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45-452
    • /
    • 2021
  • 본 연구는 그동안 분석되지 않은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충남과 대전 지역의 14개 장애인복지관의 종사자 36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두 변수 간의 영향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애인지역사회 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전문성인식과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이후에는 장애인지역 사회재활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분배공정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between the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Burnout of Personnel in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81-486
    • /
    • 2022
  • 본고는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들의 분배공정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전과 충남 지역의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 32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자료를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SPSS/AMOS 18.0을 활용한 확인적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이다. 분석결과,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분배공정성이 소진에 대한 영향과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종사자들의 분배공정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 능력과 업무량에 대한 객관적 평가에 의한 보상, 투명한 보상체계의 구축, 비정규직의 근무여건 개선 등이 요구된다. 둘째, 종사자들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 리더쉽 교육과 프로그램의 운영, 종사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자발적 참여, 슈퍼비전의 제공과 임파워먼트의 교육 등이 필요하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인식과 조직헌신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in Welfare Centers for Disabled Persons)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43-347
    • /
    • 2022
  • 본 연구는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인식과 조직헌신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C도와 D시의 14개소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에서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성인식의 조직헌신에 대한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의 가장 주요한 인력인 사회복지사들의 조직헌신을 높이는 차원에서 몇 가지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보수교육의 강화, 채용절차에서 전문직으로서의 소명의식에 대한 점수부여, 사회복지사들의 의견을 반영한 합리적인 시설운영 등이 요구된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사회복지사들에 대한 적극적인 상담 등의 개입,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적합한 슈퍼비전과 직무교육의 제공, 시설장의 리더십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등이 필요하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동료관계와 소진의 관계에서 조직헌신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the Coworker Relations and the Burnout of the Professional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 이병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17-223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동료관계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헌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전과 충남의 14개소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에서 종사하는 직원 352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SPSS 18.0 및 Amos 18.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신뢰도와 상관관계,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Bootstrap 검정 등을 사용했다. 종사자들의 동료관계가 소진에 부적 방향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고 그 관계에서 조직헌신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소진을 감소시킬 방법들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사자들의 동료관계를 개선시키기 위해 대인관계증진 교육, 동료관계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관리할 슈퍼비전 체계, 동료관계를 개선시키는 의사소통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 둘째, 종사자들의 조직헌신도를 높이기 위해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자조모임의 활성화, 감정노동의 적절한 관리, 업무수행과 상황대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문적인 보수교육 등이 필요하다.

융합을 활용한 남북한 장애인스포츠 교류 활성화 방안 : 운동재활 복지정책을 중심으로 (Promotion of Inter-Korean Sports Exchange for Disabled Persons Using Convergence : Focusing on exercise rehabilitation welfare policy)

  • 이창희;박범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33-14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의 운동재활 복지정책을 분석의 맥락으로 조사하고 길버트와 스펙트의 사회복지정책 산출 분석틀에 따라 산출물을 전달체계(Delivery System)로 구분하고 과거와 현재의 남북한 장애인스포츠 교류의 현황을 분석하여 장애인스포츠 교류를 활성화 시키고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첫째, 남한 전역에 있는 장애인복지관 모형의 시설을 건립하여 지역사회복지의 거점 "장애인 운동재활 복지센터"로의 역할을 기능케 한다. 둘째, 남한의 단일화하고 제도화된 장애인단체를 통해 소통의 부재를 줄인다. 셋째, 남한의 장애인 운동재활 복지정책 중 북한사회에 단기간 내에 접목시킬 수 있는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사업을 통해 장애인의 자립생활 및 사회참여를 이끌어 낸다. 끝으로, 북한은 국제기구나 국제단체를 통해 자국의 장애인 인권에 대해 국제사회의 비난을 저지하려는 의도를 역이용하는 전략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장애인스포츠를 통한 교류를 활성화하고 꾸준한 남북한 운동재활 복지정책 연구학술활동을 통해 양국 간의 정책이 중화되고 통합된 정책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신사회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의 10년간 종단적 검증 (Ten-year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Mentally Ill)

  • 배성우;박병선;김이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3호
    • /
    • pp.127-147
    • /
    • 2016
  • 본 연구는 사회복귀시설의 정신사회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10년에 걸쳐 추적 조사하여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구지역의 1개 사회복귀시설에 등록한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유사실험설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험집단은 시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23명으로 구성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시설에 등록되어 있으나 자발적인 의사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정신장애인 23명으로 구성되었다. 초기측정 후 매 1년 간격으로 10년 동안 총 11회에 걸쳐 반복측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선형모형(HLM)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사회재활서비스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정신사회재활서비스의 효과성은 10년 동안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기간 동안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은 볼록포물선의 궤적을 나타내며 변화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사회복귀시설에서 제공한 다양한 정신사회재활서비스는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그 영향력이 10년 이상 장기적으로 지속되었다. 마지막으로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역량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Independent Living Competency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 전재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93-29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독립주거 거주기간과 정신재활시설 이용기간이 3개월 이상인 정신장애인들이며, 전국 총 42개 기관의 이용자 23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인들이 이용한 정신재활서비스 이용종류 수가 많고, 정신재활서비스에 대한 도움 만족도가 클수록, 자립생활 교육을 받은 경우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 역량이 향상되었다. 이는 지역사회중심의 통합적인 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역량 강화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짐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통합적인 정신재활서비스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장애인 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of Disabled Residential Institutions Rehabilitation Teacher on Job Satisfaction)

  • 이병주;강희숙
    •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1-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충남지역을 대상으로 19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직무만족은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개인역할 및 일상업무, 시설 및 상사와의 관계, 클라이언트 관계 등의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높았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생활재활교사는 대인관계에서 감정소진이 나타나기 때문에 동료상담, 교육, 프로그램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지능형 개인맞춤 재활운동 서비스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Intelligent Personalized Rehabilitation Exercise Service System)

  • 한미경;최지영;김재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21-422
    • /
    • 2021
  • 지역사회에서는 병원퇴원 후 경증장애인의 체력회복을 도와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지원하고 노인 등 취약계층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저비용 개인맞춤형 재활운동 서비스 시스템이 요구된다. 특히, 병원과의 데이터 연계를 통해 개인의 건강상태, 질병에 따라 최적화된 재활운동이 관리될 경우, 효율적인 재활 및 2차 부상방지를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활운동의 비용감소와 장애인 및 노인 등 취약계층의 운동재활 접근성(코칭/시설) 강화를 위한 O2O(Online-to-Offline) 연계 AI 기반 개인맞춤형 운동재활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한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on the Quality of Life)

  • 남희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1호
    • /
    • pp.41-69
    • /
    • 2013
  •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학력, 연령, 결혼여부와 직무만족도인 근무기간, 직무, 보수, 기관, 승진, 동료, 이직 전직이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종사자들의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적절한 근무환경 또는 근무조건에 대한 불만을 상쇄시키고 더 나아가 직업적 정체성과 소명의식을 가지고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종사자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각각의 자격이나 경력, 적성 등을 고려한 투명하고 공정한 인사제도 및 지속적인 교육과 관리를 통해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전문직으로서의 분명한 인식과 긍지를 확립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종사자로서의 긍정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