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비 수학교사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29초

예비수학교사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에서 분할점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신뢰도 탐색 (Investigation of Various Reliability Indic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based on Setting Cut Scores)

  • 김성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1호
    • /
    • pp.55-7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error source and to investigate the optimal measurement conditions to ensure satisfactory multiple reliability coefficients based on the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for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nts were 33 students enrolled in mathematics education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2013 to 2017.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stimated variance due to residual was highest, followed by nesting of items within domains, graduate students, interactions of graduate students with domains, and domains. Second, total 96 items, with 12 domains containing 8 items in each domain, with cut score of 598, and original 210 items, with 14 domains containing 15 items in each domain, with cut scores of 615 or 716 were optimal measurement conditions to reach acceptable reliability levels based on the joint consideration of dependability coefficients, cut score dependability coefficients, adjusted dependability coefficients, and standard errors of measurement. Third, larger deviations between the arithmetic mean and the cut score indicated higher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 test result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ways for practitioners to consider how to apply generalizability theory for criterion-referenced tests and how to develop future research based on limitations.

교육공학 관련 교직과목과 교과교육 과목의 연계를 위한 도구 (On the design of instruments for integrating general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and educational techn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course)

  • 조한혁;송민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843-864
    • /
    • 2010
  • 사범대학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과 수학교육 과목인 수학교육과 교육공학(또는 컴퓨터와 수학교육)을 연계시켜 강의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현실적으로 예비교사들이 임용고사와 관련된 교직과목의 내용을 필수적으로 들어야하기에, 우리는 교육공학 관련 교직과목의 내용을 중심으로 수학교육과 교육공학을 실습으로 접목시키는 연계방안을 실시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연계 교육과 실습을 위해 먼저 웹 2.0 기반 교육공학 이론과 수학사 기반 수학실험을 위한 마이크로월드 수학실험실을 설계하였다. 또한 인터넷에 구축된 수학실험실을 기반으로 교육공학 관련 교직과목 이론과 수학교육공학 관련 교과교육 내용의 실습을 진행하며 두 과목의 연계를 시도하였다.

교과교육 방법적 지식과 컴퓨터교사의 전문성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Professional Knowledge of Computer Teachers)

  • 안미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5-143
    • /
    • 2001
  • 컴퓨터교육의 영역을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그리고 컴퓨터활용교육으로 나눈다면, 컴퓨터교사의 지식은 교과내용에 대한 전문지식, 교과교육의 이해와 활용방법에 대한 지식을 주로 말한다. 그 중 교과교육학은 교수-학습을 위한 설계 및 운영과 평가를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교과교육학을 더 특성화된 지식으로 과목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교육방법(PCK)을 살펴보자 한다.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PCK에 대한 이해 정도와 교수능력은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컴퓨터교사의 지식과 PCK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수학교육과 음악교육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과목이 서로 다르게 접근되어야 하듯이 컴퓨터교육에서도 컴퓨터교과목의 특성과 방법적*상황적 지식을 포함하는 컴퓨터 교과교육방법적 지식(C-PCK)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교사의 전문지식의 하나로 C-PCK를 포함한 것을 제안하며, 앞으로 이어질 C-PCK에 대한 연구결과는 컴퓨터교육방법을 개선하고 컴퓨터교육의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구심점이 되며,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모바일 기반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활용 방안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obile-Based Math Learning Application)

  • 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3호
    • /
    • pp.593-61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학교 수학의 내용을 담아낸 모바일 기반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를 수학 교수 학습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중학교 수학의 '이차함수와 그래프', '대푯값과 산포도' 단원에서 조작을 통한 개념 탐구와 토론 학습이 가능하도록 어플리케이션 <중3수학교실>을 안드로이드 버전으로 수학교육 전문가, 수학 교사, 컴퓨터공학 전문가, 디지털 애니메이션 감독과 협업하여 개발하였다. 이때, 예비교사의 도움을 받아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 4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그 활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수학 수업에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교수 학습 지도안과 어플리케이션 활용 매뉴얼을 개발하고 중학교 3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여 그 현장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수학 교과서 프로젝트 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h Textbook Project Learning(MtPL) on Affective Domain)

  • 유기종;김창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479-501
    • /
    • 2016
  • 본 연구는 예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서, G+, 수능기출문제를 학습도구로 하여 2015년 12월 24일부터 9주간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혼합형 학습 방법인 '수학 교과서 프로젝트 학습(MtPL)'을 개발하여, MtPL이 고등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MtPL은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교과서를 이용한 협력학습과 교사의 역할은 수학 학습에서 도구적 동기로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입시에 성공하기 위해서 더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 방법에 대한 인식이 수정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교과서를 활용한 수능 준비와 수학 학습에서 교과서의 이용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topic modeling)

  • 신동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1호
    • /
    • pp.63-80
    • /
    • 2020
  •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7종의 KCI 등재지에 게재된 3,114편의 수학교육 논문와 5종의 SSCI 등재지에 게재된 1,636편의 수학교육 논문의 연구 동향을 텍스트 마이닝 기술의 하나인 토픽모델링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는 16개의 유사한 주제와 7개의 상이한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와 관련된 주제는 국내와 해외 수학교육 연구에서 모두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연구주제였다. 현직교사 재교육에 관한 연구주제는 국내 연구에서는 하나의 독립된 주제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해외 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받는 주제로 나타났다. 해외 수학교육 연구에 비해 국내에서는 수학적 역량에 관한 연구의 관심이 높았지만, 이는 문제해결역량과 창의·융합역량에 치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해외 수학교육에서는 정체성과 공정성에 관한 연구가 강조되었다.

수학 영재를 위한 행동 특성 검사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behavior Characteristics Scale in the Mathematically Giftedness of the Middle School)

  • 황동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405-424
    • /
    • 2006
  • 본 연구는 수학 영재의 행동특성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수학 영재의 행동 특성을 추출하여 유목화한 후 측정변인으로 규정하였으며, 각각의 측정변인별로 문항을 개발하여 예비검사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51개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기존에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과 표준화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서 상의 10%와 교사 지명 학생 포함하여 424명을 연구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높은 신뢰도(.95)를 확보하였으며 Rash 1모수 모형을 이용하여 내적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주성분 요인추출방법으로 요인을 추출하여 Varimax 방법으로 직각회전을 한 구인타당도 검증에서 일반적인 수학정신 능력 요인, 수학적 능력 요인, 정보 수집과 처리 능력 요인과 수학적 성향 요인이 추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학 영재 행동 특성 검사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하게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 PDF

이차곡선의 작도 활동에서 나타난 유추적 사고 (Analogical Reasoning in Construction of Quadratic Curves)

  • 허남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51-67
    • /
    • 2017
  • 유추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 귀납적 추론, 수학적 발견술, 창의성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학 교육적으로 유용한 사고 방법이다. 학생들은 서로 다른 수학적 대상에 대해 유사성을 바탕으로 연결함으로써 두 대상 사이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들이 이심률의 정의에 따른 이차곡선의 작도 과정에서 드러난 사고의 특징을 유추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바탕 문제에 관한 수학적 지식의 부재와 바탕 문제의 수학적 지식에 대응하는 목표 문제의 수학적 지식의 부재는 목표 문제의 해결에 도움되지 못하였다. 바탕 문제의 다양한 해결 방법은 목표 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주었으며, 일부는 작도 문제의 해결에 있어 적절한 바탕 문제를 설정하고 대수적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였다. 마지막으로 잠재적 유사성에 근거한 유추는 새로운 풀이 방법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Wertheimer의 평행사변형 구적 문제와 대안적 지도 방안 (The problem of mensuration of parallelogram raised by Wertheimer and alternative strategies)

  • 김수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485-493
    • /
    • 2003
  • 본 연구는 Wertheimer가 제기한 평행사변형 구적 문제가 오늘날의 지도 방식으로도 명쾌하게 해결되지 않음에 착안하여, 현재의 지도 방식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몇 가지 아이디어를 수집하기 위해 수행된 것이다.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7명 중 18명만이 초등학생에게 호소할 수 있는 지도 아이디어를 제시하였고, 나머지 59명은 무 응답 혹은 부적절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이로써 Wertheimer가 제기한 평행사변형 문제가 오늘날의 학생들에게도 여전히 어려운 문제가 될 수 있음이 드러났다. 그러나 적절하게 응답한 18명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Wertheimer가 제기한 평행사변형을 직사각형이나 전형적인 평행사변형으로 등적변형 하는 7가지의 재미있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들 아이디어의 공통적인 특징은 형식적인 증명보다는 자르고 붙이고 옮기는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지각에 호소하는 방식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이를 적절히 응용하면 초등학생들을 위한 지도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함수개념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난 subject-matter knowledge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능력의 발전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Subject-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Function Instruction)

  • 윤석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75-596
    • /
    • 2007
  • 본 논문은 예비교사들이 함수교육과 관련된 subjective-matter knowledge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의미있게 학습하고 발전시키는 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함수의 기본개념과 원칙,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조직되었는지를 이해하는 능력과 의미있는 함수학습이 가능하도록 그들을 표현하고 구성하는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와 협동학습에 기반 한 학습방법을 채택하였다. 사전, 사후테스트와 인터뷰를 통하여 평가한 결과 소그룹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 결과를 전체 구성원과의 토론을 통하여 학습하는 과정에서 보다 깊이 있고 확장된 subject-matter knowledge와 다양한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획득하게 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