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of the Preschool Children's Self Regulation Abil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유아의 다중지능이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 Lee, Chae Ho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lsan University)
  • 이채호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17.10.30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ion and multiple intelligences of preschool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275 children between the ages 3, 4 and 5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from kindergarten in Ul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v.21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was statistical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sex and age. Second, children's Spati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sex and ag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disparity only age. Musical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disparity only sex. but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was not statistical in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sex and age. Third, Intrapersonal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stepping stone in developing preschool children's self-regulation program in near future.

본 연구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자기조절 능력 및 다중지능에서의 차이를 검증하고, 다중지능이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향후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조절 능력과 다중지능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령과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 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과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연령과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공간지능, 언어지능에서 연령(5세, 4세>3세)과 성별(여아>남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논리 수학지능, 대인관계지능은 연령(5세, 4세>3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악지능과 개인이해지능에서는 성별(여아>남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신체 운동지능에서는 연령과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 자기조절 능력과 다중지능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기조절 능력에 대한 다중지능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개인이해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 논리 수학지능 순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의정, 김선영(2006). 유아의 비만도와 자기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6(1), 17-39.
  2. 강의정(2007). 유아의 연령과 성별 및 아토피에 따른 자기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육아지원연구, 2(1), 23-36.
  3. 권연희, 조미숙(2015).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5(1), 49-69.
  4. 김민정, 유연옥(2011). 부모의 정서표현유형과 유아의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능력. 아동교육, 20(1), 95-111.
  5. 김성현(2016).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상호작용이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4(2), 131-155.
  6. 김혜순, 강기숙(2005). 유아의 지능, 가정양육환경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3(4), 17-26.
  7. 도희선(201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련변인 연구 : 자기효능감, 유아의 기질 및 자기조절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 류희정, 이진희(2013). 유아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8(2), 47-64.
  9. 서소정, 변민지, 하지영(2016).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관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6(4), 245-269.
  10. 심윤희(2013). 포트폴리오 평가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교육적효과 :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프로젝트 중심교육과정에서. 한국보육학회, 13(3), 329-353.
  11. 이채호, 최인수(2008). 유아의 놀이와 기질 및 다중지능간의 관계. 아동학회, 29(6), 121-133.
  12. 이채호, 최인수(2011). 부모-교사용 유아 간편 다중지능척도 타당화 연구. 영재교육연구, 21(2), 449-463. https://doi.org/10.9722/JGTE.2011.21.2.449
  13. 이태옥, 이순복(2015).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4(2), 137-158.
  14. 장명희(2013). 부모와 가정환경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장여옥(2016). 아버지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2), 167-182.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2.167
  16. 장영숙(2009).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207-225.
  17. 정은주(2005). 유아의 행동적.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8. 조세진, 김승희(2014). 연령에 적합한 종이접기 조형활동이 혼합연령반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15-241.
  19. 조준오, 황광표(2014). 유아 놀이성과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 및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4(4), 175-193.
  20. 지성애, 김지은(2016). 유아의 정서실행기능과 인지처리능력, 자기조절능력 및 마음이론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20(2), 223-247.
  21. 지성애, 윤현숙, 박은영, 홍지명, 문수강, 공진희(2006). 성별에 따른 유아의 대상통제운동능력과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0(3), 79-95.
  22. 채경진, 유연옥(2015). 유아의 활동성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7(1), 19-34.
  23. 하순련, 서현아(2013). 부모의 양육신념,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131-15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131
  24. 한명숙(2016). 부모의 인성 리더십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 인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 16(1), 121-140.
  25. 한인숙(2014). 유아의 가정배경변인, 가정환경자극(HOME)과 다중지능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홍성훈, 조은정(2010). 유아의 기질 및 자기조절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9(3), 167-185.
  27. 황혜경, 류숙희(2013). 몬테소리 교육론과 가드너 다중지능이론의 유아교육적 의미 비교고찰. 한국보육학회, 13(4), 149-167.
  28.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A. W. Collins(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39-101).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29. Bodrova, E., & Leong, D. J. (1996). Tools of mind: A Vygotskian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0. Bornstein, M. H., & Haynes, O. M. (1998). Vocabulary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latent construct,and predictive validity. Child Development, 69, 654-671.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235.x
  31. Bronson, M. B. (2000).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Nature and Nurture. NY: The Guiford Press.
  32. Brownell, C., Etheridge, W., & Hugerford, A. (1997). Socialization of Self-Regulatio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ver Age and Context.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33. Diaxz, R. (1992). Development of Self-Direction. Bing Nursery School Stanford.
  34. Diaxz, R., Neal, C., & Williams, M. (1990). The Social origins of self-regulation. Vygotsky and Education: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 of sociohistorical psychology. In L, C. Moll(Ed.). 127-154.
  35. Flavell, J. H., Miller, P,. H. & Miller, S. A. (1993). Cognitive development(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6. Gardner, H. (1983). Are there additional intelligences? The cast for naturalist, spiritual, and existential intelligences. In J. Kane(Ed.), Education, Information and Transformation, 111-131.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7. Gardner, H. (2006). Multiple intelligences: New horizons. New York: Basic Books.
  38.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Bamtam Books.
  39. Hyde, J. S., Fennenma, E., & Lamon, S. J. (1990).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performance: A mathematics performance: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ntin, 107, 139-155.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139
  40. Kaler, S., & Kopp, C. (1990). Compliance and comprehension in very young toddlers. Child Development, 61, 1997-2003. https://doi.org/10.2307/1130853
  41. Kalpidou, M, D. (1997). The Development of behavioral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during the preschool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Louisiana State University.
  42. Kaufman, S. B. (2007). Sex differences in mental rotation and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Can they be accounted for by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capacity?. Intelligence, 35, 211-223. https://doi.org/10.1016/j.intell.2006.07.009
  43. Kochanska, G., Murray. K., & Harlan, E. T. (2000). Effort Control(EC) in Early Childhood: Continity and Change, Antecedent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Development. Development Psychology, 36(2), 220-232. https://doi.org/10.1037/0012-1649.36.2.220
  44. Kopp, C. B. (1982). Antecedent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https://doi.org/10.1037/0012-1649.18.2.199
  45. Kopp, C. B. (1989).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A developmental view. Developmental Psychology, 25, 343-354. https://doi.org/10.1037/0012-1649.25.3.343
  46. Lengua, L. J. (2002). The contribution of emotionality and self-regu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response to multiple risk. Child Development, 73(1), 144-161. https://doi.org/10.1111/1467-8624.00397
  47. Maccoby, E. E., & Martin, J. A. (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Parent-child interaction. In P.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4. New York: Wiley
  48.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Salovey, P., & Sluyter,D..(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 New York: Basic Books.
  49. Oliver, S., & Klugman, E. (2003). Play and learning day by day incorporating constructive play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Child Care Information Exchange, 149, 62-65.
  50. Power, T. G., Magrath, M. P., Hughes, S. O., & Manire, S. H. (1994). Compliance and self-assertion :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mothers versus fathers. Developmental psychology, 30, 980-989. https://doi.org/10.1037/0012-1649.30.6.980
  51.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52. Shearer, C. B. (1996). The MIDAS handbook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Columbus, Ohio : Greyden Press.
  53. Sroufe, L. A. (1995). Emotional development: The organization of emotional life in the early year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Sternberg, R. J. (1985). Beyond IQ: A triarchic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Voyer, D., Voyer, S., & Bryden, M. P. (1995). Magnitude of sex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ies: A meta-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critical variables. Psychological Bulletin, 117(2), 250-270. https://doi.org/10.1037/0033-2909.117.2.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