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업싸이클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초

Web-Cyclone을 활용한 샌드위치 패널공사 작업조별 생산성 분석 및 공사금액 예측에 대한 연구 (Crew Productivity and Cost Analysis of Sandwich Panel Construction Work by Applying Web-Cyclone Simulation)

  • 조동열;이승현;손재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62-267
    • /
    • 2008
  • 1970년대부터 고도의 산업발전을 이루기 시작한 국내 건설현장에서 저렴한 공사비용 및 간편한 시공성 등을 장점으로 샌드위치패널을 활용한 건축물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샌드위치 패널의 시공을 담당하는 기업들은 대형 건설기업보다 중소건설업체에서 시공하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샌드위치패널공사현장을 실사하여 작업조별 작업싸이클을 분석하고 Web-Cyclone을 이용한 모델링을 구축하여, 각 작업조별 생산성 및 공사금액을 분석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샌드위치패널공사의 작업조 생산성 정보를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국내 중 소규모 전문건설업체들이 자신들의 현장 특성에 적합한 샌드위치패널공사의 생산성 및 공사금액을 예측 및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작성한 모델링을 기반으로 유사한 공정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모델링화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현장실태를 고려한 국내 터널공사 공사비산정기준 개선 (The Improvement of Tunnel Construction Cost Standards Considering the Site Conditions in Korea)

  • 안방율;이한수;오재훈;송태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26-35
    • /
    • 2020
  • 터널공사는 국내 공공건설공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장비와 기술의 개발로 터널공사 시공방법이 발전하였고 현장에 적용되고 있으나 공사비산정기준은 아직까지 현장실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태를 반영한 공사비산정기준 수립을 위하여 관련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해 합리적인 터널공사비 산정기준을 제시하였다. 먼저 현재 건설공사 표준품셈에서 정하는 터널공사비 산정기준의 각 항목들을 분석하고 현장조사를 통한 실제 현장시공의 실태와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조사내용으로는 암판정 및 내공측량, 천공속도, 버력처리 장비조합 등 싸이클 시간과 관련된 작업 시간에 대한 조사와, 굴착 투입인원에 대한 현장별 적용실태를 확인하였다. 현장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터널굴착 1발파당 싸이클 시간, 천공기계의 천공속도, 버력처리 장비조합, 터널굴착 투입 작업인원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싸이클 시간의 경우 천공준비 시간에 암판정 및 내공측량 시간을 반영하였으며, 천공기계 속도는 컴퓨터 점보드릴의 천공속도를 반영하였다. 버력처리는 상차장비의 규격을 현장 시공실태에 맞추어 개정하였으며, 터널굴착 투입 작업조를 현장실태에 맞추어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장 시공실태를 반영한 공사비산정기준이 제시되었으며, 터널공사 적정공사비 확보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철의 중력금형주조에서 응고과정의 컴퓨터해석 (Computer Simulation of Solidification Process in the Gravity Die Casting of Cast Iron)

  • 최정길;홍준표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47-253
    • /
    • 1990
  • 주철의 중력금형주조에서 반복작업에 따른 응고과정의 변화를 3차원의 수치해석적 방법에 의하여 컴퓨터해석을 하였다. 수치해석적 방법으로는 차분법을 채택하였다. 반복작업과정에 따라 변화되어지는 주물의 응고시간과 미세조직, 기계적성질과의 관계가 조사 되어졌다. 컴퓨터에 의해 계산된 각싸이클의 냉각속도로 부터 주물의 공정셀의 수, 경도, 인장강도등의 변화를 예측하였으며 또한 반복싸이클에 따른 금형 및 주물의 온도분포와 최종응고부위등을 예측하였고 이들은 실제주조시험에서 얻어진 결과와 비교적 잘일치하였다. 중력금형주조에서 회주철의 응고시간, 공정셀, 기계적성질 및 응고속도에 미치는 냉각수의 영향이 또한 컴퓨터해석에 의하여 잘예측되었으며 컴퓨터해석에 의한 냉각수 라인의 적절한 설계에 의하여 주물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성질과 결함발생 가능위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산악지(山岳地) 임도시설(林道施設)을 위한 암석천공(岩石穿孔) 작업량(作業量)의 예측(豫測) (Estimation of Rock Drilling Work Size for Mountain Forest Road Construction)

  • 마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3호
    • /
    • pp.193-199
    • /
    • 1987
  • 임도시공예정지(林道施工豫定地)의 천공폭파에 따른 작업량(作業量)과 사업비(事業費)의 간이예측방법을 탐구하여 임도설계(林道設計)의 일반지침(一般指針)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양양군 현남면 일대의 화강편마암지대에서 임도 5 km를 11개(個) 싸이클로 구분하여 20 m 측점단위별 산지경사를 조사하고 각 싸이클별 작업시간(作業時間) 재료량(材料量) 및 인력(人力)을 조사(調査)하였다. 분석결과(分析結果)에 의하면 산지경사(山地傾斜) 70% 이상(以上)인 사면(斜面)의 출현비율(出現比率)과 천공작업길이와의 상관성이 높아 이를 지표(指標)로 하여 작업량(作業量)을 추정(推定)하였다. 천공길이 총량을 추정할 수 있으면 공기압축기 가동시간(稼動時間) 착암인부수(人夫數) 및 소요(所要)화약량은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예측할 수 있다. 분석된 조사결과(調査結果)를 기초자료로 하여 산지경사(山地傾斜)에 따른 착암량과 이에 소요되는 기계 인력 및 재료량 추정치를 표(表) 5 와 같이 제시를 한다.

  • PDF

컨테이너 터미널의 차세대 안벽크레인 생산성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Productivity of Next Generation Quay Crane in Container Terminal)

  • 하태영;최용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7-30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수직배치형 블록을 가지는 컨테이너 터미널을 대상으로 안벽에서 컨테이너의 양${\cdot}$적하 작업을 담당하는 안벽크레인(Q/C)에 대한 하역생산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이 되는 안벽크레인의 유형은 기존의 싱글트롤리 타입외에 차세대 안벽크레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듀얼트롤리, 더블트롤리, 수직순환식의 하역방식을 가지는 장비에 대한 하역생산성을 순작업시간당 생산성 측면에서 이들 하역장비의 성능을 측정해 보았다. 이들 차세대 컨테이너 크레인은 기존의 싱글트롤리 타입의 장비에 비해 기계적 싸이클 타임이 짧으며, 선회방식이 상이하여 현재의 싱글 트롤리타입보다 하역생산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4가지 유형의 안벽크레인에 대해 작업싸이클타임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기계적생산성과 순작업생산성을 산출하였다.

  • PDF

시스템 다이나믹스를 이용한 자동차 개발 단계에서 Design-Build-Test Cycle의 중복에 대한 연구 (Overlapping Design-Build-Test Cycles in Vehicle Development Process : System Dynamics Approach)

  • 이상돈;임익성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32
    • /
    • 2006
  • 자동차 개발 단계는, 본질적으로, 수차례의 개발 단계를 거치면서 설계 그룹들 간의 정보 전달과 교환이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상호 정보 교환 과정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업무가 수행되지 못하면 불필요한 재작업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는 비용 낭비 및 계획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나믹 모델을 개발하여 빈번한 design-built-test 싸이클이 자동차 개발 단계에 미치는 영향 및 이점들을 고찰하였다.

공장가공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공사의 생산성 및 경제성 분석 (Productivity and Economic Analysis of Sandwich Panel Construction Work by Shop Fabrication)

  • 조동열;손재호;이승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13-122
    • /
    • 2009
  • 1970년대부터 고도의 산업발전을 이루기 시작한 국내 건설현장에서 저렴한 공사비용 및 간편한 시공성 등을 장점으로 샌드위치패널을 활용한 건축물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샌드위치 패널의 시공을 담당하는 기업들은 대형 건설업체보다 중소건설업체인 관계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샌드위치패널공사 현장조사를 하여 작업조별 작업싸이클을 분석하고 Webcyclone을 이용한 모델링을 하였으며, 각 작업조별 생산성 및 공사금액을 분석하였다. 또한 생산성 영향요인중 하나인 패널의 가공장소에 따른 생산성 및 공사금액의 변동을 민감도 분석하여 각 작업조별 최적화된 생산성 및 공사금액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장가공 작업조가 현장가공 작업조에 비하여 약 30% 정도의 생산성이 향상됨으로 조사되었고, 공사비용 분석 결과 약 15% 정도의 공사비용이 증가됨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개구부 요율에 따른 민감도 분석에 의하여 약 20% 정도의 개구부를 공장에서 가공을 하였을 때 공사금액 최적화가 이루어짐을 보여준다.

SAN 환경에서 효율적인 디스크 기반 백업을 위한 시스템 모듈 (System Modules for Efficient Disk Backup in SAN Environment)

  • 복경수;강태호;윤종현;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1-43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SAN 클러스터 내에 존재하는 백업 장치를 이용해 디스크 기반 백업을 지원하는 위한 모듈들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개발 백업 모듈에서는 SAN 클러스터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백업 장치들을 관리하고 이를 풀이라는 논리적 단위로 그룹화하는 장치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백업 및 복구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부가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처리/후처리 스크립트를 제공하며 백업된 데이터에 대한 라이프 싸이클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 PDF

현장 데이터 분석을 통한 Gripper TBM의 Downtime 요소 분석 (Analysis on Downtime element of Gripper TBM based on field data)

  • 박진수;송기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393-402
    • /
    • 2021
  • 국내에 첫 도입된 TBM은 Gripper TBM으로 1985년 구덕 수로터널에 적용되었다. Gripper TBM 도입 초기단계에는 주로 수로터널 중심으로 적용 실적이 많았다(Tunnel Mechanized Construction Design, 2008). 현재 국내에서의 Gripper TBM의 시공범위는 수로터널은 물론이고 지하철, 철도터널, TBM+NATM 확공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Gripper TBM의 적용은 일반적이며, NATM터널 적용 시에도 Gripper TBM의 우수한 굴진율 때문에 탐사터널로 적용하고 완공 후에는 피난터널로 사용한다. 빠른 굴착속도로 인하여 풍화암 이상의 암반구간에서 Gripper TBM의 적용은 장대터널이나 산악터널 계획 시 다수의 작업구를 만들어 발생하는 환경이나 민원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었던 직경 2.6~5.0 m의 Gripper TBM의 월굴진율과 시공싸이클을 분석하여 일반적인 Gripper TBM의 작업과정을 분석하고 월굴진율 300 m/month 이하로 굴진율을 기록했던 프로젝트의 Downtime을 조사·분석하였다.

일본잎갈나무 간벌림(間伐林) 벌목작업(伐木作業) 연구(硏究) (A Felling Work Study for Thinning Japanese Larch)

  • 마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3권1호
    • /
    • pp.14-20
    • /
    • 1986
  • 일본잎갈나무 일차간벌림(一次間伐林)에서 간벌장재(間伐長材)의 매목별(每木別) 벌목(伐木)-소운반(小運搬)까지 공정(功程)을 알기 위하여 1인(人) 단독(單獨)으로 기계톱벌목(伐木)-도끼가지치기-인력소운반작업(人力小運搬作業) 조직(組織)을 투입(投入)하였다. 작업장소(作業場所)는 임업기계훈련원(林業機械訓練院) 27 임반(林班)에서 영림기능인(營林技能人) 2급자격자(級資格者)에 의거 작업(作業)을 시키고 69 본(本)을 조사(調査)하였다. 동연구(同硏究)의 또 하나의 주요목적(主要目的)은 지역별(地域別) 공정표제작방법(功程表製作方法)을 도입(導入) 보급(普及)시키는데 있었다. 시간(時間)은 25/100분(分) 간격으로 관측을 하였으며 매 싸이클별 작업자(作業者)者의 능률(能率)을 사정하였다. 총 작업시간은 8.11시간(時間)이며 이 중 간벌작업(間伐作業)이 90%, 제벌작업(除伐作業)이 10%을 점하고 있다. 시간유형별(時間類型別)로는 순작업시간(純作業時間)이 82.7%, 일반작업시간(一般作業時間)이 12.3%이고 측정불필요시간(測定不必要時間)이 4.9% 이었다. 간벌(間伐)을 위한 순작업시간(純作業時間)은 5.9시간(時間)이며 이 중 간벌목(間伐木)으로 이동시간(移動時間)이 20.9 %, 벌목(伐木)이 7.1%, 가지치기가 40.5%이고 집재로(集材路)까지의 운반(運搬)이 11.5%이었다. 기계톱의 순작업시간(純作業時間)은 0.94시간(時間)(이 중 제벌작업(除伐作業)이 0.2시간(時間))이며 가동시간(可動時間)이 66%, 공전시간이 34%를 점하고 있었다. 직경급별(直徑級別) 공정(功程)을 얻기 위하여 회귀식(回歸式)을 구하고, 작업원(作業員)의 능률(能率)은 130%로 사정하여 기본시간(基本時間)과 일반시간(一般時間)을 구하였던 바 표(表)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表) 1은 활용시(活用時) 복잡할 것으로 예상하여 공정표(功程表)를 표(表) 2와 같이 제안(提案)하여 실용화(實用化) 되도록 하였다. 작업관리(作業管理)를 합리화(合理化)시키기 위해서는 상기(上記)와 같은 공정표제작방법(功程表製作方法)의 도입(導入)은 바람직한 결과를 주게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