 짓는 사업으로, 청라 최중심의 상업시설에 랜드마크 건물로 지어지고 있다. 견실한 우미건설의 브랜드에 더해준 수준 높은 시공능력도 세간의 이목을 받는 이유지만 이곳 현장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물 샐 틈 없는 전방위 안전관리'로 사업시작이래 단 한건의 사고도 허락지 않고 무재해현장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 바로 그것. 무엇이 이곳을 우수 안전현장으로 이끌로 있는지 직접 찾아가 살펴보았다.

  • PDF

공동주택용 국내.외 감지기의 설치 및 시험 기준 비교

  • 손봉세;이채원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7-68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전체 화재발생 건수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주거공간에 대한 화재 및 인명안전의 개선 대책에 관한 기초연구이다. 주거공간은 다른 어떠한 방호공간보다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이 요구되는 소방대상물이다. 국내의 주거공간을 대표하는 공동주택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화재감시시스템이며 이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도 감지기의 성능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지기의 성능은 인간의 두뇌와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이미 일본의 경우는 공동주택 전용의 화재감시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준으로 제정하여 널리 보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미국은 공동주택 전용의 화재감시시스템이 별도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화재특성 및 화재하중 등에 대한 시험을 통해 다양한 방호공간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상세한 코드가 정립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주택에 적합한 전용 화재감시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연구로서 국내와 방재선진외국의 감지기 설치 및 성능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설치 및 시험 기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PDF

표준 점수법을 응용한 주거환경 수준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Residence Environment Level by the Z-Score)

  • 남해경;김재원;정명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25-131
    • /
    • 2001
  • The residence environment is the basis and the receptacle of daily lives and activitives. It influences on the formation of mans personality as an artificial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idence environment level of the some local cities by using the Z-score method and to propose a higher residence environment. The elements of measurement in this study are determined by the general methodolog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1. The residence environment level of Yeosu and Mokpo is high, that of Andong and Kyeongsan is low in this study. The ratio of road paving is the most related element in the correlation analysis. 2. The ratio of sewage supply is low compared with the scale of the dwelling area. So the sanitation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3. In this correlation analysis on the residence pattern, the ratio of a single detached house is more positive than that of a multi-family house. So the single detached house pattern will be desirable in the residence environment.

  • PDF

도시주거수준의 변화추이 분석 - 1945년 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Changes of Urban Housing Conditions in Korea since 1945)

  • 박정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77-92
    • /
    • 1991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rban housing conditions in Seoul since 1945.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housing conditions and the gap of average housing conditions and the housing norms longitudinally.For those purposes, the indicators that present the housing conditions are introduced, and the changes of average housing conditions are analyzed by social class, using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nd relateddata. Korean urban housing conditions has been better since 1970s in the aspect of quality. It is, however, relatively much worse than that of developed countries. The gap of housing conditions among social classes is large, especially in qualitative indicators, density and housing facilities. Comparing it with housing norm(as an ideal measurement), it is much worse.

  • PDF

대학연계형 연속보호체계형 노인주거환경의 서비스 및 프로그램 운영 분석 연구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University-based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Services and Programs Management - With a Focus on Three Cases in the United States -)

  • 김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75-83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ervices and social and leasure programs that will be needed for helping senior residents to be aging healthfully and comfortably in the university-based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 (UBRC). This study conducted case study targeting three representative university-based CCRCs in the east area of United States such as Oak Hammock (OH) at Florida state, Kendal at Lexington (KL) and The Collonades (C) at Virginia state. There were three types of services in the UBRC, which were meal services, healthcare services, and personal services. Those services were different from the level of care such as independent living, assisted living, nursing home and memory care. Meal services and personal services were very similar among three UBRC, whereas healthcare services of OH were higher level of quality and diversity than the others. The social and leisure programs were categorized in-house programs, university outreach program and intergenerational programs between residents and students attending to related university. In-house programs and university outreach program were almost similar among three UBRC, whereas intergenerational programs of OH were well organized and actively operated than the others. This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tyle services and programs of university-based CCRCs in the future.

노인계획주거 대안선택 집단에 따른 특성 비교 -일ㆍ여가ㆍ서비스 제공 수준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Selecting Different Planned Housing Alternatives in Later Life -With Focus to Levels of Work Opportunities, Leisure Activities and Services-)

  • 홍형옥;유병선;전경화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29-14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st subjects in association with three planned housing alternatives in different focus level of work opportunities, leisure activities and services. Subjects used in the study were people in their 50's who were surveyed in 2002. A total of 464 subjects were selected from 556 sampl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between the preferred housing alternatives and the subjects' background including education level of the subjects and their spouses, monthly income, assets, subjective economic capabilities, and housing size.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housing problems for later life among groups. Groups selecting different planned housing alternativ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some features of the senior housing. From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hat various designs based on the levels of work opportunities, leisure activities, and services for the senior housing should be provided to satisfy the demands.

인지도(Cognitive Map)를 활용한 아동의 주거환경 인지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hild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Cognitive Map)

  • 박정희;김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19-29
    • /
    • 2012
  • It is very necessary to know about child recogni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to plan and design an environment proper for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The research method using Cognitive Map, which may be defined as "an overall mental image of representation of the space and layout of a setting" can be a good tool for studying child recogni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child recognition of the size of home range, the number of residential environment elements, the types of Cognitive Map and the levels of Cognitive Map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child recognition about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Subjects were 206 children in age6, 8 and 10 in Gwanju and Jeonnam area. As the result of the study, we found that 70% of child recognized 100~500 M as the size of home range, and that the number of the el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was 7, average. And we also found that sequential map was more popular than spatial map in child's Cognitive Map type and that almost 60% of child respondents drew the Cognitive Map of level 1 complexity typ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know that the research method using Cognitive Map was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hild recogni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