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색체

검색결과 1,380건 처리시간 0.028초

암환자에서 방사선치료에의한 염색체이상 (Effect of Radiotherapy on Chromosomal Aberration in Cancer Patients)

  • 전하정;이명자;유명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43-50
    • /
    • 1993
  • 방사선에의 노출은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나 in vivo상태에서 방사선 조사 후 발생되는 염색체 이상의 종류와 빈도 규명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전 및 후에 말초혈액 임파구의 염색체 변이를 비교 관찰하고 방사선 조사에 의해 암 환자세포에서 나타나는 염색체 이상에서 절단점의 분포가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연관관계 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5예의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가 시작되기 전과 $4000\~7000cGy$의 근치적 방사선치료가 끝난 직후 말초 혈액을 채취하여 임파구를 배양후 G-분염법을 이용하여 염색한 후 환자마다 방사선치료 전후로 각각 30개씩의 증기상을 관찰하였다. 치료전에 염색체 이상을 나타낸 세포 분열 중기상의 빈도는 $4.93\%$로 정상 대조군 집단의 빈도 $2\%$보다 높았다(p<0.05). 방사선 치료후 염색체 이상 세포의 빈도는 $22.13\%$로 치료전에 비해 매우 중가되었다(p<0.01). 또한 세포 중기상당 이상 염색체의 수도 치료전과 후가 각각 1.49및 2.14로 치료후 증가 되었다(p<0.05). 염색체 이상의 종류는 major chromosomal aberration 특히 구조적 이상의 빈도가 치료전보다 후에 $65.45\%$에서 $88.45\%$로 증가되었고 minor structural abnormality와 수적 변이의 빈도는 감소되었다. 방사선 치료후 염색체 절단점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가 단일 절단점을 가진 이상에 비해 증가되었다. 절단점의 분포에 있어서는 암세포에서 가장 흔한 이상을 나타내는 1번 및 3번 염색체와 절단점의 증가가 암 발생관 연관된다고 보고된 8번 및 11번 염색체에서 본 연구결과 기대치 이상의 절단점의 분포를 보이고, 암 세포에서 드물게 이상을 나타내는 13, 15및 21번 염색체에서는 기대치 보다 감소된 절단점의 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 후 염색체 이상의 빈도는 증가되었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나타나는 염색체의 절단점의 분포는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초기 배아의 분리할구에서 중기 염색체상 획득 방법에 대한 연구: 염색체 변이로 인한 착상전 유전자 진단에서 보인자와 정상 핵형 구분을 위한 연구

  • 임천규;전진현;민동미;변혜경;김진영;궁미경;강인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105-105
    • /
    • 2002
  •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으로 인한 습관성 유산과 기형아의 출산을 예방하기 위해 착상전 배아에서 할구를 분석하여 정상적인 핵형을 가진 배아만을 이식하는 착상전 유전자 진단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의 성공적인 임상 적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간기의 핵상을 이용한 PGD에서는 형광직접보합법 probe의 제약으로 보인자와 정상적인 핵형을 구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PGD를 위해 생쥐 배아를 이용하여 분리한 할구에서 중기 염색체상을 획득하기 위해 미세소관 (microtubule) 형성 저해제를 처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확립된 방법을 인간의 PGD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과배란이 유도된 ICR 생쥐에서 4- 또는 8-세포기 배아를 수획하여 colcemid, nocodazole, vinblastine을 각각 0.1, 0.5, 1.0, 5.0$\mu$M을 처리하고, hoechst 33342로 염색하여 핵상을 관찰하여 최적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또한 각 미세소관 형성 저해제를 혼합 처리하여 가장 높은 중기 염색체상을 획득할 수 있는 혼합 처리를 결정하였다. 이렇게 결정된 혼합 처리 방법을 인간의 체외 수정 및 배아 이식술에서 획득된 3PN 배아에 처리하여 중기 염색체를 획득하였다. Colcemid, nocodazole, vinblastine 모두 1 $\mu$M이 최적 농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 96.3%, 92.0%, 98,4%). 미세소관 형성저해제를 혼합 처리하였을 경우 nocodazole과 vinblastine (각각 1$\mu$M)을 혼합 처리했을 때 중기 염색체 획득률(97.3%)이 가장 높았다. 인간의 3PN 배아에 1$\mu$M의 nocodazole과 vinblastine을 혼합 처리한 후, 113개의 할구를 분석하여 44개(38.9%)의 할구에서 중기 염색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중기 염색체를 획득하기 위하여 미세소관 형성 저해제를 처리하는 방법은 생쥐의 배아에서는 효과적이지만, 인간의 배아에서는 그 효율이 다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을 개선하여 인간의 할구에서 중기 염색체의 획득률을 높이고, 이를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에 대한 착상전 유전자 진단에 적용한다면, 보인자와 정상의 핵상을 구분하여 정상의 핵상만을 갖는 배아의 이식을 통하여 더욱 정확한 착상전 유전자 진단을 시행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깽깽이풀의 핵형분석과 McFISH를 이용한 rDNA의 물리지도 작성 (Karyotype Analysis and Physical Mapping of rDNAs Using McFISH in Jeffersonia dubia Benth)

  • 김수영;최혜운;구달회;김찬수;방재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8-51
    • /
    • 2005
  • 보호식물이며, 약용식물인 깽깽이풀 (Jeffersonia dubia)을 대상으로 핵형 분석과 McFISH 기법을 이용한 염색체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체세포 염색체 수는 2n=2x=12였으며, 2쌍의 중부 염색체 (염색체 1, 3), 2쌍의 차중부 염색체 (염색체 2, 4) 그리고 2쌍의 차단부 염색체 (염색체 5, 6)로 구분되었고, 염색체의 평균 길이는 $1.95{\sim}3.50{\mu}M$이었다. McFISH기법을 이용하여 45S와 5S rDNA의 염색체상의 위치를 확인한 바, 3쌍의 45S rDNA signal은 4번, 5번 그리고 6번 염색체의 단완 말단 부위에서 관찰되었고, 한 쌍의 5S rDNA signal은 2번 염색체의 동원체 부위에서 관찰되었다.

2배체 담배 Nicotiana plumbaginifolia의 핵형 분석과 rDNAs의 Physical Mapping (Karyotype Analysis and Physical Mapping of rDNAs in Diploid Nicotiana plumbaginifolia)

  • 조혜경;구달회;김수영;방재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7-11
    • /
    • 2003
  • 2배체 담배인 Nicotiana plumbaginifolia를 대상으로 상염색법과 FISH 기법을 통한 염색체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N. plumbaginifolia의 체세포 염색체 수는 2n=20이며, arm ratio 비교를 통한 핵형 분석에서 중기 염색체 조성은 3쌍의 중부 염색체 (염색체 1,2 및 7)와 7쌍의 차중부 염색체 (염색체 3, 4, 5, 6, 7, 9 및 10)로 관찰되었다. 염색체의 길이는 2.29~4.50 $\mu\textrm{m}$로 나타났으며, 염색체 1번과 2번은 부수체 염색체로 관찰되었다. 5S와 45S rDNA를 탐침으로 FISH를 수행한 결과 2번 염색체의 동원체 부위에서 한 쌍의 5S signal이 확인되었고, 1번 염색체의 부수체에서 한 쌍의 45S signal이 관찰되었다.

제주특산 한라참나물(Pimpinella hallaisanensis)의 핵형분석과 Bicolor FISH (Karyotyping Analysis and Bicolor FISH of Pimpinella hallaisanensis, an Endemic to Jeju Island)

  • 김수영;김찬수;도재화;이중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1-162
    • /
    • 2008
  • 제주도 특산식물인 한라참나물의 염색체수를 재조사하기 위해 핵형분석과 bicolor FISH를 수행하였다. 한라참나물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2n=2x=22로 관찰되었고, 염색체의 길이는 $3.58-5.82{\mu}m$였다. 염색체의 구성은 2쌍의 중부 염색체(염색체 1과 2번), 4쌍의 차중부 염색체 (염색체 3, 4, 6, 8번), 그리고 5쌍의 차단부 염색체(염색체 5, 7, 9, 10, 11번)로 확인되었다. Bicolor FISH를 통해 3쌍의 5S와 4쌍의 45S rDNA 위치를 확인하였으며, 5S rDNA의 경우 염색체 4번의 장완 말단 부위에서 2쌍과 염색체 6번의 장완 중심과 동원체 사이에서 1쌍의 signals가 관찰되었다. 45S rDNA signals는 염색체 4, 6, 10 그리고 11번의 단완 말단에서 각각 확인되었다. 본 종의 염색체수가 핵형분석 및 FISH를 통해 이전의 연구결과와 다르게 분석됨으로써 한라참나물의 염색체수의 재고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한국산 관박쥐(Rhinoiophus terrumequinum)의 핵형분석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 이정훈;손함원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9-317
    • /
    • 1988
  • 내륙산 관박쥐와 제주산 관박쥐간의 동-종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경남과 제주에서 채집한 이들 관박쥐들을 핵형분석하였다. 핵형분석의 결과, 2종 모두 염색체수는 2n=58이었으며 FN도 62였다. 상염색체에서는 중형의 2쌍과 미세형 1쌍이 중부염색체(metacentrics)였고, 대형에서 소형까지는 25쌍이 단부염색체facrocentrics)이었다. 성염색체에서 X염색체는 대형의 차중부염색체(submetacentrics)였고, Y염색체는 소형의 단부염색체(acrocentrics)이었다. 그리고 이들 염색체들은 동원체 부근에 이질염색체을 가지는 특이한 1쌍의 단부염색체(acrocentrics)가 존재하고 있었다.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karyotypes of the inland bat(Rhinolox)thus femequinum hora) and the Cheju-Island bat(Rhinorophus ferrumequinum quelpartis(\ulcorner)) collected in Kyungnam and Cheju provinces to identify the homogeneous between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iploid number of chromosomes of them are equally 58 and the fundamental number 62. In the autosomes, metacentrics consist of two pairs of the middle form and a pair of the micro-form. And acrocentrics have 25 pairs of large and small form. In sex-chromosomes, X-chromosome is a large submetacentrics and Y is a small acrocentrics. And, these chromosomes possess a pair of particular acrocentrics having heterochromatin around centromere in both the inland bat(Rhinolophus fenmequinum korai ) and Cheju-Island bat(Rhinolophus fewmequinum querporis (\ulcorner)).

  • PDF

한국산 코볼드쌍구흡충의 핵형 분석 (The Karyotype of Fischoedeyius cobboldi (Poirier, 1883) from Korean Cattle)

  • 이재구;윤락훈;이호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107-111
    • /
    • 1988
  • 한국산 쌍구흡충의 계통분류를 하기 위한 연구치 일환으로 한우로부터 코볼드쌍구흡충(Fisthoederius robbozdi)을 채집한 다음 정소부위를 colchicine으로 단시간 처리하는 자연건조법을 응용하여 핵형을 분석하였다. 코볼드쌍구흡충 총 315개체의 생식세포에 대하여 염색체수를 조사한 바 n=9, 2n=18이었으며, 1,904개의 반수체성 중기염색체와 49개의 이배체성 중기염색체를 확인하였다. 이배체성 중기염색체는 7쌍의 중형염색체와 2쌍의 소형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었고, 반수체성 염색체는 중형 7개와 소형 2개로 구성되어 있었다. 동원체지수는 3번 염색체가 40.4%로서 9쌍중에서 동원체가 염색체의 가장 중앙부위에 위치하는 중부착사 염색체이었으며, 그 나머지의 것들은 32.4∼40.0%이었다. 분염법(C-banding)에 의한 생식세포의 반수체성 염색체는 핵형을 구성하는 이염색질이 거의 모든 염색체의 동원체 부위에 존재하였지만, 1번 염색체는 염색체 첨단에 이염색질이 농염되어 있었으며 .4, 6, 8번 염색체의 이염색질은 크고 진하게 관찰되었다.

  • PDF

할미꽃속 식물 5종의 핵형 분석 (Karyotype Analysis of Five Species of Genus Pulsatilla)

  • 이우규;최혜운;방재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90-493
    • /
    • 2004
  • 한국에 분포하고 있는 할미꽃속 5종에 대한 핵형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체세포 중기 염색체 수는 모두 2n=2x=16, 기본 염색체 수는 x=8로 관찰되었다. 가는잎할미꽃 (P. cernua)의 염색체 조성은 5쌍의 중부 염색체 (1, 2, 3, 4, 5번), 1쌍의 차중부 염색체 (6번)와 2쌍의 차단부 염색체 (7, 8번)로 핵형은 K(2n) = 2x = 16 = 10m + 2sm + 4st로 나타났고, 염색체의 크기는 $4.62{\sim}8.25\;{\mu}m$였다. 분홍할미꽃 (P. davurica), 할미꽃 (P. koreana) 및 중국할미꽃 (P. chinensis) 염색체 조성은 5쌍의 중부 염색체 (1, 2, 3, 4, 5번)와 3쌍의 차단부 염색체 (6, 7, 8번)로 핵형은 K(2n) = 2x = 16 = 10m + 6st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염색체의 크기는 분홍할미꽃 에서 $5.90{\sim}10.66\;{\mu}m$, 할미꽃에서 $5.25{\sim}8.80\;{\mu}m$, 중국할미꽃에서 $4.33{\sim}6.99\;{\mu}m$로 차이를 보였다. 동강할미꽃 (P. tongkangenesis)의 염색체조성은 5쌍의 중부 염색체 (1, 2, 3, 4, 5번), 2쌍의 차중부 염색체 (6, 7번)와 1쌍의 차단부 염색체 (8번)로 핵형은 K(2n) = 2x = 16 = 10m + 4sm + 2st로 구분되었으며, 염색체의 크기는 $4.67{\sim}8.97\;{\mu}m$로 나타났다.

한국재래계의 염색체 분염 표지 분석 (Identification of Chromosomal Band Markers of the Korean Native Chicken)

  • 백규흠;이철영;상병돈;최철환;김학규;손시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1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유 재래 가축들의 유전정보와 유전학적 개량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고분염 분석(high-resolution banding) 방법에 의한 한국재래계의 염색체 분염 표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공시된 한국재래계로서는 축산기술연구소에서 계통화 시킨 황갈색 및 적갈색 계통으로 이들이 생산한 수정란의 초기 배자를 이용하여 염색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닭의 초기배자에 EtBr 및 colchicine을 처리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고정도 염색체를 획득하였다. 한국재래계의 GTG-banding 결과 모든 상동염색체간에 뚜렷하고 특징적인 band 양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Leghorn 및 국제표준핵형(ISSAK)과 비교시 염색체의 형태적 양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대표적 landmark간에도 거의 일치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한국재래계의 대형염색체에서 더 많은 G-band의 분리 양상을 보이고 특히 1번 및 Z 염색체에서 특징적 분리 양상의 차이를 보였다. 한국재래계의 C-banding 분석에서는 세포별 heterochromatin의 다형성을 보이기는 하나 대부분의 염색체의 동원체와 말단부위에서 C- band가 나타났으며, Z 염색체 장완 말단부와 W 염색체 전체에서는 거의 모든 세포에서 C-band가 출현하였다. 또한 3번 염색체 동원체와 Z 염색체 장완 말단부에서 특징적 다형성을 나타내어 이들 염색체들에서는 상동염색체간 heterochromatin의 이형적 양상(heteromorphic)이 존재함을 밝혔다.

헐떡이풀의 핵형분석과 Bicolor FISH를 이용한 물리적 지도 작성 (Karyotype Analysis and Physical Mapping of rDNAs Using Bicolor-FISH in Tiarella polyphylla D. Don)

  • 김수영;이중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46-450
    • /
    • 2007
  • 헐떡이풀은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 일본, 대만 그리고 한국에 분포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에서만 분포하는데, 천식 치료, 타박상 그리고 청각장애의 치료에 사용된다. 약용작물로써의 높은 가치에도 불구하고 염색체 수를 제외한 다른 세포유전학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핵형분석 뿐만 아니라 bicolor FISH를 통한 5S 와 45S rDNA의 물리적 지도작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체세포 염색체 수는 2n=2x=14로 염색체의 길이는 $1.66{\sim}3.50{\mu}m$ 이다. 또한 염색체의 구성은 4쌍의 차중부 염색체(염색체 1, 2, 3, 6)와 2쌍의 차단부 염색체(염색체 5, 7)그리고 1쌍의 단부 염색체(염색체 4)로 확인되었다. 또한 4번 염색체가 부수체 염색체로 관찰되었다. Bicolor-FISH를 통해 각각 1쌍의 5S와 45S rDNA 위치를 확인하였는데, 5S rDNA의 경우 염색체 3번의 동원체 부위에서 확인되었고, 45S rDNA는 염색체 4번의 단완 말단 부위에서 관찰되었다. Bicolor-FISH는 헐떡이풀 염색체상에 rDNA 유전자의 위치 확인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