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치원 교육

Search Result 44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Comparison of Mathematical Contents and Proces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U.S. (한국과 미국의 유치원 수학교육의 내용과 과정에 관한 비교)

  • Kye, Young-Hee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3 no.2
    • /
    • pp.123-140
    • /
    • 2010
  • In general,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is conducted and opera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Moreover,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pproached and conducted by an U.S. NCTM. So, it is meaningful to compare American and Korea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Therefore, I has studied how those points of view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are instituted in the curriculums respective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inciples of NCTM(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 content standards and process standards. I hope the finding of this study would reflect to the 7th Korea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including learning and curriculum constitution.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Early Childhood SW·AI Education Based on Actual Condition Survey of Kindergarten SW·AI Education (유치원 SW·AI 교육 실태조사를 기초로 한 유아 SW·AI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Pyun, Youngshi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6
    • /
    • pp.93-9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SW·AI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 survey on SW·AI education in kindergarten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94 kindergarten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distribution, and it was found that 44% of kindergartens are conducting SW·AI education. 22% are conducting SW·AI education in the form of regular curriculum, and 70% are conducting SW·AI education in the form of special activities after school. SW·AI education was found to be conducted mainly by external instructors (97%) in the classroom (80%). For SW·AI education, block coding-based programs developed by companies such as Naver and the Clova were used, and all of these programs used programs and teaching aids in a package format, including teaching aids and materials developed by companies. 56% answered that they are not currently conducting SW/AI education, and lack of awareness on SW·AI education and lack of human/environmental infrastructure were the main factors. In order to realize SW·AI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is survey, First, SW·AI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develop play-centered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Second, systematic teacher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conducted. Finally, the establishment of a department dedicated to early childhood SW·AI consist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SW·AI education experts and financial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provided.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활동중심 수학교육의 실천 방안 모색

  • Kim, Chang-B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1-19
    • /
    • 2001
  •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은 그들의 발달특성과 학습의 효율성 측면을 고려할 때, 일상생활 경험과 놀이 활동 등을 이용한 활동중심 교육방법으로 상호 연계성있게 수학을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수학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 면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간에 얼마나 연계되어 있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육과정 간에는 수학교육의 방향 및 목표, 내용 영역, 교수학습 방법, 평가 면에서 대체로 높은 연계성을 보였다. 그러나 교과 편제나 명칭, 세부적인 내용 구성에서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과정 상에서의 연계 실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실제 수학 교육 활동측면에서의 실천 방안으로서 활동중심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수학 영역 설치를 통한 개별화 교육의 실천, 가정과의 협력 방안 등을 제시해 보았다.

  • PDF

Study about Multimedia Education for Young Children's Teacher by using Flipped Learning (유아교사 대상 플립러닝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

  • Ha, Y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207-20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학습 능력 향상 및 소프트웨어 활용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립러닝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최신 멀티미디어의 특성을 잘 활용한 교수자의 강의 보다는 플립러닝을 위한 참여자 위주의 수업을 진행한다. 새롭게 등장하는 멀티미디어 기술을 접해야 하는 과목의 특성과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를 양성해야하는 유치원 교사의 역할을 접목하여 미래 사회를 이끄는 유아들에게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큰 의의를 둔다. 유치원 교사들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수매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최신 미디어 기술을 수업에 적극 활용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흐름에 맞는 교과과정을 운영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을 양성하는데 있어서 미디어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고 이를 교과과정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플립러닝을 활용한 교육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NCS Multimedia Applications of Young Child's Teachers (NCS 기반 유치원 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

  • Ha, Y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173-17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행정 업무 및 교육에서 활용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알알아보고 이에 대한 활동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유치원 교사들은 컴퓨터를 전공하지 않았고 많은 업무로 인하여 컴퓨터의 고급 기능을 섭렵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새로운 소프트웨어들의 등장이나 업무에서 활용이 높은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필수 기능 및 업무 위주로 교육과정을 편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업무를 분류하고 이에 대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NCS 기반 교육목표 및 수행준거를 제시하고자한다.

  • PDF

The Problem and Solu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indergarten (유치원 수학 교육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책)

  • 김영기;구소희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 no.1
    • /
    • pp.27-3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mathematic education of Korean Kindergarten, to search for the solution of the problem in korean Kindergarten. In particular, materials are mostly made and used by the teachers themselves, consuming too much time. Mathematics education materials available in Kindergartens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The reasons were the lack of effort by teachers to develop new materials as well as the lack of marketed materials.

  • PDF

Analysis of the Continuity between Science Education Contents Presented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과학교육 내용의 연계성 분석)

  • Kim, Juhee;Kang, Eunju;Park, Jongho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0 no.3
    • /
    • pp.295-310
    • /
    • 2021
  • For the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continuity of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is essential. However, research on the continu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is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analysis of the continuity between the science-related learning content presented in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2015 science curriculum was organized into 14 small sections, and the cor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were presented as correspondenc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lassify learning contents presented only in kindergarten, learning contents presented only in elementary schools, and learning contents showing a clea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implications for the continuity between the science curriculum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 Network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ransitions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2009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Guidebooks for Kindergarten and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the Age of 3-5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 Nam, Mi Kyoung;Yoon, Gab Jung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1 no.4
    • /
    • pp.189-210
    • /
    • 2015
  • This study's aim was to find a patterns of network dynamics focu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within the teacher's guide books which are based o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t was analysed that the 43 guidebooks(2009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guidebooks for kindergarten, 11 and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the age of 3-5, 32) were analysed using the UCINET 6 program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framework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contents' density is connected to life theme of the Nuri curriculum was higher than the 2009 kindergarten curriculum. And life theme with high connectivity was 'I and my family' in the 2009 kindergarten curriculum and 'animals, plants and nature'(3 years old), 'kindergarten and friends' & 'I and my family'(4-5 years old) in the Nuri curriculum. Second, the highest connection content was 'having interests in culture' & 'kno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2009 kindergarten curriculum, and 'having interests in culture' & 'promoting a sense of community' in the Nuri curriculum. Finally,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transition was changed from 'identity' to 'interaction and cooperation'. It means that the Nuri curriculum is more focused on international knowledges and competencies as a world citizen. It suggests the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 장윤경;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157-161
    • /
    • 2023
  • 현대 사회가 급변하면서 가족 구조와 형태가 다양해지고, 여성의 경제 활동과 맞벌이 부부가 증가함에 따라 영유아 대상 돌봄에 대한 요구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보육기관 증설 및 운영 시간 연장 등으로 보육의 공공성을 강화해 나가는 것에 반해, 유아 교육기관의 질과 영유아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 교사의 근무 여건 개선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유치원 교사는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이고, 무조건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긴 근무 시간, 저임금, 학부모의 지나친 요구, 부진한 복지제도 등의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마음챙김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여 유치원 교사들이 흔히 겪을 수 있는 일반적인 어려움을 예상해보고 그 요인을 찾아 분석함으로서 유치원 교사의 스트레스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지원 방안 및 유치원 교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척도(MTOSFQ), 심치적 소진척도(MBI), 자기자비척도(K-SCS), 마음챙김척도(FFMQ)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한 후 SPSS v22,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선형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