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wareness Level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Health Care Workers

  • 홍주연 (광주대학교 보건행정학부) ;
  • 김환희 (광주대학교 보건행정학부)
  • Hong, Ju-You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Gwangju University) ;
  • Kim, Hwan-Hui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Gwangju University)
  • 투고 : 2019.11.22
  • 심사 : 2019.12.27
  • 발행 : 2019.12.31

초록

본 연구는 환자의료정보 보호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도 및 실천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의료 기관의 의료정보 보호의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기간 및 대상은 2019년 6월 17일부터 8월 16일까지 전라남·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의료 기관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조사는 연구자가 직접 조사 대상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하였다. 환자의료정보 직접 접촉영역 측정도구는 총 5문항, 환자의료정보 관리영역은 총 14문항, 의사소통영역은 총 8문항이었다. 연구결과, 의료기관 종사자의 영역별 환자 의료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는 의사소통 영역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환자 의료정보 관리영역 의료 정보 직접접촉 영역 순이었다. 환자의료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도과 실천에 관련이 있었던 변수는 의료기관 유형, 직무만족도, 종교, 근무부서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환자의료정보관리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환자의료정보 직접 접촉영역과 의사소통영역을 독립변인으로 환자의료정보관리 영역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자의료정보 직접 접촉 영역과 의사소통영역이 높을수록 환자의료정보관리 영역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의료 정보 보안 및 보호 행위에 대한 인식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직종별, 직무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내부감사 형태의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지속적인 교육을 실행하여 환자 의료정보 침해 환경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고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health care workers on the protection of patient health information and their practice of it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policy setting of health care institutions abou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s a result, the awareness of the health care workers on the protection of patient health information and their practice of it were both the best in the communication area, followed by the patient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rea and the area of direct contact with health information. As for the variables linked to their awareness and practice of patient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the type of the health care institutions, job satisfaction, religion and the departments in which they worke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etermine what factors affected the patient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rea,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electing the area of direct contact with patient health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area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by selecting the patient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rea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t's found that the patient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rea became better when the area of direct contact with the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area were better.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광주대학교의 2019학년도 학술연구 조성비를 지원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