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Network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ransitions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2009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Guidebooks for Kindergarten and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the Age of 3-5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 남미경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윤갑정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5.06.15
  • Accepted : 2015.07.25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This study's aim was to find a patterns of network dynamics focu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within the teacher's guide books which are based o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t was analysed that the 43 guidebooks(2009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guidebooks for kindergarten, 11 and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the age of 3-5, 32) were analysed using the UCINET 6 program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framework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contents' density is connected to life theme of the Nuri curriculum was higher than the 2009 kindergarten curriculum. And life theme with high connectivity was 'I and my family' in the 2009 kindergarten curriculum and 'animals, plants and nature'(3 years old), 'kindergarten and friends' & 'I and my family'(4-5 years old) in the Nuri curriculum. Second, the highest connection content was 'having interests in culture' & 'kno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2009 kindergarten curriculum, and 'having interests in culture' & 'promoting a sense of community' in the Nuri curriculum. Finally,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transition was changed from 'identity' to 'interaction and cooperation'. It means that the Nuri curriculum is more focused on international knowledges and competencies as a world citizen. It suggests the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범주를 토대로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 11권과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 총 43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 연령별 생활주제에 연결되어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의 밀도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비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가 높았다. 다문화교육 내용들과 연결성이 높은 생활주제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3, 4, 5세는 모두 '나와 가족'으로 '정체성 형성'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3세는 '동식물과 자연', 4, 5세는 '유치원과 친구', '나와 가족'이 '상호작용 및 협동'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의 하위요소 간 연결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문화에 관심 갖기', '유사점과 차이점 알기' 순이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는 '문화에 관심 갖기',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매개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다양성 이해하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와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은 '정체성'에서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현재 누리과정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이 세계시민으로서의 국제적 소양과 역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 유아다문화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견주연, 하은실, 정계숙 (2012). 유아 교실 내 다문화교육 수행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제. 아동학회지, 33(3), 177-197. https://doi.org/10.5723/KJCS.2012.33.3.177
  2. 고재창 (201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기술경영연구 동향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공민정, 김승희 (2015).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누리과정에 기초한 다문화교육의 실태.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87-111.
  4. 교육과학기술부 (2008). 종일반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유아 세계시민교육 활동자료.
  5. 교육과학기술부 (2009a).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 1 총론.
  6. 교육과학기술부 (2009b). 유치원 지도서 10 세계 여러 나라.
  7. 교육과학기술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9 세계 여러 나라.
  8.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9. 교육부 (2014). 2014년 다문화 교육 215억원 지원.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5949441&call_from=extlink에서 2015년 6월 5일 인출.
  10. 김숙자, 김현정, 장윤정 (2008).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유아 인권 관련 내용분석: 유아 인권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I.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259-283.
  11. 김숙자, 박세영 (201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307-334.
  12. 김숙자, 장갑희(201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4(1), 349-373.
  13. 김영옥 (1998). 반편견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 반편견 교육과정을 통한 인간교육. 제12회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 학술대회 자료집(PP.65-98), 한국어린이육영회.
  14. 김영옥 (2007). 다문화 사회의 유아교육과정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3), 45-68.
  15. 김용학 (2011). 사회연결망분석. 서울: 박영사.
  16. 김은영, 문무경, 김문희, 박수연 (2010). 다문화 가정 영유아 지원 효율화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0-04.
  17. 김혜숙 (2008). 어린이집 생활주제와 통합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김현주, 김경숙 (2008).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아동교육, 17(4), 117-128.
  19. 김희태, 권영덕 (2007).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의 적응과 변화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95-117.
  20. 노은영 (2008).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문무경, 조혜주 (2008). 다문화가정 육아지원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08-04.
  22. 문화체육관광부 (2014). 같이 가요 다문화가족, 함께 키워요 다문화인재. http://www.korea.kr/policy/societyView.do?newsId=148786092&call_from=naver_news 에서 2015년 6월 5일 인출.
  23. 박미경, 이승연 (2008).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의 개념, 실천 형태 및 실천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28(2), 5-27.
  24. 박선혜, 박은혜 (2014).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놀이'의 텍스트 연결망 분석. 육아정책연구, 8(1), 181-210.
  25. 박은혜, 신은수, 조형숙 (2012). 세계 유아교육과정 동향에 비추어 본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영국, 뉴질랜드, 미국의 유아교육과정 비교를 기반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5), 487-514.
  26. 박찬옥, 이예숙 (201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및 방법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4(6), 383-403.
  27. 박찬옥, 이예숙 (2013).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의 분석. 다문화콘텐츠연구, 15, 35-60.
  28. 배소연, 김순환, 한희정(2013). 다문화교육 수행을 위해 알고 있어야 할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자기평가. 유아교육연구, 33(5), 373-400.
  29. 백인경, 우민정 (2014). 유아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재에 수록된 다문화활동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6), 383-402.
  30. 부성숙 (1999).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서정아, 엄정애(2011). 유치원 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생각. 한국교원교육연구, 28(2), 1-20.
  32. 서현, 이승은 (2007).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33. 서현, 이승은 (2009). 다문화 관련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89-116.
  34. 손동원 (2002).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35. 심미영, 조연경, 곽승주 (2013).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다문화교육내용 분석 및 활용. 유아교육학논집, 17(1), 389-415.
  36. 월드비전 (2012).월드비전 세계시민교육(ver.1.4). 서울: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
  37. 유재경 (2008). 유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4), 296-315.
  38. 윤갑정 (2011).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 및 교사연수 요구도. 유아교육학논집, 15(6), 63-87.
  39. 윤갑정 (2012). 다문화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연수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영유아보육학, 71, 19-51.
  40. 윤갑정 (2015). 유아 다문화학습 공간 구성 방향 탐색. 문화예술교육연구, 10(1), 87-111.
  41. 윤갑정, 고은경 (2006).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147-168.
  42. 윤갑정, 고은경 (2011).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를 통해 본 유아다문화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233-257.
  43. 이명희, 홍순옥 (2009).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인문학논충, 14(2), 259-289.
  44. 이병호 (2009). 국가교육과정 기준 문서 체제 개선방안. 교육과정연구, 27(4), 21-45.
  45. 이보라 (2010).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제. 변형영유아교육연구, 4(1), 47-68.
  46. 이수상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47. 이수상 (2013). 연구자 네트워크의 중심성과 연구성과의 연관성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405-428.
  48. 이연선 (2013a). 유아다문화교육정책 및 실제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정책, 교육청,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3(6), 181-204.
  49. 이연선 (2013b). 다문화교육 정책과 실제를 위한 세계주의(Cosmopolitanism) 철학 탐색. 유아교육연구, 33(5), 5-27.
  50. 이연선, 윤갑정, 견주연 (2012). 유아다문화교육의 의미 탐색 및 실제적 제언: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2(3), 117-140.
  51. 이영애, 이현숙(2002). 교육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의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어린이 미디어연구, 1, 53-72.
  52. 이은진 (2008). 유아교육기관 다문화교육 운영 실태 및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269-297.
  53. 임정우 (2010).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가족 내용에 대한 사회 네트워크 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4. 장명림, 장혜진, 권미경, 한영숙 (2011). 육아지원기관에서의 다문화가정 영유아 지원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1-14.
  55. 장혜진 (2012). 육아지원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 실태와 지원방안. 육아정책포럼, 30, 17-26.
  56. 장혜진 (2014).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 분석: 교사의 색맹적 태도를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223-246.
  57. 정명수 (2007).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8. 정은주 (2010). 비판적 관점에서 본 유아 다문화교육의 방향. 변형영유아교육연구, 4(1), 95-114.
  59. 조숙영 (201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관련 활동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4), 379-400.
  60. 채정란 (2001).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본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생활주제 분석. 한국유아교육연구, 3, 88-115.
  61. 최영애 (2011). 다문화 그림이야기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종 편견 및 가족 구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2. 최필순 (2013). 초등학교 다문화 교육과정 운영 모형 탐색.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3. 최현정 (2011).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4. 한수연 (2010).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다문화 보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위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5. 행정자치부 (2014). 2014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현황 통계. http://www.mogaha.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4&nttId=42492에서 2015년 6월 5일 인출.
  66. 홍길희 (2014). 일과를 통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313-332.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313
  67. 황해익, 서보순 (2010).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 실태. 유아교육연구, 30(3), 117-140.
  68. Banks, J. A. (1993). The canon debate, knowledge, construc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er, 10(5), 4-14.
  69. Banks, J. A. (2008).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4th ed.). Boston: Pearson/Allyn and Bacon.
  70. Banks, J. A. & Banks, C. A. M. (2004).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6th ed.). NY: Wiley.
  71. Borgatti, S. P., Everett., M. G., & Freeman, L. C. (2002). Ucinet 6 for window: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M.A: Analytic Technologies.
  72. Derman-Sparks, L. & ABC Task Force. (1989).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Washington, D. 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73. Grant, C. A., & Sleeter, C. E. (2007). Turning on learning. five approaches for multicultural teaching plans for race, class, gender and disability (4th ed.). NJ: John Wiley & Sons.
  74. MacNaughton, G. (2009). Equity issu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in Australia. In S. Mitakidou, E. Tressou, B. B. swadener, & C. A. Grant.(Eds.), Beyond pedagogies of exclusion in diverse childhood contexts: transnational challenges(pp.177-193). NY: Palgrave Macmillan.
  75. Ramsey, P. G. (1998). Teaching a nd learning in a d iverse w orld-multicultural e ducation for young children. NY: Teachers College Press.
  76. Reh, S., Fabenstein, K., & Fritzsche, B. (2011). Learning space without boundaries? Territories, power and how schools regulate learning. Social & Cultural Geography, 12(1), 83-98. https://doi.org/10.1080/14649365.2011.542482
  77. Sleeter, C. E. (1991). Empowerment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8. Sleeter, C. E. (1996). Multicultural education as social activism.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9. Sleeter, C. E. & Grant, C. A. (2009).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 (6th ed.). NJ: John Wiley & Sons.
  80. Wacquant, L. (2007). Territorial stigmatization in the age of advanced marginality. Thesis Eleven. LA: SAGE Publication.

Cited by

  1.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by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1998-2015 vol.26, pp.1, 2015, https://doi.org/10.15724/jslhd.2017.26.1.012
  2. An analysis on the concept map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vol.13, pp.4, 2018, https://doi.org/10.16978/ecec.2018.13.4.009
  3. 교사의 표준보육·교육과정 실행이 유아의 발달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실내·외 자유놀이 시간과의 비교 vol.17, pp.1,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