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사-제어된

Search Result 33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장주기 샘풀링을 갖는 자율무인잠수정의 의사 슬라이딩모드 제어

  • Lee, Pan-Muk;Jeon, Bong-Hwan;Hong, Seok-Won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2 no.2 s.28
    • /
    • pp.130-138
    • /
    • 1998
  • 본 논문은 AUV의 수직면 운동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의사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이용한 모델링 기법과 제어기 설계법에 관한 것으로서, 샘플링 간격이 길어지는 경우에도 시스템의 강인성이 확보되며 심도 제어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실용성을 실험과 수치 해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제어기는 참고문헌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한국기계연구원 선박해양공학연구센터(KRISO)에서 개발한 VORAM호를 제어 대상 AUV로 선정하였다. PMM 시험으로 얻어진 운동 계수를 이용하여 수치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KRISO의 장수조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 해석과 실험 결과로부터 샘플링이 길어짐에 따라 의사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는 연속계에 대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채터링 및 불안정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시스템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불확실성에 대하여 강인한 제어 성능을 보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수치 해석과 실험 결과를 근거로 의사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의 설계를 위한 제어 변수의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Effects of Situation Awareness and Decision Making on Safety, Workload and Trust in Autonomous Vehicle Take-over Situations (자율주행 자동차의 제어권 전환상황에서 상황인식 및 의사결정 정보 제공이 운전자에게 미치는 영향)

  • Kim, Jihyun;Lee, Kahyun;Byun, Youngsi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14 no.2
    • /
    • pp.21-29
    • /
    • 2019
  • Take-over requests in semi-autonomous cars must be handled properly in the case of road obstacles or curved roads in order to avoid accidents. In these situations, situation awareness and appropriate decision making are essential for distracted drivers. This study used a driving simulator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auditory-visual information systems that affect safety, workload, and trust. Auditory information consisted of either voice guidance providing situation awareness for the take-over or a beep sound that only alerted the driver. Visual information consisted of either a screen showing how to maneuver the vehicle or only an icon indicating a take-over situation. By providing auditory information that increased situation awareness and visual information that aided decision making, trust and safety increased, while workload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s of situation awareness and decision making ability affect trust, safety, and workload for driver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Upper Intelligent Control System using the Object Oriented Method (객체 지향 방법론을 이용한 상위 지능형 제어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Bong-Kuk;Hwang, Jae-Ki;Shin, Yong-Ha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1c
    • /
    • pp.123-126
    • /
    • 2001
  • 종합적인 공정 제어 자동화 시스템 구현을 위해 계층적이고 개방형 방식에 의한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위 계층 시스템은 하위 계층 제어 시스템의 제어기 설정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의사결정(Decision Making)방법을 도입하여 하위 계층 시스템과 연계하여 계층적인 종합 공정 제어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위 계층 시스템 구현을 위해 신경회로망 방식을 채택한 상위 지능형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여 연속형 프로세스의 최적 의사 결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를 실현화 하는데 있어 UML방식의 객체지향 설계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시스템의 재 사용성 및 확장성을 가지는 개방형 상위 의사 결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수처리 연속 공정인 약품주입 공정에 적용하였다.

  • PDF

Nonlinear control of o power system using a pseudo output (의사출력을 사용한 전의계통의 비선형제어)

  • Lee, Do-Kwan;Yoon,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7.07c
    • /
    • pp.907-910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특성을 갖는 전력계통의 안정화를 위해 궤환선형화 제어기법을 도입한다. 전압제어와 동시에 발전기의 동기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의사출력의 사용을 제안하고, 제어계통의 내부안정도를 보인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제어기의 개선된 성능을 확인한다.

  • PDF

로봇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한 정서 생성 기술 및 동향 소개

  • Lee, Won-Hyeong;Jeong, Myeong-Jin
    • ICROS
    • /
    • v.20 no.2
    • /
    • pp.20-30
    • /
    • 2014
  • 서비스 로봇의 성장으로 사람의 정신적, 정서적 보조 역할을 하는 사회적 로봇 개발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로봇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한 정서 생성 기술의 심리학적 이론 배경을 설명한다. 이와 함께, 로봇에 적용된 기존의 정서 생성 연구를 소개하고, 학회와 저널을 통해 발표된 최근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Average-Current-Mode Control of Pseudo-Continuous Current Mode BUCK-BOOST Type Solar Array Regulator (의사-연속전류모드 벅-부스트 형 태양전력 조절기의 평균전류모드제어)

  • Yang, JeongHwan;Yun, SeokTeak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7 no.2
    • /
    • pp.72-75
    • /
    • 2012
  • A solar array makes a Solar Array Regulator (SAR) for Low-Earth-Orbit satellite have different small signal characteristic. Therefore, an Average-Current-Mode (ACM) controller cannot control the BUCK-BOOST type SAR which operates in a current region of the solar array.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Pseudo-Continuous Current Mode (PCCM) BUCK-BOOST Type SAR which can be controller by the ACM Controller. We explain the circuit operation of the PCCM BUCK-BOOST Type SAR, derive its small signal transfer function and design ACM Controller. Finally, we verify the ACM control of the PCCM BUCK-BOOST Type SAR by using a simulation.

Development of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Facial Muscle Signal and Minimum List Keyboard (안면근 신호를 이용한 최소 자판 문자 입력 시스템의 개발)

  • Kim, Hong-Hyun;Kim, Eung-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6
    • /
    • pp.1338-1344
    • /
    • 2010
  • A person does communication between each other using language. But In the case of disabled person can not communication own idea to use writing and gesture. Therefore, In this paper, we embodie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facial muscle signals so that disabled person can do communication. Especially, After feature extraction of the EEG included facial muscle, it is converted the facial muscle into control signal, and then select character and communication using a minimum list keyboard.

Development of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Facial Muscle Signal and Minimum List Keyboard (안면근 신호를 이용한 최소 자판 문자 입력 시스템의 개발)

  • Kim, Hong-Hyun;Park, Hyun-Seok;Kim, E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289-292
    • /
    • 2009
  • A person does communication between each other using language. But In the case of disabled person can not communication own idea to use writing and gesture. Therefore, In this paper, we embodie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facial muscle signals so that disabled person can do communication. Especially, After feature extraction of the EEG included facial muscle, it is converted the facial muscle into control signal, and then select character and communicate using a minimum list keyboard.

  • PDF

Expert System for Tomato Smart Farm Using Decision Tree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토마토 스마트팜 전문가시스템)

  • Nam, Youn-man;Lee, In-yong;Baek, Woon-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27-30
    • /
    • 2018
  • We design an expert system for tomato smart farm using decision trees and construct a control system with decision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farmers by using the data generated by factors that vary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each house. At present, Smart farm's control system does not control itself like the way farmers have done so far. Therefore, the dependency of smart farm control system is still not high. Direct intervention by farmers is indispensable for environmental control based on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sensor value in smart farm. Therefore, we aimed to design a controller that incorporates decision trees into the expert system to make a system similar to the decision making of farmers. Prior to controlling the equipment in the house, it automatically selects the most direct effect among th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n builds an expert system for complex control by including criteria for decision making by farmers. This study focused on deriving results using data without using heavy tools. Data is coming out of many smart farms at present. We expect this to be a standard for a methodology that allows farmers to access quickly and easily and reduce direct interven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