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of Disabled Residential Institutions Rehabilitation Teacher on Job Satisfaction

장애인 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병주 (사회복지법인 예맥재단 등대의 집) ;
  • 강희숙 (공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12.03
  • Accepted : 2018.12.26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teachers of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19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evels of perception of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medium level, and job stress was lower than medium level. Second,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were higher a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lower as the stress of personal role and daily work, relationship with facility and supervisor, and client relation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are clos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that it is effective to increase ego-resilience and reduce job stress as a way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teachers. Since rehabilitation teachers provide human services, they need support from peer counseling, education, and programs because their emotional exhaustion appears in interpersonal rel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충남지역을 대상으로 19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직무만족은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개인역할 및 일상업무, 시설 및 상사와의 관계, 클라이언트 관계 등의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높았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생활재활교사는 대인관계에서 감정소진이 나타나기 때문에 동료상담, 교육, 프로그램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유나(2014). 정신보건사회복지 실무자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김지호(2011).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주희(2015).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광수(2012). 사회복지 종사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보미(2012).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보건복지부(2017). 장애인복지시설 일람표.
  7. 성지영(2018).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감성지능,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손지연(2015).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심순애(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손영준(2016).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공공.민간부문 비교.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문휘(2006).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상희(2014).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 지각과 자아 탄력성이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임성옥.김현희(2011).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3). 151-176.
  14. 윤상목(2015). 장애인거주시설종사자의 윤리경영인식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장바론(2017). 장애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소희(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과 자아탄력성, 학업능력지각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eds.).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18.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249-361.
  19. Innstrand S.T,, Espnes G. A. & Mykletun R. (2002). Burn out among people working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a theory update and an example. Scandinavian Journal od Caring Science, 16, 272-279. https://doi.org/10.1046/j.1471-6712.2002.00084.x

Cited by

  1.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vol.19, pp.3, 2018, https://doi.org/10.14400/jdc.2021.19.3.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