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실습교육환경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2초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A Focus Group Interview(FGI) on Experience During Clinical Fieldwork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 강진호;남영옥;오명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99-309
    • /
    • 2019
  • 본 연구는 작업치료과 학생들이 임상실습 동안 경험한 것을 알아보기 위해 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 5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심리적 경험, 전문적 경험, 환경적 경험, 가치관의 변화, 행동적 변화이었다. 심리적 경험으로 참여자들은 부정적 측면에서 부담감과 불안을 경험하였으며 긍정적 측면에서는 기대감과 설렘을 경험하였다. 전문적 경험으로는 이론과 임상을 연계에 대해 경험하였으며, 작업치료에 대한 전문적 지식 및 환자를 접해보는 경험을 하였다. 환경적 경험으로는 다양한 치료 접근을 경험하였고, 임상실습 지도 관리 체계 등을 경험하였다. 또한 임상실습을 통해 가치관의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행동적 변화를 경험하여 임상실습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에서는 전공에 대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론적 지식의 적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임상기관에서는 효율적 임상실습을 위해 학생중심의 실습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최적의 실습환경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학과 선택, 임상실습, 학과 교육 과정과 전공 선택 만족도의 융복합형 관련성 (The Convergence Relevance of The Department of Radiology students' Selection of Department, Clinical Practice, Curriculum of Department and The Selection Satisfaction of Major)

  • 최선욱;전민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21-129
    • /
    • 2018
  • 본 연구는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평가하였다. 방사선학과 학생 1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과 선택 중 선호성과 현재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에서는 실습환경, 실습지도, 실습시간과 평가, 실습 후 만족도, 취업과의 연계성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과 교육 과정 요인에서는 교육 과정 구성, 교수 학습 및 평가, 지원 시설, 학제 만족, 교육 과정 만족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전공 선택 만족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 개발과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치과위생사 업무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Training According to Dental Hygienist Duties)

  • 박일순;이선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95-302
    • /
    • 2007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와 주요 업무에 대한 만족도를 구체적으로 조사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임상실습과정을 경험한 치위생과 23학년 재학생 4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로 분석하였고 t-검정, One-way ANOVA 그리고 ${\chi}^2$-검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상실습 만족도는 3.34로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와 임상실습 경험에 대한 업무별 만족도 역시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습 내용의 전문성에 대한 만족도 중 실습 내용이 단순한 보조 업무라고 인식하는 학생이 44.9%로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기간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적당하다고 인식하는 학생이 60%로 높게 나타났으며, 치과위생사 역할에 대한 만족도는 3.48로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의료기관은 실습생들에게 단순 보조역할만 요구할 것이 아니라 학습한 이론을 실습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실습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교육기관과의 협조 하에 치과위생사의 업무분야를 구분한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학생들이 임상실습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임상에 대한 지식과 업무에 대한 자신감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PDF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별 임상실습스트레스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stress of nursing students in an area)

  • 성은옥;남현아
    •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26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성격유형별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추후 학생상담 방향 설정 및 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임상실습을 하고 있는 일 지역 간호학과 3, 4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에니어그램영성연구소에서 개발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검사지와 임상실습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SPSS 25.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9개 유형 중 2유형이 47.66%, 힘 중심영역은 감정형 영역이 64.84%로 가장 많았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정도는 스트레스 하부 영역 중 실습교육환경은 6유형,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모델은 4유형, 실습업무부담과 대인관계갈등은 5유형, 환자와의 갈등은 4유형에서 높았다. 에니어그램 힘중심 영역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정도는 사고형이 실습교육환경과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 모델, 실습업무부담, 대인관계 영역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환자와의 갈등영역은 감정형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다양하고, 성격유형별 힘 중심영역별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 분석을 통한 학생 상담과 지도가 필요하다.

코로나19로 인한 융합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Core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onvergence Practice due to COVID-19)

  • 임선영;맹수연;김정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54-62
    • /
    • 2022
  • 본 연구는 융합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역량의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고, U 광역시 소재 간호대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으로 t-검정, ANOVA,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핵심간호역량,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만족도, 학습성과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3.99점, 3.71점, 4.11점, 4.25점이었다. 간호대학생들의 핵심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성과였으며 핵심간호역량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29%이었다. 학습만족도는 핵심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통해 임상실습현장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간호행위를 관찰하거나 시행할 수 있는 아닌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교육환경 및 프로그램 개발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교육환경 및 임상실습 평가에 대한 명확하고 체계적인 기준이 필요하고 실습이 다양해짐에 따라 임상실습에 대한 체계적인 표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병원실습 만족도와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Stress Factors of Clinical Practice for Dental Hygiene Students)

  • 유자혜;김정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2-69
    • /
    • 2016
  • 이번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와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임상실습만족도와 스트레스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2012년 5월 21일부터 6월 22일까지 병원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치위생(학)과 학생 2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스트레스 요인은 학제별로 환경요인, 역할요인, 대인관계요인, 이상과 가치 요인, BEPSI 모든 요인이 4년제보다 3년제에서 높았고(p<0.01), 실습만족도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불만족일 때 모든 요인이 높았으며, 그 중 환경요인이 가장 높았다(p<0.001). 교육기관에 따라 환경요인은 치과대학병원이 가장 높았고, 대인관계요인과 이상과 가치요인은 치과병원, 역할요인과 BEPSI는 치과의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병원분위기가 나쁠 때 환경요인이 가장 높았고, 역할요인, 대인관계요인, 이상과 가치요인, BEPSI순이었다(p<0.001). 병원실습 스트레스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습만족도, 환경, 역할, 대인관계, 이상과 가치, BEPSI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p<0.01), BEPSI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스트레스 요인은 대인관계였으며, 환경, 이상과 가치 순으로 나타났다(p<0.001). 임상실습에서 낯선 환경과 대인관계의 부족으로 학생들은 평소보다 스트레스 지수가 더 높을 수 있으므로 학생들이 스트레스에 대해 스스로 잘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체계적인 임상실습 운영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선학과 학생이 교외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ss Factors Radiology Students Experience During Outdoor Clinical Training)

  • 김정훈;강세식;김창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3호
    • /
    • pp.201-208
    • /
    • 2013
  • 방사선(학)과 학생들이 임상실습 시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교육과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부산 경남 지역 5개 대학 방사선학과 학생들 중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가지 스트레스 항목 중 환경요인이 가장 높은 스트레스 원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이상과 가치, 역할 및 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에서 느끼는 스트레스보다 임상실습 시 느끼는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인다면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은 물론 임상실습의 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 지방 간호대학생의 수도권 대학병원 임상실습 경험 (Clinical Practicum Experiences of Local Nursing College Studentsat a University Hospita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조현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651-661
    • /
    • 2021
  • 본 연구는 일 지방 간호대학생이 수도권 대학병원에서 임상실습을 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를 간호대학생의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하는 간호대학 4학년 12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면담 질문지를 사용하여 2017년 9월 29일부터 10월 12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3개의 범주와 9개의 주제묶음으로 나타났다. '질 높은 실습교육'의 범주에는 '수도권 대학병원 실습에 대한 기대감', '체계적인 실습교육에 대한 만족감', '진로결정에 구체적 기준설정 기회'로 나타났다. '독립된 사회생활의 경험'은 '일상에서 벗어난 자유로움', '혼자 해결해야 함', '주위 인간관계의 소중함을 깨달음'이며 '체계적 실습생 지원 부족'은 '정보부족으로 인한 실습준비의 어려움', '경제적 지원 부족',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생활환경에 대한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일 지방 간호대학생이 수도권 대학병원에서 어떤 임상실습을 경험하는가를 파악하여 양질의 임상실습 교육환경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to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field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심선주;백하영;엄정선;정하얀;지혜미;황시내;한지혜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2-30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취지를 밝히고 설문내용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치위생(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을 경험한 3학년, 4학년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2016년 4월 7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특성 5문항, 실습병원의 특성 4문항, 전공만족도는 7문항, 병원특성 및 전공만족도는 12문항 총 2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방법을 계획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현장임상실습 만족 여부는 학과 내 교수님들과의 소통 정도가 높을수록, 선후배 간의 소통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교에 대한 적응 정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2. 실습병원 특성과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는 현장 임상실습의 주 당 실습시간이 적절했다고 대답할수록, 실습생들과 직원들과의 친밀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현장임상실습의 총 실습 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전공과목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학과 실습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교과목 편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결론: 치위생(학)과에서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전공지식 습득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현장임상실습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공만족도와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를 모두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전공교과목 편성과 교육방법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무례함, 소진, 대처와 임상실습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Incivility, Burnout, Coping and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 김종근;유장학;천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16-32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임상현장에서 간호대학생들이 경험하는 무례함, 소진, 대처와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대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무례함, 소진, 대처와 임상실습만족도와 관련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평균나이는 21.5세이었으며, 무례함, 소진, 대처 및 임상실습만족도 평균점수는 5점 척도 중 각각 1.18, 3.41, 2.48, 그리고 3.30이었다. 연구 결과, 무례함, 소진, 대처는 서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무례함과 임상실습만족도, 소진과 임상실습만족도는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대처와 임상실습만족도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처, 무례함, 소진이었고, 그 설명력은 26.6% (F=9.868, p<.001) 이었다. 이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요인과 관련하여 임상현장에서의 대인관계 역량강화 및 임상실습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처방안이나 지지체계 등의 준비된 실습환경조성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임상 현장과의 다각적 협력과 다양한 간호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