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관산업 역량분석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일대일로와 미·중 무역 분쟁: 글로벌 무역 네트워크에의 함의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he US-China Trade War: Implications for Global Trade Networks)

  • 현기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3-258
    • /
    • 2021
  • 본 연구는 미·중 무역 전쟁과 일대일로가 촉발할 세계무역의 변화를 부가가치 기준 무역 통계를 이용하고, 사회연결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일대일로 무역 환경은 제조 허브로서의 중국의 위상을 견고히 하고, 유럽 서비스 산업의 위상을 강화한다. 둘째, 1995년부터 2011년까지 GVC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이 큰 산업인 미국의 R&D 산업과 도소매업 및 독일의 자동차 산업은 미·중 무역 분쟁과 일대일로 무역 환경이 반영된 2049년까지도 그 위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셋째, 커뮤니티 수의 증가를 통해 일대일로가 GVC 네트워크의 분화를 심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중국의 전자 산업, 독일의 자동차 산업, 미국의 R&D 산업의 커뮤니티 진화 형태에서 주목할 만한 특성이 발견되는데 이는 각국 서비스 산업의 역량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한국 벤처창업기업의 상표와 비즈니스 전략간 연관성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ing and Business Strategies of Korean Start-ups)

  • 김혁준;한유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2호
    • /
    • pp.27-43
    • /
    • 2024
  • 최근 제품과 서비스를 보호하고 차별화하기 위한 기업 경쟁력의 핵심 자원으로서 상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자사의 핵심가치가 투영된 브랜드 관리와 점차 빈발하고 있는 상표권 분쟁 대응을 위해 상표권 확보에 매진하고 있고, 창업기업과 개인은 안정적 사업 영위와 투자금 유치를 위해 상표권 확보에 매진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본 연구는 국내 벤처창업기업의 상표와 비즈니스 전략간 연관성 규명을 위한 실증분석을 실시한다. 분석데이터는 2021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중 2,230개의 법인기업 응답데이터가 활용되었고, 분석방법으로는 성향점수매칭법, 구조방정식모형분석, 이항로짓분석이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국내 벤처창업기업의 상표 보유는 비즈니스 전략의 수준 측면에서 큰 차이를 만들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국내 벤처창업기업의 상표는 주로 내부역량화 과정을 통해서만 비즈니스 전략을 고도화하는 반면 외부역량화 과정을 통한 비즈니스 전략 고도화는 매우 미미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벤처창업기업의 비즈니스 전략 수준 중 원가우위전략 수준이 상표 보유성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원가우위수준의 완성도가 높아 지면 높아질수록 상표보유를 통해 제품·서비스의 안정적 판매·공급을 위해, 그리고 향후 고부가가치화로 전환하기 위해 상표보유를 확대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 PDF

국내 자율운항기술 분야의 산업경쟁력 분석 연구 - 포터(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기반으로 (A Study on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alysis of Domestic Autonomous Operation Technology Industry Based on the Porter's Diamond Model)

  • 박혜리;박한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03-208
    • /
    • 2022
  • 최근 해사 분야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e-Navigation, 자율운항선박, 스마트선박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 이슈가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해양안전 및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규제를 점차 강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강화된 규제 이행은 해양안전 및 해양환경보호 분야의 신산업 창출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사 분야의 대표적 신산업인 자율운항기술 분야에 대한 산업경쟁력 분석을 위해 포터(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기반으로 산업경쟁력 분석 모델을 설계하고, 총 5개 평가요소 및 13개 세부요소를 기반으로 국내 자율운항기술 산업에 대한 산업경쟁력을 정성적·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산업발전 초기 단계인 자율운항기술 산업은 산업경쟁력 지수화 결과 16.9점으로 평가되었으며, 현재 산업의 범위 정립부터 관련 규제 및 핵심기술 개발 등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러한 산업특성을 고려한 산업경쟁력 분석·평가는 신산업에 대한 전략적 지원 및 정책 추진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 신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해 해운·물류, 항만, 조선·기자재 산업 등 광범위한 연관 산업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고령군의 지역경제 실태와 정책 과제 (Evaluating Local Economic Development Policy and Suggesting Some Policy Alternatives: the Case of Goryeong County, Korea)

  • 이종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64-679
    • /
    • 2008
  • 본 논문의 목적은 대도시인 대구광역시 주변 농촌지역인 고령군을 사례로 지역경제 여건과 지역경제 활성화 관련 계획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고령군은 대도시 접경지역이며, 광역 교통망에 효과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위치적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제조업과 서비스업보다는 농업의 비중이 여전히 높은 산업구조 특성을 나타내는 지역이다. 하지만, 고령군 지역경제 계획을 검토한 결과, 고령군의 지역경제발전계획은 지역의 여건을 고려하여 지역 특화 산업을 선별하고, 이를 포괄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기 보다는 보편적인 지역발전 계획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령군의 지역경제 활성화 계획은 백화점식 사업 계획을 지양하고, 지역 특수성과 산업 역량 및 잠재성을 고려하여 사업 대상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전략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고령군은 첨단 제조업이나 고차서비스산업의 육성이라는 환상을 깨고 경쟁력 기반을 갖춘 산업 부문 및 품목을 전략적으로 설정하여 가치사슬 측면에서 핵심 산업과 연관 산업을 연결하는 부문을 통합적으로 육성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령군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 대안으로서 농업과 서비스산업이 연관된 산업 융합형 친환경 특화농업 클러스터와 조립금속 및 운송장비 제조업에 특화된 산업특성화 전문산업단지 조성을 제안하였다.

  • PDF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기초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하는 지식과 역량 분석: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가정과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Analysis of Knowledge and Competenc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Anderson's Revision of Bloom's Taxonomy: Focused on Achievement Standard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 양지선;이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9-149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예고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2015 개정 가정과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핵심역량과 지식의 연관성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은 중학교 성취기준에서는 메타인지적 지식이, 고등학교 성취기준에서는 사실적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 차원의 하위유형은 구체적 사실과 요소에 대한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지과정 차원은 중학교 성취기준에서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이해하다', '창안하다'의 순으로, 고등학교 성취기준에서는 '이해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 '적용하다', '분석하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핵심 개념별로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은 '발달'에서 메타인지 지식과 '이해하다', '관계'에서 개념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과 '이해하다', '생활문화'에서 메타인지적 지식과 '적용하다', '안전'에서 절차적 지식과 '평가하다', '분석하다', '관리'에서 사실적 지식, 절차적 지식과 '적용하다', '생애설계'에서 메타인지적 지식, 사실적 지식과 '이해하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취기준에 사용된 동사의 진술은 '탐색하다', '이해하다', '분석하다', '실천하다', '제안하다', '인식하다', '평가하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행동 동사의 진술은 수행과정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므로 교과내용 지식과 다양한 인지과정을 나타내는 성취기준에 반영되어 구체적인 역량을 성취할 수 있다. 따라서 성취기준을 통해 학습자의 수행능력의 습득에 더욱 효과적인 인지과정을 제공하고 내용요소와 기능과의 연결을 정교화하는 전략을 통해 교육의 방향성을 높이고 학습자들이 미래를 대비하는 역량을 함양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할 것이다.

국방 기술의 민수화 우선순위 평가 방법론 : 특허 분석 및 계층분석과정 (AHP) 기반 (A Priority Evaluation Methodology for Spin-off of Defense Technology : Patent Analysis and AHP Approach)

  • 박윤미;설현주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5-27
    • /
    • 2010
  • 민군 겸용기술은 민간부문은 물론 군사부문에도 이용되는 기술로 이러한 기술은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안보 역량을 동시에 충족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저비용 고효율의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민군 겸용기술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술 기획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은 제기되어 왔으나 실제 이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민군 겸용기술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술 기획에 있어 기술의 겸용성과 이전을 고려한 보다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절차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허와 특허 인용 그리고 특허와 산업 연관관계를 바탕으로 한 기술 개발 우선 순위 도출 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계층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방 기술분야 중 항공기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국방 분야 기술 수요 도출시 민수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민군 겸용기술을 발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물인터넷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for the IoT Industry)

  • 정우수;김사혁;민경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19-128
    • /
    • 2013
  •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미래인터넷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사물지능통신(M2M)은 공공 및 민간 부분에서 활용 및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M2M이 부상하고 있으나, M2M에 대한 명확한 시장분류나 분석자료가 부재하여 M2M 활성화 정책수립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M2M(사물지능통신)에서 IoT(사물인터넷)로의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세계 각국은 기술트렌드에 따른 시장분석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대외적인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산업 및 서비스에 대한 차별화 역량 확보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IoT(사물인터넷)의 국내외 시장동향을 살펴보고, 사물인터넷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계량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산업구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산업과 타 연계산업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사물인터넷 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는 각각 4,746억 원, 3,147억 원, 3,628명 등으로 나타났다.

SCM특성이 공급사슬 파트너십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SCM Characteristics on Supply Chain Partnership and Corporate Performance)

  • 최철곤;심정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81-93
    • /
    • 2015
  • 글로벌 경쟁의 시대에서 한 기업이 보유한 역량만으로 경쟁을 이겨나가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기업들은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기업 대 기업의 경쟁이 아니라 연관된 기업들의 집합체인 공급망간의 경쟁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공급망을 형성하는 기업들이 SCM을 전략적 수단으로써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경쟁에서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SCM특성이 기업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특성이 공급사슬 파트너십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SCM특성이 기업특성인 민첩성과 가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민첩성과 가시성은 공급사슬 파트너십과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리고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던 건설기계산업 분야에서의 SCM 활동에 대해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공헌도가 높다고 하겠다.

중기업의 지식자산과 산업의 역동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Medium Sized Firm's Knowledge and Industry Dynamism on Firm Performance)

  • 박선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09-530
    • /
    • 2007
  •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장기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최선의 전략은 기업자원 및 역량을 활용한 혁신을 통해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에 속하는 중기업을 대상으로 산업·조직특성 및 기업혁신과 기업성과간의 직접적인 연관관계뿐만 아니라 산업환경과 조직특성인 지식의 수준이 기업혁신과 성과간의 관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고자 횡단면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중기업의 지식자산과 교육투자, 산업의 역동성은 기업혁신과 정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기업이 연구개발 집약적인 산업에 속하고, 석사이상의 고급인력 보유 비율이 높고, 교육에 대한 투자가 많을수록 혁신활동비율이 더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업혁신과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분석에서는 기업혁신 뿐만 아니라 산업역동성 및 기업의 지식수준과 혁신간의 상호작용 모두 기업성과에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기술과 저기술 기업으로 나눈 추가 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기적으로 기업의 지식자산 및 교육에 대한 투자가 혁신 및 기업성과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산업환경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 PDF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의 우선순위 설정과 적정자원 배분 -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의 적용사례 -

  • 황용수;장진규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9-563
    • /
    • 1999
  • 이 논문은 정보통신정책 목표와의 연관성 속에서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의 우선순위를 설정함과 아울러 비용효과성에 바탕을 둔 적정 자원배분 도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복합적인 목표를 가진 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사업부문별 그리고 기술분야별로 객관적이면서도 설득력있는 자원배분지침을 마련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기준의사결정(MCDA: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 방법론에서는 사업의 목표와 우선순위 판단기준 및 사업대안이 계층적으로 연계된 분석구조를 설계하여 사업대안의 우선순위를 먼저 설정하고, 여기에 정수계획법(Integer Programming)을 결합하여 사업의 목표와 연계된 비용-편익 관계(Cost-benefit relationship)를 최적화하는 바탕 위에서 사업대안별 자원배분 시나리오를 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로 사업부문별 및 기술분야별로 각각 도출된 8개의 자원배분 시나리오는 자원배분 경향치의 안정성(Stability) 분석과 자금지원의 과부족에 대한 현실적 적합성(Relevance) 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하나의 적정 자원배분방안으로 수렴되도록 하였다. 우선순위 설정에 기초가 되는 사업대안의 편익에 대한 자료는 전문가의 정성적 판단을 통해 수집되었는데, 이를 위해 정보통신기술 부문에서 활동 중인 중견 이상의 총 58명의 산학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기초기반ㆍ전략기술개발사업, 연구ㆍ기술인력양성사업, 산업응용기술개발사업, 기술기반조성사업 등 4대 사업부문에 대해서는 (ⅰ) 정보통신 기술능력의 축적, (ⅱ) 정보통신산업의 경쟁력 강화, (ⅲ) 정보통신기반의 기술고도화, (ⅳ) 정보화를 위한 기술역량의 제고 등 주요 사업의 편익을 나타내는 4개 기준으로 우선 순위를 판단하였고, 정보통신망기술, 전파 및 RF 기술, 정보처리기술, 반도체 소자/설계 기술 등 13개 기술분야에 대해서는 (ⅰ) 공공정책적 임무에 대한 기여, (ⅱ) 기술자립기반의 확충, (ⅲ) 기술발전성과 기술적 파급효과, (ⅳ) 기술적 산물의 시장잠재력 등 기술분야 연구개발을 통한 편익을 나타내는 4개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판단하였다. 우선순위는 사업대안에 대한 가중치로 표시되었고, 적정 자원배분방안은 추정된 총예산 규모에 따라 지원수준에 대한 일정한 제약조건 하에서 비용-편익 관계에 따른 자원의 최적 할당량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총예산 규모의 가변성, 사업 및 기술분야 대안의 분류체계에 대한 공감대 부족, 사업목표의 상호연관성과 우선순위 판단기준의 부분적 중첩성 등 여러 제약요인이 있어 도출된 구체적인 수치보다는 방향성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도출된 우선순위와 적정 자원배분방안은 문제해결의 실행타당성을 감안하여 비교적 객관적이고 균형있는 결과로 판단된다.

  • PDF