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oward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Considering Land Use Type Seoul Subway Station Area in Seoul

토지이용유형별 서울시 역세권 대중교통 이용수요 영향인자 실증분석

  • 오영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김태호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박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노정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Received : 2009.06.03
  • Accepted : 2009.06.11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Even if Seoul City administration improved its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transportation model share in seoul has not been increased. Subway user is also decreasing. Therefore, policy transition into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should be applied in oder to enhance subway modal share. This paper develops a influencing model by using variables of transportation demand and supply. In addition, it provides major influencing factors for users in subway station area and level of transportation supp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cluster analysis presents that traffic pattern is prove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land use characteristics(residence, non-residence); second, main transportation variables such as transferring distance, the number of bus stop, the number of short distant bus lines, and the number of bicycle are more supplied in residential area compared to non-residential areas; third, the number of lines, bus dispatching interval, operating time, and distance between subway stations are more supplied in non-residential areas than residential areas. All in all, the results will be useful for providing priority of considerations in case of decision-making on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in subway station area.

현재 서울시의 대중교통 이용수요는 최근의 버스개편 등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에도 불구하고 그 분담률은 크게 증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지하철의 경우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하철 분담률 증진을 위해서는 그 해법을 대중교통 지향형 역세권 개발(TOD : Transit Oriented Development)에서 찾을 수 있어 이에 대한 정책전환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중교통지향형 역세권 개발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토지 및 교통 측면의 공급과 수요관련 변수들을 이용하여 유형별(주거, 비주거지역) 영향 모형을 개발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역세권의 이용자 및 대중교통 공급수준의 영향인자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첫째, 토지이용특성(주거, 비주거)에 따라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행패턴이 상이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대전제는 군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증명되었다. 둘째, 주거지역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환승거리, 정류장수, 단거리노선수, 자전거면수와 같은 버스측면의 대중교통 서비스범위와 관련된 시설 공급수준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비주거 지역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노선수, 배차간격, 운영시간, 역간거리와 같이 도시철도와 관련된 운영특성의 공급수준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향후 역세권 중심의 대중교통 정책 수립시 교통측면의 영향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기(1993) 삶의 문화와 도시계획, 나남출판.
  2. 건설교통부(2003) 경부고속철도 연계교통체계 구축기본계획 (2003-2020).
  3. 김태호, 이용택, 황의표, 원제무(2008) CART분석을 이용한 신도시지역의 지하철 역세권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한국철도학회, 제11권 제3호, pp. 216-224.
  4. 정희윤, 김선웅(2002) 서울시 장거리 및 교차통근의 실태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5. 임희지(2005) 고핵다밀화도시 서울의 대중교통 이용활성화를 위한 역중심 개발유도방안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5호, pp. 93-104.
  6. 성형곤, 김태현(2005) 서울시 역세권 유형화에 관한 연구 :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8호, pp. 19-29.
  7. 성형곤, 권영종(2006) 고용입지변화에 따른 주거입지 및 통근통행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강남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1권 제4호, pp. 41-58.
  8. 성현곤, 노정현, 김태현, 박지형(2006), 고밀도시에서의 토지이용이 통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1권 제4호, pp. 59-75.
  9. 박동진, 김재준, 이승일(2007) 서울시 대중교통중심의 개발을 위한 역세권 개발밀도와 이용자수의 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 299-306.
  10. 최유란, 김태호, 박정수(2008) CHAID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지하철역세권지가영향모형개발,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한국철도학회, 제11권 5호, pp. 504-512.
  11. 한국교통연구원(1997) 경부고속철도 연계교통망 구축방향.
  12. 한국교통연구원(2007) 철도역 중심의 연계교통 활성화 방안 연구.
  13. 한국교통연구원(2007) 경부고속철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연계 교통시스템 구축방안 : 사전조사를 중심으로.
  14. LTA (2006) Land Transport Planningin Singapore.
  15. California (2001) Transport Policy, Vol. 8, pp. 47-61. https://doi.org/10.1016/S0967-070X(00)00035-4
  16. California (2002) Statewide TOD Study : Factors for Success in California, pp. 20-21.
  17. California (2004) 2025 California Transportation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