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서 지식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역정서소구메시지 유형별 소비자 설득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he Types of Local Emotion-Appealed Messages on the Consumer Persuasion)

  • 황윤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5권1호
    • /
    • pp.23-50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 기업들이 광고촉진의 한 수단으로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특정 감정소구의 한 형태로서 지역정서를 이용한 광고의 설득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지역정서소구메시지 유형을 촉진형 메시지와 예방형 메시지로 구분하고, 이 메시지유형들의 설득효과에 대하여 소비자의 지식수준과 자기지역중심성향 (CLOCAL)이 어떻게 조절작용을 하는가를 탐색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소비자에 대한 지역정서소구광고의 메시지유형별 설득효과는 소비자 개인특성의 조절변인으로서 지식수준과 자기지역중심성향 수준을 고려했을 경우, 촉진형 메시지와 예방형 메시지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소비자의 정보처리능력과 관련하여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촉진형 메시지가 더 설득적이었고,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예방형 메시지가 더 설득적임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소비자의 자기지역중심성향수준에 따라서는, 높은 수준의 집단에서는 예방형 메시지가, 낮은 수준의 집단에서는 촉진형 메시지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정서소구광고의 메시지 특성과 소비자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지역정서소구광고의 설계전략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PDF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과 유아의 정서성, 정서지식, 사건지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Emotionality, Emotional Knowledge, and Event Knowledge of Preschool Children)

  • 성미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9-68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preschoolers' emotionality, emotional knowledge, event knowledge,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sex and age,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Subjects were 116 preschoolers (73 boys and 43 girls; 68 four- and 48 five-year-olds). Results showed that girls were higher in negative emotionality (sadness) than boys. Also, 5-year-old children were higher in emotional knowledge, event knowledge, and forceful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an 4-year-olds. Furthermore, children's event knowledg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relevant problem solving strategies, while children's event knowledge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forceful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ese findings provide a preliminary evidence that children's event knowledge may predict thei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전문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eacher and Consciousness of Professionalism on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 김갑순;박윤조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7-1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전문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의 보육교사 237명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해 도구의 신뢰도 및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전문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유아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예방전략I에는 정서활용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반응전략에는 타인정서인식, 정서활용, 전체 정서지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유아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타인정서인식과 정서활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유아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예방전략I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예방전략II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반응전략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반응전략에는 직업윤리와 사회경제적 지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의 자동처리기제 (The Automatic Processing of Emotion)

  • 이수정;권준모;이훈구
    • 인지과학
    • /
    • 제9권1호
    • /
    • pp.13-29
    • /
    • 1998
  • 이 문헌 연구는 정보처리 기제 중 자동적인 처리과정의 원리로 다양한 정서 자극에 대한 반응양식이 과연 설명될 수 있을지를 타진해 보고자 한다. 인지적인 판단이 필요한 통제과정이 전혀 개입되지 않고서도 정서 유발 자극이 Bargh(1989)가 제시한 자동처리의 원리에 따라 암묵적으로 처리될 수 있을 것인가$\ulcorner$ 몇몇 연구들은 정서 유발 자극에 대한 자동적인 처리과정은 의미론적인 처리과정보다 훨씬 우선적이며 즉각적으로 처리된다고 주장한다. 자각이 없는 상태에서도 정서 가를 파악하는 현상은 우리의 정보처리과정 중 의식적이며 인지적인 개입이 필요한 명시적인 지식 체계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스로의 자각이 없이도 처리가 이루어지는 암묵적인 지식의 체계에 의해 담당될 것이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암묵적인 기억과정의 원리와 그에 대한 생리학적인 근거도 제시함으로써 정서가 가미된 정보의 처리과정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질 지에 대해 요약하여 보았다.

  • PDF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정서반응과 유아의 정서지식 및 정서반응 - 저소득층 유아와 중류층 유아의 비교 - (Parents' Emotional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Emotional Knowledge, and Emotional Reaction: A Comparison Between Low-income and Middle-income Preschoolers)

  • 성미영;최인숙;이강이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61-75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preschoolers' emotional knowledge, emotional reactions and parents' emotin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ccording to their family income and sex. Subjects were 99 five-year-olds(46 low-income preschoolers, 53 middle-income preschoolers) recruited from three day-care centers and a kindergarten in Seoul and their parents. Each child was individually interviewed with pictorial tasks and parents reported on their own reactions by questionnaires. Results showed that low-income preschoolers were lower than middle-income preschoolers in emotional knowledge. Low-income preschoolers showed higher level of perceptions of the peer's anger in emotional reactions than middle-income preschoolers. Low-income mothers also were more likely than middle income mothers to show punitive reaction in parents' emotional reactions.

유아의 정서지식이 자전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 정서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 Knowledge on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 With a Focus on the Mediation of Negative Emotionality)

  • 성미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05-714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 knowledge, negative emotionality, and autobiographical memory in a sample of 131 three- to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motion knowledge exerted negative effects on their negative emotionality. Second,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Finally, the effect of children's emotion knowledge on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ir negative emotionality. These findings provide a preliminary evidence that children's emotion knowledge and negative emotionality may predict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시간 모니터링과 목표지향이 설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ime Monitoring and Goal Orientation on Persuasion)

  • 민동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103-109
    • /
    • 2020
  • 이 연구는 설득에 있어서 사람들이 시간을 어떻게 모니터링 하는 지 그리고 목표 지향과 설득적 메시지 유형이 어떻게 시간 모니터링과 설득 사이의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실험을 통해 시간 지평 관점(제한 vs. 확장)과 목표 지향(접근 vs. 회피 vs. 통제), 그리고 메시지 유형(정서적 vs. 지식 관련)의 상호작용 효과가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제한된 THP를 갖는 참가자들은 회피 목표를 지향할 때 지식 관련 메시지에 더 설득된 반면, 접근 목표를 지향할 때는 정서적 메시지에 더 설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확장된 THP를 가진 참가자들은 목표 추구 유형과 상관없이 모두 지식 관련 메시지에 더 설득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광고 등으로 대표되는 설득적 메시지의 효과에 있어 피험자의 연령과 그들이 갖고 있는 시간 지평 관점에 대한 고려 뿐 아니라 캠페인 등을 통해 유발할 수 있는 목표의 유형, 그리고 메시지의 구성이 상호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아기 첫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발달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of Mothers with Infants)

  • 조복희;정민자;김양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9-10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자녀 양육 초기 영아모의 아동발달지식 수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만 2세 미만의 영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발달지식 수준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만2세 미만의 첫 자녀를 둔 어머니 156명을 대상으로 양육관련 설문지와 KCDI(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 Larsen, & Juhasz, 1986)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1.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등을 실시하여 결과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아모의 아동발달지식에 대한 평균 정답률은 70.0%로 나타났고,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지발달, 정서발달, 사회성발달, 신체발달 순으로 자녀의 발달에 대한 지식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관련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아동발달지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일수록 유아의 정서발달에 관한 지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족 월수입 정도가 많을수록 지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시 체중이 많았던 자녀를 둔 어머니일수록 신체발달에 관한 지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유방법에 따른 아동발달지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혼합수유를 하는 어머니가 모유수유, 인공유 수유를 하는 어머니보다 자녀의 인지발달, 사회성발달에 관한 지식이 보다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편, 시부모가 기대하지 않았던 성의 자녀를 키우는 어머니일수록 아동발달지식을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영아모 대상의 부모교육, 임산부 교실, 특수아동 자녀를 둔 부모대상 교육 프로그램, 입양센터, 미혼모센터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리 교육의 미래를 위한 구도 설정 (Creating the Frame for the Future of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 권정화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11-720
    • /
    • 2010
  • 지리교육은 지난 한 세기 동안 한국 사회의 근대 국민 교육에 지대한 기여를 하였으나 최근 위기에 직면해 있다. 본고에서는 당면한 지리교육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정보 양식이라는 측면에서 사회 변화의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최근 논의되는 지식의 성격 변화에 부응하여 청소년 문화를 배려한 정서 중심의 지리교육이라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국민정서의 측면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국토학, 주택정의론, 지역학 등의 과목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면서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기 위한 교육적 차원을 강화하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한 초등 과학 교사의 정서적 반응적 교수의 실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er's Emotionally Responsive Teaching)

  • 한문현;오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27-238
    • /
    • 2022
  • 과학 교사의 주요한 역할 중 하나는 학생들이 과학 수업의 주체로서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 초등학교 과학 전담 교사가 어떻게 학생들의 정서적 자원을 활용하여 정서적 반응적 교수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무엇이었는지 기술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교사 자신과 그가 가르치고 있는 6학년 학생들이었으며,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단원의 수업에 교사의 정서적 반응적 교수가 적용되었다. 교사의 개인 일지, 수업 녹화본, 학생들과의 면담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들을 질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셀프 스터디의 방식으로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의 세 가지 정서적 자원(캐릭터 그리기, 티셔츠 디자인, 랩)을 활용하여 정서적 반응적 교수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정서적 반응적 교수는 학생들의 긍정적인 정서 및 활발한 수업 참여, 지식의 탐색과 정당화를 포함하는 인식적 실천, 일상생활의 맥락을 고려한 지식의 재구성이라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정서적 반응적 교수가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 참여를 촉진하면서 정서적, 인식적, 개념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학습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따라서 정서적 반응적 교수의 특징과 세부 교수 전략들을 이해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