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actors to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field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

  • Sim, Seon-Ju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aekseok University) ;
  • Baek, Ha-Ou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aekseok University) ;
  • Um, Jung-S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aekseok University) ;
  • Jung, Ha-Ya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aekseok University) ;
  • Ji, Hey Mi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aekseok University) ;
  • Hwang, Si-Na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aekseok University) ;
  • Han, Ji-Hey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aekseok University)
  • 심선주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 백하영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 엄정선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 정하얀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 지혜미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 황시내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 한지혜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7.10.05
  • Accepted : 2017.10.13
  • Published : 2017.10.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is to study the factors to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field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field practices for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filled out by 108 dental hygiene students in C city.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to major, and satisfaction to field clinical practice. The data was analyzed by chi-square statistics using SPSS 20.0 program. Results: The higher satisfaction to communication with professor or seniors in department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r satisfaction to field clinical practice (p<0.05). The higher satisfaction to field clinical practice hours per week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r satisfaction to field clinical practice (p<0.05). The higher interest to major subjects and the satisfaction to the laboratory environ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er satisfaction to field clinical practice (p<0.05). Conclusions: The higher satisfaction to major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r satisfaction to field clinical practice. Therefore, the systematic curriculum development is need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linical practic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취지를 밝히고 설문내용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치위생(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을 경험한 3학년, 4학년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2016년 4월 7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특성 5문항, 실습병원의 특성 4문항, 전공만족도는 7문항, 병원특성 및 전공만족도는 12문항 총 2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방법을 계획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현장임상실습 만족 여부는 학과 내 교수님들과의 소통 정도가 높을수록, 선후배 간의 소통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교에 대한 적응 정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2. 실습병원 특성과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는 현장 임상실습의 주 당 실습시간이 적절했다고 대답할수록, 실습생들과 직원들과의 친밀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현장임상실습의 총 실습 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전공과목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학과 실습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교과목 편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결론: 치위생(학)과에서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전공지식 습득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현장임상실습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공만족도와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를 모두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전공교과목 편성과 교육방법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