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구 틀

검색결과 2,841건 처리시간 0.028초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 개발 (The Development of Laboratory Instruction Classification Scheme)

  • 양일호;정진우;허명;김석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2-355
    • /
    • 2006
  • 이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실험수업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류틀을 개발하기 위해 실험의 유형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실험수업의 다양한 특성들을 분명하게 나타내는 실험수업 분류틀(CSLI)을 생성하였다. 실험수업 분류틀(CSLI)은 실험수업에 따르는 절차와 접근방식의 두 개의 분류자로 구성하였다. 실험수업에 따르는 절차는 절차 제시의 주체에 따라 절차가 외부에서 공급되는 경우와 학생들에 의해 설계되는 학생생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실험수업의 접근 방식은 개념 제시의 순서에 따라 연역적 접근과 귀납적 접근으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였다. 두 개의 분류자에 의해 실험수업을 네 가지 유형 - 확인실험, 발견실험, 탐색실험, 연구실험 -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실험수업들의 특성과 장단점을 기술하였다. 개발한 실험수업분류틀에 대해서 과학교육전문가 6인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분류틀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이 현장검증의 부족으로 인해 실험수업의 다양한 특성을 제한적으로 나타낼지라도 보다 나은 연구를 위한 모델로서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RME의 수학 학습 평가틀에 대한 고찰 -Jan de Lange의 수학 학습 평가틀을 중심으로- (Reflections on Framework for Mathematics Assessment i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Focusing on Jan de Lange's Framework-)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347-366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 국제적인 수학 학습 평가의 틀을 제공하고 있는 Jan do Lange를 중심으로 RME의 수학 학습 평가틀을 살펴봄으로써, 제 7차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위한 수학 학습 평가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RME의 철학과 Jan de Lange의 수학 학습 평가틀의 구성요소인 평가 목표, 피라미드, 맥락, 평가 유형과 채점 및 피드백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수학 학습 평가틀을 학급수준의 단원평가에 적용하고 있는 미국 교과서의 한 단원에 대한 평가 체계와 문항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수학 학습 평가를 위한 방향으로 국가수준의 수학 학습 평가틀의 구체화, 국가수준이나 학급수준의 수학 학습 평가틀의 일관성 추구, 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학습 평가 능력 신장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계속조사 표본설계에서 추출틀 변경에 따른 층화변수 선정: 국민여행실태조사 사례연구 (Selection of Stratification Variables Under a New Sampling Frame : A Case Study for the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 박현아;박승환;전종우;박진우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1권3호
    • /
    • pp.103-114
    • /
    • 2010
  • 계속조사를 위한 표본설계를 중간에 변경하려고 할 때 부딪히게 되는 문제 중 하나는 기존의 조사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주요 관심변수들에 대한 모집단 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여행실태조사를 위한 표본설계에서 기존의 표본조사 자료와 새로운 추출틀 자료를 통합하여 효과적인 층화변수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먼저 기존의 표본자료의 단위와 추출틀 단위 사이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번호 외에 일치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이어 회귀분석과 같은 통계적 방법에 의해 변수 간의 연관성을 검토함으로써 적절한 층화변수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한글의 글자꼴과 문장의 가독성 (The Effects of Hangul Letter Form On Readability)

  • 정우현;한재준;정찬섭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3년도 제5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07-216
    • /
    • 1993
  • 네모틀 글자꼴인 명조체와 고딕체, 탈네모틀 글자꼴인 샘물체와 한체, 한체로서 받침없는 글자의 높낮이를 조절한 변형한체, 명조체로서 가로대 세로의 비율을 변형시킨 장평50과 장평150의 글자꼴을 문장의 가독성과 미려함의 차원에서 비교하였다. 또한 글줄간격에 따라 이들 글자꼴에서의 차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네모틀 글자꼴의 가독성이 대체로 탈네모틀 글자꼴보다 더 좋았으나, 이러한 차이는 글줄간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미려함 차원에서도 네모틀 글자꼴이 탈네모틀 글자꼴보다 더 높게 평정되었다.

  • PDF

예비초등교사의 '과학 창의성'과 '과학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연관성 -틀 내 및 틀 간 창의성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tific Creativ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Education': Focus on Creativity 'within a Frame' and 'between Frames')

  • 최취임;박지영;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15-52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초등교사의 '과학 창의성'과 '과학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연관성을 틀 내 및 틀 간 창의성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틀 내 창의성은 패러다임 내에서 작동하는 이론적 창의성과 실험적 창의성으로 구분되고, 틀 간 창의성을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오는 이론적 창의성을 의미한다. 자료 수집은 심층 면담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은 틀 내 및 틀 간 범주를 토대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예비초등교사들은 주로 틀 내 창의성의 관점에서 '과학 창의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과학 창의성'을 틀 내 창의성 관점에서 실험적 창의성과 이론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예비초등교사들은 '과학 창의성 교육'은 틀 내 실험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육에서 고려할 수 있는 과학 창의성의 특성과 이를 위한 과학교육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문화성향과 종결욕구에 따른 틀효과에서의 차이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ultural Disposition and Need for Cognitive Closure on Framing Effects)

  • 주미정;이재식
    • 인지과학
    • /
    • 제24권2호
    • /
    • pp.173-201
    • /
    • 2013
  •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성향(개인주의-집단주의, 또는 수평적-수직적 사고)과 종결욕구 수준(저-고집단)의 조합에 따른 틀효과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Singelis 등[1]의 INDCOL 척도와 이성수[2]의 NFC 척도를 사용하여 문화성향과 종결욕구 수준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후, 다섯 가지의 의사결정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추구와 위험회피의 틀효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득틀 조건에서는 위험회피 대안의 선택 비율이, 반면 손실틀 조건에서는 위험추구 대안의 선택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2) 두 가지 문화성향(개인주의-집단주의, 수평적-수직적 사고성향)에 따른 틀효과 차이는 각각 유의하지 않았으나, 종결욕구가 높은 집단은 종결욕구가 낮은 집단에 비해 손실틀 조건에서 위험추구 대안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3) 개인주의 문화성향과 수평적 사고성향에서는 종결욕구 수준에 따른 틀효과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집단주의 문화성향과 수직적 사고성향에서는 종결욕구 수준에 따른 틀효과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즉, 틀효과에 대한 집단주의 문화성향과 수직적 사고성향의 영향은 종결욕구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는 높은 집단에서만 관찰되었다.

  • PDF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자료 분석을 위한 삼원 분석틀 개발 및 적용: 지구과학사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ree Dimension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History of Science Content in Science Textbook: Focus on the History of Earth Science)

  • 박세기;이기영;이면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9-112
    • /
    • 2011
  • 과학사는 과학 수업에서 여러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삼원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 분석틀을 적용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지구과학사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다. 개발된 분석틀은 수업맥락, 역할, 제시유형의 3개 차원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차원은 다시 몇 개의 하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개발된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사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분석틀의 세 가지 차원과 각각의 영역에 부합되는 과학사 자료가 과학 교과서에 다양하게 포함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삼원 분석틀의 활용을 통한 다양한 수업맥락과 목적의 조합으로 과학사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지역사회 기반 초등학생용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분석틀 개발 (Development of an Analysis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Communities)

  • 손준호;김선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7-10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시민 강사 등이 지역사회 문제에 기반한 초등학생용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반드시 포함해야 할 내용을 분석틀로 제안하는 것으로, 이 분석틀의 개발을 위해 현장 및 기후환경교육 전문가 24명에게 총 7번의 자문을 받았다. 최종 분석틀은 문항별 내용타당도는 I-CVI와 S-CVI 계수로, 전문가 패널 간 신뢰도는 Fleiss' Kappa 계수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최종 분석틀은 3개의 분석 영역(프로그램 목적 - 프로그램 내용 - 프로그램 평가)과 7개의 분석 항목, 7개의 분석 지표와 세부 설명으로 구분하여 개발했다. 특히 분석 지표에 대한 세부 설명란을 추가하여 내용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객관적인 분석틀로서의 성격을 확고히 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지역사회 기반 초등학생용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분석틀이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협력적 관광개발을 위한 이해집단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takeholder Analysis Framework for Collaborative Tourism development)

  • 신용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47-660
    • /
    • 2009
  • 오늘날 관광이 개발전략으로써 각광을 받고 있지만, 그 결과는 개발과 관련된 이해집단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어떻게 효율적으로 이해집단들을 관리하는지의 문제가 최근의 연구관심사가 되고 있다. 조직이론으로부터 시작된 협력이론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하기는 했지만, 이해집단들 사이의 역학관계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크게 다음 두 가지의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관광개발의 맥락에서 협력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해집단 분석틀의 필요성을 밝혀내는 것이며, 둘째 이러한 이해집단 분석틀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이익, 관점, 권력자원, 관여도, 영향력, 정당성의 여섯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이해집단분석틀을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분석틀은 이해집단 파악, 이해집단 분석, 이해집단 관리전략 설정의 3단계로 설정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이해집단 분석틀은 협력적인 관광개발을 좀 더 효율적으로 이끌어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강재틀 보강토옹벽에 대한 현장 시험시공 (Field Performance of Reinforced Earth Wall with Steel Framed-Facing)

  • 이광우;조삼덕;김주형;서창원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39-4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강재틀 보강토옹벽을 개발하였다. 강재틀 보강토옹벽은 현장조립식 강재틀 전면벽체와 보강재(지오그리드 혹은 띠형 강보강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강재틀 전면벽체의 전면부는 이중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다양한 경관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강재틀 전면벽체를 사용한 보강토옹벽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일련의 현장시험시공을 실시하였다. 또한 벽체 전면변위와 보강재 인장변형을 측정하여 강재틀 보강토옹벽의 현장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