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료기관 종사자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6초

의료기관인증제도가 서비스가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on Job Satisfaction, Service Valu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최동춘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2호
    • /
    • pp.17-28
    • /
    • 2021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서비스가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의료기관 인증제도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지각하는 서비스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의료기관 인증제도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지각하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의료기관의 서비스가치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서적 소진,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by Burnout in The Hospital Employees)

  • 송경진;이정원
    • 서비스연구
    • /
    • 제12권3호
    • /
    • pp.26-44
    • /
    • 2022
  • 업무 중 경험하게 되는 직무스트레스는 성과 향상 등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소화기 질환 등 다양한 신체 질병을 유발하고 우울증, 신경 질환 등 정신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환자의 건강과 밀접히 관련된 일을 하는 의료기관 종사자는 타 직업군 근로자에 비해 직무스트레스의 정도가 높기 때문에 그 위험성이 더욱 크다. 직무스트레스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정서적 소진과 우울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는 개인과 조직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반드시 올바른 관리를 통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정서적 소진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자가 보고식 설문 조사법을 이용하여 서술적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총 298부의 유효 설문지를 통계분석 자료로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코딩 과정을 거쳐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 및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서적 소진과 우울에 일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기관 종사자의 정서적 소진이 우울에 일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적 소진, 우울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적 소진이 매개변수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근로자의 정신건강과 신체 건강을 위협하고 의료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유발하는 등 조직적 측면의 악영향 등을 일으킨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조직적 측면에서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의료기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Workers)

  • 이선경;성정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71-277
    • /
    • 2013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이직의도 수준을 파악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179명의 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연령과 교육수준, 경력관리와 조직몰입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의료기관의 다양한 경력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무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장몰입을 위한 직종별 상사의 바람직한 리더십 행태 (Ideal types of Leadership of different supervisors for medical practitioners' dedication to their jobs)

  • 공태현;한용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1호
    • /
    • pp.153-171
    • /
    • 2013
  • 본 연구는 부산지역 소재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근무 중인 663명의 의료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체 연구대상자에서는 상사의 리더십 행태가 서번트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인 경우에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장몰입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상사의 리더십을 리더십 행태별로 살펴본 결과, 상사에 대한 리더십 행태의 인식은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순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리더십 행태가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직종별로 살펴본 결과, 상사의 리더십 행태가 간호사 직종은 변혁적 리더십인 경우에, 의료기사 직종은 서번트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인 경우에, 사무행정 직종은 서번트 리더십인 경우에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변수 통제유무와 관계없이 직장몰입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wareness Level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Health Care Workers)

  • 홍주연;김환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647-659
    • /
    • 2019
  • 본 연구는 환자의료정보 보호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도 및 실천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의료 기관의 의료정보 보호의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기간 및 대상은 2019년 6월 17일부터 8월 16일까지 전라남·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의료 기관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조사는 연구자가 직접 조사 대상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하였다. 환자의료정보 직접 접촉영역 측정도구는 총 5문항, 환자의료정보 관리영역은 총 14문항, 의사소통영역은 총 8문항이었다. 연구결과, 의료기관 종사자의 영역별 환자 의료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는 의사소통 영역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환자 의료정보 관리영역 의료 정보 직접접촉 영역 순이었다. 환자의료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도과 실천에 관련이 있었던 변수는 의료기관 유형, 직무만족도, 종교, 근무부서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환자의료정보관리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환자의료정보 직접 접촉영역과 의사소통영역을 독립변인으로 환자의료정보관리 영역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자의료정보 직접 접촉 영역과 의사소통영역이 높을수록 환자의료정보관리 영역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의료 정보 보안 및 보호 행위에 대한 인식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직종별, 직무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내부감사 형태의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지속적인 교육을 실행하여 환자 의료정보 침해 환경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고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국내 병원 종사자들의 보안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spital Worker's Security Stress)

  • 현승훈;이창무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1-49
    • /
    • 2016
  •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산화된 의료정보의 유출 및 보호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더불어 정부에서도 의료기관의 정보보호를 위해 제도적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관의 정보보호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들은 자칫 의료기관 종사자들에게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나아가 의료기관의 본질인 의료서비스의 질 하락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기관이 관리하는 정보의 보호를 강화함에 있어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보안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및 그 선행요인들에 대해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보안스트레스와 보안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업무 과중, 프라이버시 침해 그리고 업무 불확실성이라는 변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병원 종사자들 123명의 데이터를 수집, SPSS 21.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업무 과중, 프라이버시 침해, 그리고 업무 불확실성의 일부는 보안 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산지역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Research on Job Stress of Hospital Workers in Busan)

  • 정용모;장효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41-251
    • /
    • 2010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와 직무스트레스에 스트레스 측정영역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9개 의료기관(종합병원 2개, 병원 7개) 종사자 475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종사자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 측정영역은 직무요구이었으며, 가장 낮은 영향영역은 직장문화이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한국인 참고치와 비교시 남성은 직무요구 영역, 여성은 직무불안정 영역이 상위 50% 범주에 해당되었다. 본 연구결과 의료기관 의 조직관리는 종사자특성에 따라 스트레스 요소를 고려하여야 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의료기관 종사자의 에이즈 환자 관리 요령

  • 오향순
    • 레드리본
    • /
    • 통권42호
    • /
    • pp.38-39
    • /
    • 2001
  • 의료기관은 의료기관종사자에 대한 적절한 교육을 실시하고, 또한 안전장비의 사용, 보호장비의 사용 등과 같이 그들이 직무 중 감염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히 보호하는 것과, 감염위험에 노출되었을 때 감염예방을 위한 충분한 조치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 PDF

의료기관 방사선작업종사자들의 방사선/능 방어에 대한 인식도 및 수행도 분석: 부산지역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Radiation Workers' Radiation/Radioactivity Protection in Medical Institutions: Focused on Busan Regional Medical Institutions)

  • 박철구;황철환;김동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1호
    • /
    • pp.101-108
    • /
    • 2017
  •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방사선작업종사자들의 방사선/능 방어에 대한 안전관리 인식과 행동조사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작업종사자 2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40대, 50대 그룹과, 고학력 그룹에서 방사선 안전관리 인식도와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에 따른 분석은 "매우 잘 알고 있다" 그룹에서 인식도와 수행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안전관리 노력 정도에 따른 분석은 "다양한 교육을 받거나 책을 통해 안전관리 내용을 공부하고 있다" 그룹에서 높은 인식척도와 수행척도를 나타냈다. 하부요인들간 상관관계의 경우 종사자 개인측면의 인식도와 환자 및 환자보호자 측면의 인식도에서 가장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따라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작업종사자들의 다양한 경로를 통한 지속적인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습득을 통해 종사자 및 환자 그리고 환자보호자에 대한 방사선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