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n Analysis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Communities

지역사회 기반 초등학생용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분석틀 개발

  • Received : 2023.03.29
  • Accepted : 2023.04.24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essential contents that must be included in a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community issues, which can be used by citizen instructors in the community. To develop the analytical framework, 24 climate environmental education specialists were consulted seven time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final analysis framework was statistically verified using I-CVI and S-CVI coefficients, and the reliability of the expert panel was verified using Fleiss' Kappa coefficient. The final analysis framework consists of three analytical areas (program objectives, program content, program evaluation), seven analysis items, seven analysis indicators, and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analysis indicators. In particular, by adding detailed explanations for the analysis indicators,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increased, and the objective nature of the analysis framework was firmly established.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analytical framework for a community-based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the program by citizen instructors.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시민 강사 등이 지역사회 문제에 기반한 초등학생용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반드시 포함해야 할 내용을 분석틀로 제안하는 것으로, 이 분석틀의 개발을 위해 현장 및 기후환경교육 전문가 24명에게 총 7번의 자문을 받았다. 최종 분석틀은 문항별 내용타당도는 I-CVI와 S-CVI 계수로, 전문가 패널 간 신뢰도는 Fleiss' Kappa 계수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최종 분석틀은 3개의 분석 영역(프로그램 목적 - 프로그램 내용 - 프로그램 평가)과 7개의 분석 항목, 7개의 분석 지표와 세부 설명으로 구분하여 개발했다. 특히 분석 지표에 대한 세부 설명란을 추가하여 내용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객관적인 분석틀로서의 성격을 확고히 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지역사회 기반 초등학생용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분석틀이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희(2023). 환경교육을 위한 시스템사고 기반 지역화 수업 설계-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순식, 이상균(2020).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226-237.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3.226
  3. 김찬국, 최돈형(2010). 우리나라 기후변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환경교육, 23(1), 1-12.
  4. 박나은(2019). 국내외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분석-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시민 실천가의 양성을 초점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박도영(2012). 기후변화의 도전: 미국의 K-12교육과 기후 변화 정책. 에너지기후변화교육, 2(1), 15-30.
  6. 손준호(2016). 초등학생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탐구과정이 강조된 킬링 곡선 (Keeling Curve) 활동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292-308.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3.292
  7. 외교부(2023). 공동보도자료 '향후 10년의 기후 행동이 온난화 제한을 결정한다-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협의체,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 승인'.
  8. 윤마병(2019). 잎화석의 CLAMP 탐구를 통한 고등학교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27-39.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1.27
  9. 이은기(2012). 기후변화와 환경정의-지속가능한 지구의 미래를 위한 선순환구조의 모색. 환경법연구, 34(3), 325-373.
  10. 정혜원(2017). 초등 환경교육과정을 위한 교과 통합적 접근 분석 및 방안 모색.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환경부(2003). 초등학교 교육자료 기후변화의 이해.
  12. 환경부(2007). 기후변화에 따른 전국민 의식조사 보고서.
  13. 환경부, 국가환경교육센터(2021). 2021 우수 환경교육 지정프로그램 모음집.
  14. 황선미, 최소영, 이상원(2020). 안양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초등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31(4), 17-36.
  15. Clement, A., Kirtman, B., & Pirani, A. (2011). Climate literacy as a foundation for progress in predicting and adapting to the climate of the coming decad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2(5), 633-635. https://doi.org/10.1175/2010BAMS3161.1
  16. ENEC. (2021). Defining environmental citizenship. http://enec-cost.eu/our-approach/enec-environmental-citizenship에서 2023.3.28. 검색.
  17. Hung, C. C. (2014). Climate change education: Knowing, doing and being. Routledge.
  18. Kahan, D. M., Peters, E., Wittlin, M., Slovic, P., Ouellette, L. L., Braman, D., & Mandel, G. (2012). The polarizing impact of science literacy and numeracy on perceived climate change risks. Nature Climate Change, 2(10), 732-735. https://doi.org/10.1038/nclimate1547
  19. Landis, J., & Koch, G.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International Biometric Society, 33(1), 159-174.
  20.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a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21.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https://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22. Munisamy, A., Sahid, S., & Hussin, M. (2021). Content validation and content validity index calculation of B40 household's financial literacy. Turkish Online Journal of Qualitative Inquiry(TOJQI), 12(8), 1057-1072.
  23. Nidermeyer, F. C. (1992). A checklist for review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3(2), 46-50. https://doi.org/10.1080/00958964.1992.9942795
  24. OECD. (2008). OECD environment outlook to 2030 summary in Korean (OECD 2030 환경전망보고서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문).
  25. Simmons, B. (2000). Towards excelle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a view from the United State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23(1), 517-524. https://doi.org/10.1023/A:1005208814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