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의 성별 및 연령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유아의 다중지능이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of the Preschool Children's Self Regulation Abil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 이채호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09-232
    • /
    • 2017
  • 본 연구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자기조절 능력 및 다중지능에서의 차이를 검증하고, 다중지능이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향후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조절 능력과 다중지능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령과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 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과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연령과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공간지능, 언어지능에서 연령(5세, 4세>3세)과 성별(여아>남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논리 수학지능, 대인관계지능은 연령(5세, 4세>3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악지능과 개인이해지능에서는 성별(여아>남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신체 운동지능에서는 연령과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 자기조절 능력과 다중지능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기조절 능력에 대한 다중지능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개인이해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 논리 수학지능 순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연령, 기질과 양육행동의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reschoolers' Age, Temperament and Parenting for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 강지현;오경자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6권1호
    • /
    • pp.1-21
    • /
    • 2011
  • 유아의 연령 및 기질, 그리고 부모양육행동이 유아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를 파악하기 위하여, 만 3-5세 유아 33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유아의 기질, 부모 양육행동을 부모 보고에 의해 측정하였다. 변량분석과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에서 연령과 성별의 주효과가, 내재화 문제행동 수준에서 연령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아에게서는 자극추구 기질, 위험회피 기질, 적대적 부모 양육행동이 두 문제행동의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여아에게서는 자극추구 기질, 위험회피 기질, 온정적 부모 양육이 두 문제행동의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문제행동에 있어서 여아들은 부모의 양육행동의 영향을, 남아들은 기질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기 문제행동에 대한 예방적 개입의 방향에 대해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엔터테인먼트 로봇 견에 대한 유아 친밀성 연구 - 분배원리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Intimacy Level Between Preschool Children and Entertainment Robot Dog - Focusing on the Principle of Distribution)

  • 이하원;이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09-118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의 로봇 상호작용 경험 유무, 성별 및 연령이 엔터테인먼트 로봇 견과의 친밀함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배원리를 활용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어린이집 유아 총 70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종류의 실험을 하였다. 실험 1은 상호작용 여부 영향을 살펴본 것으로 만 5세 유아 총 34명(실험집단 17명, 비교집단 17명), 실험2는 성별, 연령 영향에 관한 연구로 만 3세에서 만 5세까지 유아 각 12명씩 총 36명(사전, 사후 집단)이다. 연구 결과, 첫째, 로봇과 상호작용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엔터테인먼트 로봇 견에게 유의한 친밀함을 느꼈고 그 이유는 정서로 밝혀졌다(실험1). 둘째, 엔터테인먼트 로봇 견과의 친밀함에 유아의 성별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연령은 reverted U 추이를 나타냈다(실험2).

선천성 사경의 물리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the Physiotherapy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 이동걸;박경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8
    • /
    • 2013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사경을 가진 22명의 유아에 대해 임상적 양상과 물리치료 만족도 및 사경의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설문지를 통해 유아의 성별과 연령분포, 사경의 요인, 사경의 관리, 사경의 물리치료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1. 환자의 성별 및 연령분포는 남자아이가 9명(41%), 여자아이가 13(59%) 이었고, 연령분포는 1~4개월이 5명(22.7%), 5~8개월이 6명(27.3%), 9~12개월이 4명(18.2%), 그리고 1년 이상은 7명(31.8%) 이었다. 2. 사경의 정도는 경도가 3명(13.6%), 중등도 3명(13.6%), 중증 16명(72.8%) 이었고, 사경의 분만요인으로 정상분만 12명(54.5%), 재왕절개분만 8명(36.4%), 그리고 둔위분만 2명(9.1%)으로 나타났다. 산모의 건강상태에 따른 요인은 매우 양호 7명(31.9%), 양호 11명(50%), 약함 3명(13.6%), 그리고 매우 약함 1명(4.5%) 이었다. 사경의 요인으로 분석된 가족력, 임신, 분만 사이에는 특별한 관련성은 없었다. 3. 사경 환자가 물리치료를 받는 횟수는 매일 치료 9명(40.9%), 일주일에 2~3회 12명(54.5%) 이었고 물리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우수 4명(18.2%), 우수 15명(68.2%), 보통 3명(13.6%)로 나타났다. 결론 : 이러한 결과를 통해 물리치료가 선천성 사경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부모의 양육신념,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Parental Beliefs, Parental Attitude and Parental Behavior of Parents on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Preschoolers)

  • 하순련;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131-156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부모의 양육신념과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의 각 변인들의 중요성에 관한 충분한 이해와 또한 이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아의 흥미와 관심, 강점과 약점 등 유아의 구체적인 욕구를 중심으로 유아의 다중지능 경험을 보다 통합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성별구분에 따라 언어지능, 음악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지능, 음악지능, 공간지능은 여아가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나 논리수학지능은 남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연령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연령구분에 따라 전체 다중지능가운데 논리수학지능, 신체운동지능, 자연지능에서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와 비교하여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셋째, 유아부모의 양육신념, 양육태도, 양육행동이 유아 다중지능의 각 하위변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유아 다중지능의 가장 큰 변인은 유아부모의 양육태도였으며, 그 다음이 유아부모의 양육행동이었으며, 양육신념은 극히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다중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수.과학의 과정중심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ocess-Based Integrated Mathematics.Science Activities on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 김용숙;함은숙;서의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53-157
    • /
    • 2012
  • 본 연구는 수 과학의 과정중심 통합 활동이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현장에서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및 환경구성을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I시에 위치한 W대학 부속 유치원 만3세 만5세 유아 89명을 대상으로 각 연령별 주제를 선정하여(만3세 유아는 알, 콩, 열매, 과자, 만5세 유아는 공룡, 감자, 물, 그림자, 색깔이라는 주제 선정) 수 과학의 과정중심 통합 활동을 실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수 과학의 과정중심 통합 활동을 실시한 결과 과학적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구성하고 있는 각 하위 요인들이 연령별, 성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 과학 과정중심 통합 활동이 만3세 5세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활동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과 유아 창의성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Teachers' Creative Teaching Approaches,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Level)

  • 김수진;조복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5-146
    • /
    • 2005
  •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물리적인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인 역할수행과 유아창의성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아 182명을 대상으로 Torrance(1981)가 개발한 창의적 사고 검사인 TCAM(Thinking Creativity in Action and Movement)을 실시하여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해당 어린이집 담임교사 28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은 창의성의 하위영역인 상상력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상상력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물리적 환경의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창의성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창의적인 역할을 유아에게 적극적으로 수행할수록 유아의 창의성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은 유아의 창의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은 유아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의 질적 수준이 높고, 교사가 유아에게 창의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할수록 유아의 창의성이 더욱 성장하고 발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유아의 연령 및 성별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 장영숙;강경석;김희정
    • 아동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53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examined by 3 factors : adaptation to school lif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ability to control emotions. Subjects were 195 thre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differed as a function of children's age but not gender.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others among the prosocial behavio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mother's autonomous parenting style. Unexpectedly,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did not vary according to fathers' parenting style.

  • PDF

유아의 성별과 연령 및 부모의 식사지도유형이 유아의 자조기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Sex, Age and Parental Feeding Styles on Children's Self-help Skills)

  • 이정민;김진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1호
    • /
    • pp.37-49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ree factors - children's age, sex and parental feeding styles - on children's self-help skills. The subjects were 213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lived in Kwanak-ku, Seoul. The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employ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Children's autonomy wa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sex. Girls do better by themselves than boys do in toileting, washing and drying hands, putting on and buttoning up a coat, putting on clothes, washing and drying their faces. Children's autonomy also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A majority of the autonomy subsets increased as the children's ages increased. However, drying their hands with a towel, removing their coats, and drinking water did not vary by age. 2. Children's autonomy also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parents' feeding style. A responsive feeding style encouraged children to drink water by themselves. 3. The group with the highest score in self-help skills in toileting was 6-year-old girls, and the group with the lowest score was 3-year-old boys. Additionally, the groups with the highest scores in toileting were 4-year-old girls whose parents demonstrated a neglective feeding style, 5-year-old girls whose parents demonstrated an authoritative feeding style, 5-year-old girls whose parents demonstrated a responsive feeding style, 3-year-old boys whose parents demonstrated a responsive feeding style and 6-year-old boys whose parents demonstrated a neglective feeding style. Conversely, the groups with the lowest scores in toileting were 3-year-old girls whose parents demonstrated an authoritarian feeding style, 5-year-old girls whose parents demonstrated a neglective feeding style, and 3-year-old and 6-year-old boys whose parents demonstrated an authoritarian feeding style. 4. The group with the highest score in removing their coats was girls whose parnets demonstrated authoritative, responsive or neglective feeding styles. The group with the lowest score in removing their coats was boys whose parents demonstrated authoritative or neglective feeding sty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