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mpowerment of Parents of Gifted Children Using Action Learning

영재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액션러닝 적용방안

  • Received : 2013.11.30
  • Accepted : 2013.12.27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is purpose of empowerment of Parents of Gifted Children Using Action Learn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ifted children at home parents worry and stress associated with parenting experience, but directly to the nurturing gifted education is insufficient for parents. Thus,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and talented gifted parents who have appropriate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Second, a gifted parent empowerment by having a parent in child care for the ability to relieve stress and parenting, parents in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e confidence to believe that may be helpful. Third, parents of gifted children for strengthening the application of action learning approach is to derive a real problem with gift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 seek a solution for the child care that can enhance the capabilities will be presented.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는 반면에 영재부모를 대상으로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인식하에 영재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액션러닝의 적용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부모들은 가정에서 자녀양육에 관련된 고민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나, 영재를 직접적으로 양육하는 영재부모를 위한 교육은 미흡하므로 영재부모들을 대상으로 영재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영재부모에게 있어 역량강화는 부모가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자녀 양육에 대한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부모들에게 자녀 양육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영재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액션러닝의 적용방안은 영재 부모들이 함께 실제문제를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자녀양육에 대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 (2009). 다문화가족 모(母)의 부모역량강화를 위한 부모코칭 경험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3), 111-125.
  2. 강혜원, 박지연 (2011).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장애유아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2(1),1-25.
  3. 곽소현 (2000). 청소년 이해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가족 치료적 접근.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4. 김보영 (2011). 결혼이민여성의 부모역량강화에 관한 실행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5. 김상웅, 정주영, 조영기, 진옥둘, 류남애, 지은경 (2010). PT(Parent-Teacher) Action Learning CoP 활동을 통한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교육발전과제 연구 프로젝트 최종보고서.
  6. 김성원, 최성연 (2002). 영재아의 부모특성이 영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71-681.
  7. 김정휘 (2001). 영재성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가족의 역할. 서울: 교육과학사.
  8. 김종선 (2007). 영재교육에 대한 영재부모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9. 김향은, 정옥분 (1999).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부모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0(4), 179-194.
  10. 김현주, 김은영, 황인주, 이승미 (2008). 자녀양육 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활동집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육아지원연구, 3(2), 177-192.
  11. 김현희 (2004). 부모교육 운영에 관한 초등 영재아 부모의 요구분석. 문화콘텐츠연구, 9(2), 99-122.
  12. 명신영 (1999). 집단정신치료에 따른 어머니의 가족지각, 부모효능감, 양육스트레스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3. 민보경 (2010). 중학교 과학영재아 부모들의 요구에 기초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4. 박수홍, 정계숙, 유미숙, 차지량, 홍광표 (2013). 양육 역량 강화를 위한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문제연구, 31(2), 157-178.
  15. 봉현철 (2006). 액션러닝 워크북. 서울: 다산서고.
  16. 성수현 (2007). 초등학생 일기쓰기 지도를 위한 액션러닝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7. 어용숙, 김문정 (2009). 양육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가 장애아동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15(4), 409-416.
  18.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9). 최신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19. 이은경 (2013).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역량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 이은미 (2006). 여성지체장애인의 직업활동을 통한 역량강화 경험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1. 이지연, 한기순 (2012). 영재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성공적인 영재교육의 요건: 개념도 분석을 활용하여. 영재와 영재교육, 11(2), 171-192.
  22. 이희영, 안삼태, 최태진 (2003). 영재아 부모들의 고민 유형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5(2). 193-205.
  23. 장경원 (2011). 대학교육을 위한 Action Learning. 프로그램 설계모형 개발연구. 교육공학연구, 27(3), 475-505.
  24. 장경원, 고수일 (2013). 액션러닝으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25. 전경원 (1996). 학대받는 영재아들. 서울: 창지사
  26. 정계숙, 김정혜, 김미정 (2003).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을 통한 양육스트레스 변화연구. 영유아보육연구, 9, 117-140.
  27. 조경호 (2005). 공무원 교육에의 Action Learning 적용방안 연구.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3-54.
  28. 조미숙 (2009). 역량강화 집단사회사업이 한 부모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임상사회사업연구, 6(3), 125-140.
  29. 천대윤 (2005). 정책효과성 제고를 위한 Action Learning 모형 탐색.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 457-484.
  30. 천대윤 (2009). 현장중심 액션러닝 변화혁신 리더쉽. 서울: 북코리아.
  31. 최애경 (2012).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경험한 장애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263-282.
  32. 태진미 (2009). 영재부모 지원의 새로운 접근. 영재교육연구, 19(2), 303-332.
  33. 한국교육개발원 (2013).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 통계자료.
  34. 한기순 (2010). 가정에서의 창의적 환경 조성을 위한 영재학부모 교육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35. 한기순, 이영미 (2010). 영재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 분석: 개념도 기법을 활용하여. 영재교육연구, 22(4), 893-916.
  36. 허영주 (2007). 현직교사교육프로그램에서의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의 도입 가능성과 한계 분석. 교육과정연구, 25(4), 207-228.
  37. Aubusson, P., Ewing, R., & Hoban, G. (2009). Action Learning in Schools: Reframing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and development. Abingdon, UK: Routledge.
  38. Braggett, E. J., Ashman, A., & Noble, J. (1983). The expressed needs of parents of gifted children.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 80-84. https://doi.org/10.1177/026142948300100208
  39. Burke, W. (1997). What Human Resource Practitioners Need to Know for the Twenty-first Century. Human Resource Management, Spring, 71-79.
  40. Cattaneo, L. B., & Chapman, A., R. (2006). The process of empowerment: A model for use in research and practi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5(7), 646-659.
  41. Freire, P. (1973). 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New York: Continuum Publishing Company.
  42. Horsch, H., Muller, G., & Spicher, H. J. (2006). Hoch begabt-und trotzdem glucklich. Dusseldorf: Oberstebrink.
  43. Kane, G. A., Wood, V. A., & Barlow, J. (2007). Parenting programmes: A systematic review and 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3(6), 784-793. https://doi.org/10.1111/j.1365-2214.2007.00750.x
  44. Lincoln, N. D., Travers, C., Acker, P., & Wilkinson, A. (2002). The meaning of empowerment: The interdiscipnary etymology of a new management concept.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 4(3), 271-290. https://doi.org/10.1111/1468-2370.00087
  45. Marquardt, M. J. (2004). Optimizing the power of action learning: Solving problems and building leaders in real time. Palo Alto, CA: Davies-Black Publishing.
  46. McGill, I., & Beaty, L. (2002). Action Learning, A Guide for Professional, Management and Educational Development. London: Kogan Page Limited.
  47. Miley, K. K., O'Melia M., & Du Boris, D. L. (1995). Strengths, Empowerment and Competence. In K. K. Miley, M. O'Melia, & D. L. Du Boris (Eds.).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An Empowering Approach (pp. 401-425). Boston, MA: Allyn & Bacon.
  48. Miley, K. K., O'Melia, K. M., & Du Boris, P. L. (2004).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An empowering Approach (4th ed.)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49. Parsons, R. (1991). Empowerment: Purpose and Practice Principle in Social Work. Social Work with Groups, 42(2), 7-21.
  50. Parsons, R. (1999). Assess helping process and client outcomes in empowerment practice. In W. Shera & L. M. Wells (Eds.), Empowerment Practice in Social Work (pp. 390-417). Toronto: Canadian Scholars' Press.
  51. Rappaport, J. (1985). The power of empowerment language. Social Policy, 16(2), 15-21.
  52. Revans, R. (1978). ABC of action learning. London, England: Lemos & Crane.
  53. Revans, R. (1980). Action Learning: New Techniques for Management. London: Blond and Briggs.
  54. Robinson, H. B., Roedell, W. C., & Jackson, N. E. (1979).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In A. H. Passow (Ed.), The gifted and the talented: Their education and development. (pp. 138-154). The seventy-eigh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 I.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5. Rohrmann, S., & Rphrmann, T. (2005). Hochbegabte Kind und Jugendiche. Muenchen, Basel:Ernst Reinhardt verlag.
  56. Shulz, A. J., Israel, B. A., Zimmerman, M. A., & Checkoway, B. N. (1995). Empowerment as a multi-levels. Health Education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10, 309-327. https://doi.org/10.1093/her/10.3.309
  57. Sidney, M. M. (2004). 사회적 및 정서적 문제, 미성취, 상담. 영재교육필독시리즈. [문은식, 송의열, 최지영, 송영명,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2004).
  58. Silverman, L. K. (1997). Family counseling with the gifted.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2nd ed, pp. 307-320). Boston: Alley & Bacon.
  59. Spence, J. (1998). Practice application brief: Action learning for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Electronic version]. (Developed with funding from the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National Library of Education, U.S. Department of Education.
  60. Staples, L. H. (1990). Powerful ideas about empowerment. Social Work, 17, 29-41.
  61. Vincent, C. (1996). Parent empowerment? Collective action and inaction in education. Oxford Review of Education, 22, 465-482. https://doi.org/10.1080/0305498960220407
  62. Willimann, A. J., & Holing, H. (2004). Hochbegabtenberating in der Praxis. gottingen: Hogre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