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녀양육

검색결과 823건 처리시간 0.034초

영재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액션러닝 적용방안 (A Study on the Empowerment of Parents of Gifted Children Using Action Learning)

  • 추성경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899-917
    • /
    • 2013
  •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는 반면에 영재부모를 대상으로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인식하에 영재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액션러닝의 적용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부모들은 가정에서 자녀양육에 관련된 고민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나, 영재를 직접적으로 양육하는 영재부모를 위한 교육은 미흡하므로 영재부모들을 대상으로 영재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영재부모에게 있어 역량강화는 부모가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자녀 양육에 대한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부모들에게 자녀 양육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영재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액션러닝의 적용방안은 영재 부모들이 함께 실제문제를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자녀양육에 대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과 성장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The Child Rearing and Inner Growth Experienc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Photovoice Study)

  • 김경희;김미옥;정민아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4호
    • /
    • pp.263-296
    • /
    • 2016
  • 이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과 성장경험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하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초점집단인터뷰와 개별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은 "눈앞이 캄캄해도 걸어감"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어머니들은 "동행하며 함께 나아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자녀의 발달장애로 인해 여러 고통과 어려움을 경험하면서도 양육과정에서 또 다른 기쁨과 성장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오케스트라 활동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어머니는 자녀에 대한 인식 뿐 아니라 양육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 주변 지지체계와의 관계에도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부모의 행복과 자녀의 행복의 관계에서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우울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happiness and children's happiness)

  • 김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69-479
    • /
    • 2022
  • 본 연구는 부모의 행복과 자녀의 행복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우울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조사하였다.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1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과 그 부모로부터 수집된 2,551부의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가 느끼는 행복은 자녀가 지각한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행복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녀의 우울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행복은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하다고 지각하는 부모들이 자녀에게 따뜻하고, 구조를 제공하며 자율성을 지지해주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녀에게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믿음을 갖게 하여 우울을 낮추고 행복을 높이는 데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장애자녀 주양육자에 대한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연구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Family Streng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of the Primary Caregivers of Disabled Children)

  • 한희창;김웅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419-425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아동 주 양육자의 행복감에 관련성이 있다고 규명된 요인들 간의 직접·간접효과를 분석하여, 장애아동 주 양육자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정책적인 대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수행을 위해 전라북도 3개 지역을 대상으로 장애자녀의 주양육자 43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자녀 주 양육자의 사회적지지, 양육스트레스, 가족건강성과 행복감의 영향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는 장애자녀주 양육자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가족건강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자녀 주 양육자의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자녀 주양육자에 대한 사회적지지, 가족건강성,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융복합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청소년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the Parenting Experience of Adolescents)

  • 최지원;김수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837-854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양육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지역의 중학교 1~3학년 자녀의 주 양육자 7명으로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각 참여자들의 인터뷰 내용을 녹취한 후 전사한 축어록과 인터뷰 요약 내용인 문서 등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이 서술한 경험과 행위에 대한 인식을 연구자가 의미화 할 수 있는 Smith & Osborn (2003)의 해석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자료 분석 결과 6개의 대주제와 25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청소년기 자녀 어머니들의 양육 경험에서 도출된 결과는 크게 6가지로 자녀와 함께 시간보내기의 함의, 당연하지 않은 당위 행동, 표현의 미학, 에너지의 충전 방법, 자녀에게 남기고 싶은 정신적 유산, 유연성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임상 실천 분야에서 어머니들이 어떻게 청소년기 자녀와 상호작용해야할 지에 대한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예방적이고 교육적인 차원에서 청소년기 자녀의 어머니들이 양육자로서 자녀와 어떤 상호작용을 하면 좋을지에 대한 건강한 반응의 제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역할, 자녀양육과 양육태도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al Roles and Childrearing attitude)

  • 박화윤;최재숙;마지순
    • 아동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5-76
    • /
    • 2002
  • In this study, 354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parental roles, and their parents' and their own attitudes about childrearing. Data were analyzed by SPSS. Findings were that most college students perceived instrumental reasons for becoming a parent, and the parental role as consultant and provision of financial support. Most college students thought that mothers and fathers gave equal responsibility for raising children, that information on childrearing is to be found among friends and other adults, and that pre-parenthood education is important. They perceived their own parents to be satisfied with their parental roles, and they perceived both their patents and themselves to hold favorable attitudes about childrearing. Students' attitudes about childrear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ir perceptions about their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 PDF

유치원의 아버지 참여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역할수행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Father's Participant Program at Kindergarten : Influences on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Role Performance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 양진희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17-442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role performance and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fter fathers' participating in the father's program at kindergarten. Subjects were parents of children enrolled in H kindergarten, 38 fathers (18 experimental group, 20 control groups) and 38 mothers (wiv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athers).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on the pre-score and post-score. Findings were that : father's participant program at kindergarten affected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role performance,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reduction : the experimental group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role performance was improv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mothers' parenting stres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PDF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관련변인 연구 (Related Variable about Maternal Parenting Stres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s)

  • 박정희;장영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1-4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through early childhood between urban(Seoul and Incheon) and rural area(Iksan and Kimpo). The subjects were 286 unemployed mothers who have less than 5-year-old children. The statistics used for this data were frequency, percentile,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 from the present study certainly suggested that mother's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father's parenting support turned out to a significant variables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at the etiologic model of this study was more proper to urban than rural area, and father's parenting support i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in predic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in both area. Implicat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to encourage for father's parenting support with be developed, and various empirical studies about maternal parenting stress in with area will be needed.

유아의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Beliefs about Emotional Guidance on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Emotionality and Parenting Stress)

  • 하지영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3-110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 및 대전 지역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3~5세 유아 213명의 어머니였으며, 유아의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과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남아의 어머니일수록, 유아의 연령이 어릴수록,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 중 부모지도 신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은 반면, 자녀습득 신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 중 자녀습득 신념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자녀습득 정서지도 신념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가 자녀의 정서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Communication on Adolescents'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504-51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의사소통이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여, 자녀들의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을 위해 바람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의사소통유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결과 청소년 자녀들이 어머니에 대한 양육태도를 수용적으로 인식할 때, 진로의사결정을 합리적인 방향으로 더 나아가며, 어머니에 대한 양육태도를 거부적으로 인식할 때 진로의사결정을 의존적인 방향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버지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청소년 자녀들이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을 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아버지의 문제형 의사소통은 청소년 자녀들이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을 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